$\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적 변환에서의 배경화와 반성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on and Contextualization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5 no.2, 2019년, pp.259 - 275  

황혜정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osu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es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almost for 35 years in Korea. Those studies have been quite usually interested in the extreme phenomena such as Topaze Effect, Meta-Cognitive Shift, etc. However, the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and roles of 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에서 언급한교사와 학생의 외적 및 내적 요소 중, 본고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배경화 과정에서 그러한 사고를 가능케 하는 ‘반성(reflection)’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이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이 수업에서 단순하게 전달되기 보다는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함을 반성의 기반 하에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어떻게 교사가 교육 내용의 전달(transmission)에서 벗어나, 질적인 전환(transformation)을 이룰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이 수업에서 단순하게 전달되기 보다는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함을 반성의 기반 하에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어떻게 교사가 교육 내용의 전달(transmission)에서 벗어나, 질적인 전환(transformation)을 이룰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화 외(2017)의 지적처럼, 실제적인 교사와 학습자의 풍부한 배경화, 그리고 더 나아가 탈배경화를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의 내적 요인인 반성적 사고 내지 반성에 초점을 두는 것은 중요하다.
  • 이와 같이, 수학적 지식을 수학자에서 교사로, 교사에서 학습자로 전달하여 공표하는 과정에서 적절하면서도 풍부한 배경화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수학적 변환에서의 두 가지 문제의식을 제시하고 이의 해결 방안으로 배경화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배경화와 탈배경화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 각각의 입장에서의 배경화의 의미를 탐색하고 아울러 반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이론은 학문으로서의 수학, 즉 ‘학문적 지식’이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수학 ‘교수학적 지식’으로 변환되기 위해 겪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하는 것인데, 학문적 지식이란 무엇인가?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이론은 80년대 초 쉐발라드(Chevallard)에 의해 주창된 것으로, 학문으로서의 수학, 즉 ‘학문적 지식’이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수학, 즉 ‘교수학적 지식’으로 변환되기 위해 겪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다(Brousseau, 1997). 여기에서 학문적 지식은 전문 수학자가 연구 대상으로 삼는 학문수학을 의미하여, 교수학적 지식은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학교수학을 의미한다. 또, ‘교수학적 지식’은 다시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사가 대상으로 하는 ‘가르칠 지식’과 학생이 대상으로 하는 ‘학습된 지식’으로 구분된다.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이론은 언제 누구에 의해 주창된 것인가?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이론은 80년대 초 쉐발라드(Chevallard)에 의해 주창된 것으로, 학문으로서의 수학, 즉 ‘학문적 지식’이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수학, 즉 ‘교수학적 지식’으로 변환되기 위해 겪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다(Brousseau, 1997). 여기에서 학문적 지식은 전문 수학자가 연구 대상으로 삼는 학문수학을 의미하여, 교수학적 지식은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학교수학을 의미한다.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이론이란 무엇인가?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이론은 80년대 초 쉐발라드(Chevallard)에 의해 주창된 것으로, 학문으로서의 수학, 즉 ‘학문적 지식’이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수학, 즉 ‘교수학적 지식’으로 변환되기 위해 겪는 일련의 과정에 주목하는 것이다(Brousseau, 1997). 여기에서 학문적 지식은 전문 수학자가 연구 대상으로 삼는 학문수학을 의미하여, 교수학적 지식은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교수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학교수학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완 (1991).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 30(3), 71-89. 

  2. 김성경 (2014). 수학수업의 질과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 요소의 관련성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연식, 박영배 (1996). 數學敎授.學習의 構成主義的展開에 關한 硏究.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6(1), 91-110. 

  4. 박지용 (2002). 수학 수업에서 교사에 의한 교수학적 변환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지현 (2012). 교사의 수학적 언어에 반영되는 교수 양식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경화 (1996).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6(1), 203-213. 

  7. 이경화 (2016). 교수학적 변환 연구의 동향과 과제. 수학교육학연구, 26(2), 173-188. 

  8. 이경화, 이은정, 박미미, 송창근 (2017).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학연구, 27(3), 469-489. 

  9. 이진영 (2011).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한 점에서 함수의 연속.불연속, 연속함수 정의의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흔정(2009). 교사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5-166. 

  11. 우정호 (2013).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우정호, 홍진곤 (1999). 반영적 추상화와 조작적 수학 학습-지도. 수학교육학연구, 9(2), 383-404. 

  13. 조성민 (200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 고등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조성민 (2009).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15. 정영옥 (1994). Piaget 이론의 수학교육적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4(1), 193-206. 

  16. 정유경 (2014). 한국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 지식의 분석틀 탐색.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황혜정 (2010)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18. 황혜정 (2011).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19.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2018). 수학교육학신론2. 서울: 문음사. 

  21. Brousseau, G. (1997). Theory of the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Balacheff, N., Cooper, M., Sutherland, R., & Warfield, V. (Tran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Gudmundsdottir, S. (1988). Knowledge use among experienced teachers: Four case studies of high school teaching.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23. Kilpatrik, Jeremy (1987). George Polya's Influ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magazine, 60(5), 299-300. 

  24. Skemp, R.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2000). 수학 학습 심리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25.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Y : Basic Books. 

  26.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