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매실청의 저장기간 중 올리고당 함량 변화
Changes in oligosaccharide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maesil cheong formulated with functional oligosaccharid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2, 2019년, pp.169 - 175  

배문주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탄수화물소재연구소) ,  유상호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탄수화물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소비되는 주요 기능성 올리고당류인 이소말토올리고당프락토올리고당을 이용하여 당류 저감과 함께 건강 기능성을 갖춘 매실청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매실과 설탕을 1:1로 배합하는 매실청 제조 방법에 따라 매실과 동일 무게의 설탕을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 올리고당으로 각각 10, 20, 50, 100% 비율로 대체하였으며, 제조 후 30일 간격으로 3회(30, 60과 90일) 매실청을 취하였다. 제조된 매실청의 당도는 $40.90-57.00^{\circ}Bx$ 범위였으며, 저장기간 3개월 평균 설탕 100% (PS)인 대조군은 $56.7^{\circ}Bx$, 이소말토올리고당 100% (PI-100)는 $41.1^{\circ}Bx$, 프락토올리고당 100% (PF-100)는 $41.8^{\circ}Bx$로 나타났다. 매실청의 pH는 2.72-3.00 범위로 관찰되었으며, 기능성 올리고당류의 종류 및 첨가량,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 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구연산(citric acid)과 사과산(malic acid)이 관찰되었으며, 구연산의 함량이 총 유기산 함량의 71-82%를 차지하였다. 제조된 매실청들의 저장기간 중 당류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sucrose의 함량은 제조 시 사용된 설탕의 양에 비례하였고, 저장기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구성당인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제조 시 사용된 sucrose가 분해되어 fructose와 glucose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소말토올리고당과 설탕이 함께 사용된 시료의 경우 설탕의 첨가량에 비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나,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을 함께 첨가한 매실청의 경우는 그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이소말토올리고당에 비해 내산성이 떨어지는 프락토올리고당의 경우 대부분 가수분해되어 fructose와 glucose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결과로 생각된다. 매실청 내의 첨가된 기능성 올리고당의 함량은 프락토올리고당의 경우 90일 저장 시 대부분 분해되어 0-2%만 잔존하였으며, 이소말토올리고당은 75% 이상 잔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H 2.72-3.00인 매실청에는 이소말토 올리고당에 비하여 내산성이 떨어지는 프락토올리고당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모든 매실청 샘플은 사용된 당류의 비율과 저장 기간에 관계없이 매실 추출물의 건강기능성 원료 기준인 구연산(citric acid)의 함량을 충족하며, 이소말토올리고당100%로 제조한 매실청을 일일 50-75 g 섭취 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건강기능성 기준에 합당하여 기능성 올리고당의 건강기능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설탕을 기능성 올리고당류인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적절히 대체한다면 당류 저감과 올리고당의 기능성을 갖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써 매실청의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esil cheong by replacing sucrose with isomaltooligosaccharide and fructooligosaccharide. The substitution levels of these oligosaccharides were between 10% and 100%. A 1:1 (w/w) mixture of maesil and sugar was adopted for preparing m...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매실청 제조 시 첨가하는 당류인 설탕을 기능성 올리고당으로 대체함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국내에서 생산 소비되는 주요 기능성 올리고당인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락토올리고당을 적용한 당류 저감과 건강기능성을 갖춘 매실청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crose의 함량은 제조 시 사용된 설탕의 양에 비례하는 경향은 어떻게 판단하는가? 제조된 매실청들의 저장기간 중 당류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sucrose의 함량은 제조 시 사용된 설탕의 양에 비례하였고, 저장기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구성당인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제조 시 사용된 sucrose가 분해되어 fructose와 glucose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소말토올리고당과 설탕이 함께 사용된 시료의 경우 설탕의 첨가량에 비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나, 프락토올리고당과 설탕을 함께 첨가한 매실청의 경우는 그 경향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매실의 특징은? et Zucc.)은 장미과 매화나무의 핵과로 당분과 칼슘,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시트르산, 사과산, 수산, 타타르산, 석신산 등 각종 유기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피로회복과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매실은 예로부터 건위, 주독, 해독 및 구충 용도의 한약재로 이용되어 왔으며 민간에서는 살균 효과와 설사, 변비, 위산과다, 위경련 등 소화기계 질병 및 호흡기계 질병에 대한 예방에 이용되어왔다(Bae와 Kim, 1999; Hwang, 2005).
매실의 활용 방안 한계점은? 또한 당 침출액의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ymurium, Vibrio parahaemolyticus 대한 항균 효과가 보고되어 매실의 다양한 생리활성 및 건강기능성 효능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Chung 등, 2011; Ko 등, 2009). 그러나 매실은 수확 후 2-3일 이내에 급속한 후숙 작용으로 보관 및 유통이 제한되어 매실주, 당 침출액, 염절임 등 제한된 형태로 가공될 뿐 그 활용 방안이 다양하지 못하여 매실 가공제품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와 저장성 향상을 위한 연구 등이 진행되어 왔다(Kwon 등, 2006; Shin과 Le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JH, Kim GJ.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containing beverages on the proliferation of food-borne pathogens. J. East Asian Soc. Diet Life. 9: 214-222 (1999) 

