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예측모형
A Predictive Model on Patient-Centered Car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2, 2019년, pp.191 - 202  

정현 (대전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박명화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tient-centered care is a widely utilized concept in nursing and health care. However, the key components of patient-centered nursing have not yet been reported. Moreover, previous studies on patient-centered care have mostly focused on components of nursing rather than organizational f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환자중심간호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간호사 개인의 특성만을 포함하거나 조직적 특성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조직적 요인이 간호사 개인적 요인에 영향을 주고 간호사의 개인적 요인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과정에 대해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설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Cormack과 McCance [12]의 인간중심간호 이론을 토대로 병원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경로를 밝히고, 환자중심간호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함으로써 환자중심간호 향상을 위한 중재 전략 및 통합적 지식체 구축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McCormack과 McCance [12]의 인간중심간호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근거로 하여 병원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구조모형 구축연구이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혁신적 조직문화와 팀워크,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공감이 환자중심 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McCormack과 McCance [12]의 인간중심간호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구축한 가설적 모형에서 조직적 요인으로 혁신적 조직문화, 팀워크를 포함시켜 경험적 자료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공감과 셀프리더십, 팀워크와 혁신적 조직문화를 통한 환자중심간호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모형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일반적 특성(나이, 성별, 결혼 상태, 종교)과 직업적 특성(직위, 근무부서, 병원의 간호등급, 병원 규모, 총 근무경력, 최근 부서 근무경력,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교육 경험,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교육 요구)과 같은 환자중심간호에 영향을 주고 표본의 속성에 국한될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한 후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Mead와 Bower [13]의 환자중심성 개념틀에서 의료진의 속해 있는 조직의 특성이 의료진의 개인적 요인인 태도, 가치, 지식 등에 영향을 미쳐 환자중심성 행동에 도달한다는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팀워크와 혁신적 조직 문화가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였고, 공감과 셀프리더십을 매개변수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중심간호 이론의 주요 개념과 함께 선행연구 고찰[13]을 통해 조직적 특성이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환자중심간호에 도달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간호사 개인적 요소와 조직적 요소로 따로 분리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가설적 모형에서 외생변수인 혁신적 조직문화와 팀워크, 내생변수인 셀프리더십과 공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 경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외생변수인 혁신적 조직문화는 셀프리더십을 거쳐 환자중심간호에 간접효과, 외생변수인 팀워크는 공감을 거쳐 환자중심간호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경로를 설정하였다.​​​​​​​
  • 따라서 가설적 모형에서 외생변수인 혁신적 조직문화와 팀워크, 내생변수인 셀프리더십과 공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 경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외생변수인 혁신적 조직문화는 셀프리더십을 거쳐 환자중심간호에 간접효과, 외생변수인 팀워크는 공감을 거쳐 환자중심간호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경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중심간호는 어떤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는가? 환자중심간호(Patient-centered nursing)는 대상자의 가치 및 자율성을 존중하는 전인적인 접근법으로, 환자의 개별적 요구에 초점을 맞춰 전문적 간호 실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4]. 환자중심간호는 ‘인간중심간호’,‘거주자중심돌봄’,‘고객중심돌봄’,‘개별화된 간호’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5], 측정을 위한 도구로 Suhonen 등[6]의 개별화된 간호 인식 측정도구(Individualised Care Scale [ICS])가 다양한 간호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7-10]. 환자중심간호는 간호사가 임상에서 환자를 돌봄에 있어 처방에 따른 투약이나 간호과정을 통한 중재를 수행하는 일상적 간호 뿐 아니라, 환자 개별적 요구를 경청하고 공감하며, 환자를 간호에 참여시키고, 환자 간호에 대해 다학제적 팀원 간 의사소통하는 활동을 포함한다[11].
환자중심간호(Patient-centered nursing)란? 환자중심간호(Patient-centered nursing)는 대상자의 가치 및 자율성을 존중하는 전인적인 접근법으로, 환자의 개별적 요구에 초점을 맞춰 전문적 간호 실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4]. 환자중심간호는 ‘인간중심간호’,‘거주자중심돌봄’,‘고객중심돌봄’,‘개별화된 간호’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5], 측정을 위한 도구로 Suhonen 등[6]의 개별화된 간호 인식 측정도구(Individualised Care Scale [ICS])가 다양한 간호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7-10].
환자의 권리 존중 및 보호에 대한 중요성으로서 각 병원에서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최근 의료소비자로서 환자의 위상 변화에 발맞춰 각 병원에서는 환자중심의료를 비전 및 정책에 포함시키고 있으며[1], 환자의 권리 존중 및 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2]. 이에 환자에게 가장 가까이에서 24시간 환자를 돌보는 간호 영역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환자중심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im EK, Kim SY, Lee E. Analysis of mission statemen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hospital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4):565-575. https://doi.org/10.4040/jkan.2015.45.4.565 

