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2016년 품종보호권이 등록된 홍산마늘과 한산마늘의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나트륨과 황 성분을 제외한 미네랄 성분들은 한산마늘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함유 황화합물 역시 한산마늘에서 높았다. 또한 고형물함량과 환원당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역시 한산마늘이 높았다. 그러나 산도, pH,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홍산마늘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품종에서 항미생물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았으며 한산마늘보다 홍산마늘이 조금 높은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위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Hongsan garlic and Hansan garlic, which were registered in the plant breeders' right in 2016. The content of mineral components, except sodium and sulfur ingredients, was found to be high in Hansan garlic. In addition, organic sulfur components were high in Hansan garlic. Moreover, the total soluble solid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high in Hansan garlic. Acidity, pH,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high in Hongsan garlic. Both varieties showed higher inhibitory activity to gram-positive bacteria than to gram-negative bacteri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ongsan garlic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ansan garlic.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farmers who grow the above garlic varieties.
#antimicrobial activity #new variety #organic sulfur component #total phenol #total soluble soli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홍산은 기존의 한지형 마늘보다 월등히 수량이 높고 난지형인 남도마늘 이상의 수량을 보였으며 한지와 난지 모두 재배가 가능하고 천근성으로 수확이 쉬워 생력재배에 알맞다고 알려져 있다(Han 등, 2017; RDA,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이 육성된 신품종인 홍산과 한산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재배농가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마늘 | 마늘이란? |
백합과 파속의 월년 2년생 작물
백합과 파속의 월년 2년생 작물인 마늘은 지역에 따라 월동 전·후에 싹이 터서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구분을 한다. 마늘은 인편이나 주아를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하게 되며 한지형 품종은 주로 국내 자생종으로 중북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난지형 품종은 중국에서 도입된 남도마늘, 스페인에서 도입된 대서마늘 및 인도네시아에서 도입된 자봉마늘 등이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Kim 등, 2015a; Kim 등, 2015b; Kim과 Ra, 2016; Kwak 등, 2018). |
마늘 | 마늘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지역에 따라 월동 전·후에 싹이 터서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구분
백합과 파속의 월년 2년생 작물인 마늘은 지역에 따라 월동 전·후에 싹이 터서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구분을 한다. 마늘은 인편이나 주아를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하게 되며 한지형 품종은 주로 국내 자생종으로 중북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난지형 품종은 중국에서 도입된 남도마늘, 스페인에서 도입된 대서마늘 및 인도네시아에서 도입된 자봉마늘 등이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Kim 등, 2015a; Kim 등, 2015b; Kim과 Ra, 2016; Kwak 등, 2018). |
신품종 ‘홍산’ | 신품종 ‘홍산’의 특징은? |
기존의 한지형 마늘보다 월등히 수량이 높고 난지형인 남도마늘 이상의 수량을 보였으며 한지와 난지 모두 재배가 가능하고 천근성으로 수확이 쉬워 생력재배에 알맞다
신품종 ‘홍산’은 2003년 임성자원 ‘8902’와 ‘9209’간의 교배조합으로 얻은 진성 종자 15립 중에서, 기내파종과 순화 완료 후 최종 선발된 12번째 종자로부터, 신품종 ‘한산’은 2003년 임성자원 ‘8673’과 ‘9211’ 간의 교배조합으로 얻은 진성 종자 21립 중에서, 기내파종과 순화 완료 후 최종 선발된 15번째 종자로부터 유래한 마늘구의 영양번식을 통하여 2011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쳤으며 2012년부터 3년간 경기, 강원, 제주 등지에서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4년도에 육성되어 2015년도에 품종출원, 2016년도에 품종보호권(한산: 제 6319호; 홍산: 제 6320호)이 등록되었다(Kwak 등, 2018; Lee 등, 2018; RDA, 2019). 특히 홍산은 기존의 한지형 마늘보다 월등히 수량이 높고 난지형인 남도마늘 이상의 수량을 보였으며 한지와 난지 모두 재배가 가능하고 천근성으로 수확이 쉬워 생력재배에 알맞다고 알려져 있다(Han 등, 2017; RDA,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이 육성된 신품종인 홍산과 한산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재배농가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