  2. Cha JI. Survey on content of homemade maesilcheong (extract of Prunus mume): Korea consumer agency safety report. Korea Consumer Agency, Seoul, Korea. pp. 1-20 (2016) 

  3.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Jo JS.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Food Preserv. Tech. 6: 481-487 (1999) 

  4. Choi HJ, Kang OH, Park PS, Chae HS, Oh YC, Lee YS, Choi JG, Lee GH, Kweon OH, Kwon DY. Mume Fructus water extract inhibit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acrophages. J. Med. Food 10: 460-466 (2007) 

  5. Choi SR, Park HJ, Jin H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ngor jam including fructo oligosaccharide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Culi. Sci. Hos. Res. 20: 223-234 (2014) 

  6. Chung YJ, Park C, Jeong YK, Choi YH. Apoptosis induction by m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Korean J. Life Sci. 21: 1109-1119 (2011) 

  7. Ha MH, Park WP, Seung CL, Cho SH.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Tech. 12: 195-198 (2005) 

  8. Huh KT. Physiological functions of oligosaccharides. Food Sci. Ind. 28: 24-28 (1995) 

  9. Hwang JY. Pharmacological effects of maesil (Prunus mume). Food Sci. Ind. 38: 112-119 (2005) 

  10. Hwang JY, Ham JW, Nam SH.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2004a) 

  11. Hwang JY, Ham JW, Nam S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2004b) 

  12. Jung KM, Choi MA, Park SI.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crose. Culi. Sci. Hos. Res. 23: 163-172 (2017) 

  13. KFDA.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20 (2016a) 

  14. KFDA.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78 (2016b) 

  15.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11076. Accessed Jun. 15, 2017. 

  16. Kim EJ, Baek SY, Li F, Choi HJ, Kim M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teum' doraji jungkwa substituted sucrose with 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Cook Sci. 33: 625-635 (2017) 

  17. Kim JR, Yook C, Kwon HK, Hong SY, Park CK, Park KH.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70-175 (1995) 

  18. Kim EM, Yu BH, Sin YJ, Kim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ripened Japanese apricot depending on different sugar contents. pp.110-110. In: 2011 Fall Conference of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October 7, Agricultural Science Library Conference Roo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The Korean Socite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hangwon, Korea (2011) 

  19. Ko YJ, Lee HH, Kim EJ, Kim HH, Son YH, Kim JY, Kang SD, An JH, Lee WS, Ryu CH.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sucrosepreserved Prunus mume manufactured in Ha-Dong. Korean J. Life Sci. 20: 424-429 (2010) 

  20. Ko MS, Yang JB.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Prunus mume by sugar. Korean J. Food Preserv. 16: 759-764 (2009) 

  21. Kwon DJ, Kim MH, Lee NH, Kwon OJ, Son DH, Choi UK.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according to thawing method. J. Korean Soc. Food Cult. 21: 426-432 (2006) 

  22. Lee MR, Lee KA, Ly SY. Improving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contained in sponge cakes on the constip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21-626 (2003) 

  23. Lim SJ, Eun JB.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maesil, Japanese apricot in Korea. Food Sci. Ind. 45: 2-9 (2012) 

  24. Ryu SP, Lee SJ, Jung HK, Kim HK, Cho DS, Lee SC. Effects of oligosaccharide supplemented diet on lipid metabolism in trained rats. Korean J. Sport Stud. 40: 871-881 (2001) 

  25. Seo JH. Oligosaccharide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 Food Sci. Ind. 27: 8-11 (1994) 

  26. Seo KS, Huh CK, Kim YD. Change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Korean J. Food Preserv. 15: 269-273 (2008) 

  27. Shin MG, Lee GH.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Prunus mune power granule. J. Korea Soc. Food Sci. Nutr. 41: 970-974 (2012) 

  28. Song IS, Lee KM, Kim M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0: 279-28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