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대조군실험설계
The Effects of Oral Cryotherapy on Oral Mucositi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2, 2019년, pp.149 - 160  

신나연 (분당차병원 간호국)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al cryotherapy on oral mucositis, reactive oxygen seri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oral comfort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gynecologic canc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을 적용하여 구내염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구강 합병증 예방을 위한 중재로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중재 오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대조군 배정을 우선적으로하여 측정을 완료한 후 실험군을 모집하여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실험자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자는 구강 냉요법의 중재를 시행하였고, 보조 연구자 1인이 사전 조사와 중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조 연구자에게 대조군과 실험군을 밝히지 않는 맹검법을 적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연구 진행 중 실험군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치료중단 및 구강 냉요법 거부, 채취한 혈액의 용혈로 인하여 4명이 중도 탈락하였고, 대조군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치료 중단과 채취한 혈액의 용혈로 3명이 탈락하였다.
  • 본 연구는 구강 냉요법의 효과를 객관적 관찰 도구와 주관적 설문 도구로 구강 상태를 파악하고 생리적인 지표를 확인하여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실험 연구의 검정력을 높이기 위해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설계로 구강 냉요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과 구내염 관련 혈액검사를 이용하여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시차 실험 설계이다.
  • 구내염의 발생기전은 세포가 항암제나 방사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로 인해 직접적인 손상을 받는 초기 단계,이후 손상 받은 세포에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의 생성을 높이는 단계, 세포를 괴사시킴으로써 조직 손상을 증폭시키는 단계, 궤양이 형성되면서 세균의 집락 형성이 일어나는 단계, 구강 점막층이 회복되는 5가지 단계이다[3]. 본 연구에서는 구강 냉요법을 이용하여 항암화학요법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 발생을 차단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생을 억제시켜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려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onis [3]의 구내염 발생 모델에 근거하여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를 통해서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구내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TNF-α, 구강 안위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구강 냉요법은 임상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근거기반 중재로 제안한다.

가설 설정

  • 1) 제 1가설: 구강 냉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구강 냉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구내염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제 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활성산소 발생량이 적을 것이다.
  • 3) 제 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낮을 것이다.
  • 3-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IL-6 수치가 낮을 것이다
  • 3-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TNF-α 수치가 낮을 것이다.
  • 4) 제 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 안위감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인암 환자들의 60~70%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은 무엇인가? 항암화학요법은 부인암 환자들의 60~70%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으로[1], 환자의 생존율은 증가시키지만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독성을 미치며, 구내염, 오심 및 구토, 발열, 통증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킨다[2]. 구내염은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독성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로 인해 구강 상피세포가 손상을 받고, 점막 조직의 사멸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발생하게 된다[3].
구내염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항암화학요법은 부인암 환자들의 60~70%에게 적용되는 치료법으로[1], 환자의 생존율은 증가시키지만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독성을 미치며, 구내염, 오심 및 구토, 발열, 통증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킨다[2]. 구내염은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독성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로 인해 구강 상피세포가 손상을 받고, 점막 조직의 사멸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발생하게 된다[3]. 항암화학요법 중 Cisplatin과 Gemcitabine의 항암제를 사용하는 경우 3등급 이상의 구내염 발생빈도는 47%로[4] 구내염으로 인한 타액 변화 및 작열감[5,6], 연하 곤란[7]의 구강 불편감은 영양 섭취 저하[8], 통증 및 전신 패혈증[9,10]을 야기시킬 수 있다.
Sonis [3]의 구내염 발생 모델에 따른 구내염의 발생 기전은 어떤 단계로 발생하는가?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구강 냉요법을 이용하여 활성 산소를 차단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생을 감소시켜 구내염을 감소시키는 기전에 근거하였다. 구내염의 발생기전은 세포가 항암제나 방사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로 인해 직접적인 손상을 받는 초기 단계,이후 손상 받은 세포에서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의 생성을 높이는 단계, 세포를 괴사시킴으로써 조직 손상을 증폭시키는 단계, 궤양이 형성되면서 세균의 집락 형성이 일어나는 단계, 구강 점막층이 회복되는 5가지 단계이다[3]. 본 연구에서는 구강 냉요법을 이용하여 항암화학요법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 발생을 차단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생을 억제시켜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려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ilmaz SD, Bal MD, Beji NK, Arvas M. Ways of coping with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Cancer Nursing. 2015;38(2):E57-E62. https://doi.org/10.1097/NCC.0000000000000186 

  2. Costello BA, Borad MJ, Qi Y, Kim GP, Northfelt DW, Erlichman C, et al. Phase I trial of everolimus, gemcitabine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Investigational New Drugs. 2014;32(4):710-716. https://doi.org/10.1007/s10637-014-0096-3 

  3. Sonis ST. The pathobiology of mucositis. Nature Reviews Cancer. 2004;4(4):277-284. https://doi.org/10.1038/nrc1318 

  4. Jang JS, Kim HK, Cho BC, Lee KH, Yun HJ, Woo IS, et al. Randomized phase II study comparing weekly docetaxel-cisplatin vs. gemcitabine-cisplatin in elderly or poor performance status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ology. 2017;79(5):873-880. https://doi.org/10.1007/s00280-017-3289-6 

  5. Kanuga S. Cryotherapy and keratinocyte growth factor may be beneficial in preventing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sucralfate is effective in reducing its severit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13;144(8):928-929.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13.0211 

  6. Heydari A, Sharifi H, Salek R. Effect of oral cryotherapy on combination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iddle East Journal of Cancer. 2012;3(2&3):55-64. 