  2.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IHA). Criteria for 2-cycle health care accreditation in acute hospitals (ver 2.1) [Internet]. Seoul: KOIHA; c2016 [cited 2018 Sep 09]. Available from: http://www.koiha.kr/. 

  3. Papastavrou E, Acaroglu R, Sendir M, Berg A, Efstathiou G, Idvall 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zed care and the practice environment: An intern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1):121-133.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4.05.008 

  4. Lusk JM, Fater K.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Forum. 2013;48(2):89-98. https://doi.org/10.1111/nuf.12019 

  5. Morgan S, Yoder LH. A concept analysis of person-centered care.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2;30(1):6-15. https://doi.org/10.1177/0898010111412189 

  6. Suhonen R, Gustafsson ML, Katajisto J, Valimaki M, Leino-Kilpi H. Individualized care scale - nurse version: A Finnish validation stud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2010;16(1):145-154. https://doi.org/10.1111/j.1365-2753.2009.01168.x 

  7. Yang IS. 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focusing on heart disea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2008;9(1):37-56. 

  8. Lee JE. Patients' and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centered nursing care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University; 2015. p. 1-62. 

  9. Charalambous A, Katajisto J, Valimaki M, Leino-Kilpi H, Suhonen R. Individualised care and the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Nurses' perception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0;57(4):500-507. https://doi.org/10.1111/j.1466-7657.2010.00831.x 

  10. Suhonen R, Stolt M, Gustafsson ML, Katajisto J, Charalambous A. The associations among the ethical climate, the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and individualized care in care settings for older peop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6):1356-1368. https://doi.org/10.1111/jan.12297 

  11. Bolster D, Manias E. Person-centred interaction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during medication activities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Qualitative observation and inter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2):154-16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9.05.021 

  12. McCormack B, McCance T. Person-centred nursing: Theory, models and methods. Chichester: Wiley-Blackwell; 2010. p. 1-269. 

  13. Mead N, Bower P. Patient-centrednes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Social Science & Medicine. 2000;51(7):1087-1110.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098-8 

  14. Brown D, McWilliam C, Ward-Griffin C. Client-centred empowering partnering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3(2):160-16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711.x 

  15. Slater P, McCance T, McCormack B. Exploring person-centred practice within acute hospital settings. International Practice Development Journal. 2015;5(Suppl 9):1-8. https://doi.org/10.19043/ipdj.5SP.011 

  16. Pelzang R. Time to learn: Understanding patient-centred car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0;19(14):912-917. https://doi.org/10.12968/bjon.2010.19.14.49050 

  17. Sagong H, Lee GE. Person-centered care and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4):309-318.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4.309 

  18. Kitson A, Marshall A, Bassett K, Zeitz K. What are the core elements of patient-centred care? A narrative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from health policy, medicine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1):4-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6064.x 

  19. Cohen-Mansfield J, Parpura-Gill A. Practice style in the nursing home: Dimensions for assessment and quality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8;23(4):376-386. https://doi.org/10.1002/gps.1888 

  20. Kirkley C, Bamford C, Poole M, Arksey H, Hughes J, Bond J. The impact of organisational culture on the delivery of person-centred care in services providing respite care and short breaks for people with dementia.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011;19(4):438-448. https://doi.org/10.1111/j.1365-2524.2011.00998.x 

  21. Luxford K, Safran DG, Delbanco T. Promoting patient-centered care: A qualitative study of facilitators and barrier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with a reputation for improving the patien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1;23(5):510-515. https://doi.org/10.1093/intqhc/mzr024 

  22. Rogers EM. Diffusion of innovations. Kim YS, Kang NW, Park HK, translators. Seoul: Communication Books, Inc.; c2005. p. 1-576. 