  7. Erdem O, Gungormus Z. The Effect of royal jelly on oral mucositis in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4;28(4):242-246. https://doi.org/10.1097/HNP.0000000000000033 

  8. Erden Y, Ipekcoban G. Comparison of efficacy of cryotherapy and chlorhexidine to oral nutrition transition time in chemotherapy-induced oral mucositis.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17;26(5):e12495. https://doi.org/10.1111/ecc.12495 

  9. Chaveli-Lopez B, Bagan-Sebastian JV. Treatment of oral mucositis due to chemotherapy.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Dentistry. 2016;8(2):e201-e209. https://doi.org/10.4317/jced.52917 

  10. Kung AYH, Zhang S, Zheng LW, Wong GHM, Chu CH. Oral health status of Chinese paediatric and adolescent oncology patients with chemotherapy in Hong Kong: A pilot study. The Open Dentistry Journal. 2015;9:21-30. https://doi.org/10.2174/1874210601509010021 

  11. Lalla RV, Bowen J, Barasch A, Elting L, Epstein J, Keefe DM, et al. MASCC/ISO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ucositis secondary to cancer therapy. Cancer. 2014;120(10):1453-1461. https://doi.org/10.1002/cncr.28592 

  12. Eilers J, Harris D, Henry K, Johnson LA.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cancer treatment-related mucositis: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4;18(6):80-96. https://doi.org/10.1188/14.CJON.S3.80-96 

  13. Brown CG. A guide to oncology symptom management. 2nd ed. Pittsburgh (PA): Oncology Nursing Society; 2015. p. 469-482. 

  14. Park SJ, Cha GS, Kim HS, Park EY. Effects of oral care protocol on oral mucositis in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1):1-9.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1.1 

  15. Peterson DE, Bensadoun RJ, Roila F; ESMO Guidelines Working Group. Management of oral and gastrointestinal mucositis: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nals of Oncology. 2011;22(Suppl 6):vi78-vi84. https://doi.org/10.1093/annonc/mdr391 

  16. dos Reis PED, Ciol MA, de Melo NS, de Souza Figueiredo PT, Leite AF, de Melo Manzi N. Chamomile infusion cryotherapy to prevent oral mucositis induced by chemotherapy: A pilot study.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6;24(10):4393-4398. https://doi.org/10.1007/s00520-016-3279-y 

  17. Svanberg A, Ohrn K, Birgegard G. $Caphosol({(R)})$ mouthwash gives no additional protection against oral mucositis compared to cryotherapy alone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A pilot stud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5;19(1):50-53. https://doi.org/10.1016/j.ejon.2014.07.011 

  18. Kakoei S, Ghassemi A, Nakhaee N. Effect of cryotherapy on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receiving radio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2013;11(2):117-120. 

  19. Eilers J, Berger AM, Petersen MC.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of the oral assessment guide. Oncology Nursing Forum. 1988;15(3):325-330. 

  20. Beck S. Impact of a systematic oral care protocol on stomatitis after chemotherapy. Cancer Nursing. 1979;2(3):185-199. 

  21. Park YJ, Hong MS. The influence of saline and betadine solution for gargle in the leukemic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996;1:41-58. 

  22. Park MH, Park JS. Difference of oral mucositis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2):76-84. https://doi.org/10.5388/aon.2013.13.2.76 

  23. Son YJ, Shin YJ, Cho MY, Kim SH, Park OS, Han SY, et al. The development of an oral care protocol for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its effec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113-122. 

  24. Salvador P, Azusano C, Wang L, Howell D.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oral care intervention to reduce mucositis severity in stem cell transplant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12;44(1):64-73.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1.08.012 

  25. Toro JJ, Schneider D, Alonzo R, Hasan A, Lee S, Gushiken F,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cryotherapy vs. supersaturated calcium phosphate rinses vs. saline rinses for the prevention of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MM) receiving high-dose melphalan (HDM) and autotransplantation. 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2014;20(2):S204-S205. https://doi.org/10.1016/j.bbmt.2013.12.340 

  26. Yoshino F, Yoshida A, Nakajima A, Wada-Takahashi S, Takahashi S, Lee MC. Alteration of the redox state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for 5-fluorouracil-induced oral mucositis in hamsters. PLoS One. 2013;8(12):e82834.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82834 

  27. Zorov DB, Juhaszova M, Sollott SJ. Mitochondr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OS-induced ROS release. Physiological Reviews. 2014;94(3):909-950. https://doi.org/10.1152/physrev.00026.2013 

  28. Svanberg A, Ohrn K, Brostrom H, Birgegard G. The effect of cryotherapy on oral mucosa: A study in healthy volunteers. Medical Oncology. 2012;29(5):3587-3591. https://doi.org/10.1007/s12032-012-0230-z 

  29. Jastrzabek R, Straburzynska-Lupa A, Rutkowski R, Romanowski W. Effects of different local cryotherapies on systemic levels of TNF- ${\alpha}$ , IL-6, and clinical parameters in active rheumatoid arthritis. Rheumatology International. 2013;33(8):2053-2060. https://doi.org/10.1007/s00296-013-2692-5 

  30. Wilberg P, Hjermstad MJ, Ottesen S, Herlofson BB. Chemotherapy-associated oral sequelae in patients with cancers outside the head and neck regio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14;48(6):1060-1069.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4.0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