  23. Haley B, Heo S, Wright P, Barone C, Rettiganti MR, Anders M. Relationships among active listening, self-awareness, empathy, and patient-centered care in associate and baccalaure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ingPlus Open. 2017;3:11-16. https://doi.org/10.1016/j.npls.2017.05.001 

  24. Manz CC, Sims HP Jr.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91;19(4):18-35. https://doi.org/10.1016/0090-2616(91)90051-A 

  25. Won HJ, Cho SH.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382-393.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3.382 

  26. Kim MS, Han SJ, Kim JH.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175-184. 

  27. Kim MS.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731-740. https://doi.org/10.4040/jkan.2009.39.5.731 

  28. Hojat M, Bianco JA, Mann D, Massello D, Calabrese LH. Overlap between empathy, teamwork and integrative approach to patient care. Medical Teacher. 2015;37(8):755-758. https://doi.org/10.3109/0142159X.2014.971722 

  29. Xyrichis A, Ream E. Teamwork: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1(2):232-24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496.x 

  30.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Seoul: Chenngram Books; 2011. p. 1-668. 

  31.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1-567. 

  32. Battles J, King HB. $TeamSTEPPS^{(R)}$ team work perceptions questionnaire (T-TPQ) manual [Internet]. Washington, DC: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 c2010 [cited 2018 Sep 9]. Available from: https://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teamstepps/instructor/reference/teamperceptionsmanual.pdf. 

  33. Ahn SA, Lee NJ. The effect of operating room nursing and medical staff teamwork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surgical patient safety protocol.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6;9(1):27-39. 

  34. Hojat M, Mangione S, Nasca TJ, Cohen MJM, Gonnella JS, Erdmann JB, et al.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1;61(2):349-365. https://doi.org/10.1177/00131640121971158 

  35. Ryu HR, Bang KS.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Jefferson empathy scale for health professionals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2):207-214.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07 

  36.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p. 1-115. 

  37.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p. 1-83. 

  38. Wong N, Rindfleisch A, Burroughs JE. Do reverse-worded items confound measures in cross-cultural consumer research? The case of the material values scal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03;30(1):72-91. https://doi.org/10.1086/374697 

  39. Hayes A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2013. p. 1-507. 

  40. Lynch BM, McCormack B, McCance T. Development of a model of situational leadership in residential care for older peopl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8):1058-1069.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1.01275.x 

  41. Neumann M, Edelhauser F, Tauschel D, Fischer MR, Wirtz M, Woopen C, et al. Empathy decline and its reasons: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with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cademic Medicine. 2011;86(8):996-1009.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221e615 

  42. Lee IK. To seek 'Homo empathicus': A study on the empathy discourse-based charact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4;8(1):311-342. 

  43. Lamb BW, Taylor C, Lamb JN, Strickland SL, Vincent C, Green JSA, et al.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teamworking and patient centeredness in multidisciplinary cancer teams: Findings of a national stud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13;20(5):1408-1416. https://doi.org/10.1245/s10434-012-2676-9 

  44. Rosvik J, Brooker D, Mjorud M, Kirkevold O. What is person-centred care in dementia? Clinical reviews into practice: The development of the VIPS practice model.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2013;23(2):155-163. https://doi.org/10.1017/S0959259813000014 

  45. Henrikson M. Great leaders are made, not born. AWHONN Lifelines. 2006;10(6):510-515. https://doi.org/10.1111/j.1552-6356.2006.00101.x 

  46. Lee MJ, Han JS, Jang YM. Convergence study of the effects of nurses' perceive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on their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1):303-311.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303 

  47. Kwon HJ, Suk BH, Chee SJ, Ahn YM, Kim YJ, Park SA,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