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o the Person-Centered Care among Critical Care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2, 2020년, pp.36 - 44  

최승혜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erson-centered care is essential for better patient outco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person-centered care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 : This study was cross sectional survey,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107 ICU nurses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공감 간호 능력은 단순히 훈련을 오래 받는다고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정서적, 정신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능력이 함께 요구되므로 교육수준, 근무 연수 등을 포함하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중요하다(Levinson, Lesser, & Epstein, 2010; Kitson, Marshall, Bassett, & Zeitz, 2013).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공감 피로, 공감 만족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의 공감 간호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것은? 2018b), 간호사의 특성, 공감 피로, 공감 만족이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드물었다. 공감 간호 능력은 단순히 훈련을 오래 받는다고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정서적, 정신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능력이 함께 요구되므로 교육수준, 근무 연수 등을 포함하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중요하다(Levinson, Lesser, & Epstein, 2010; Kitson, Marshall, Bassett, & Zeitz, 2013).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공감 피로, 공감 만족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공감 간호의 두가지 측면은? , 2018). 공감 간호의 두가지 측면인 공감 피로와 공감만족, 그리고 간호사의 스트레스, 소진, 무력감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Zhang et al., 2018a; Zhang etal.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보호자 요구 중 정보, 근접, 정서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그리고 공감 만족이 높을수록 인간중심간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인간중심간호 수행 정도가 높은 특성을 가진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향후 다른 간호사들의 멘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ll, E., Campbell, S., & Goldberg, L. R. (2015). Nursing identity and patient-centredness in scholarly health services research: A computational text analysis of PubMed abstracts 1986-2013.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5,(3). 

  2. Cameron, J. I., Chu, L. M., Matte, A., Tomlinson, G., Chan, L., Thomas, C., . . . Canadian Critical Care Trials, G. (2016). One-year outcomes in caregivers of critically ill patien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4(19), 1831-1841. 

  3. Choi, Y. M. (201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Jakimowicz, S., & Perry, L. (2015).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red nurs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7), 1499-1517. 

  5. Jakimowicz, S., Perry, L., & Lewis, J. (2018). Insights on compassion and patient-centred nursing in intensive care: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7(7-8), 1599-1611. 

  6. Jeong, H., & Park, M. H. (2019). A predictive model on patient-centered car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2), 191-202. 

  7. Kang, J. Y., & Shin, E. J. (2019). The relathionship between person-centered nursing and family satisfaction in ICU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2(3), 1-12. 

  8. Kang, J. Y., Cho, Y. S., Jung, Y. J., Kim, S. K., Youn, S. Y., & Shim, M. Y.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 assess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3), 323-334. 

  9. Kim, H. J.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i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0. Kitson, A., Marshall, A., Bassett, K., & Zeitz, K. (2013). What are the core elements of patientcentred care? A narrative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from health policy, medicine and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9(1), 4-15. 

  11. Lee, Y. G., & Na, J. I. (2015).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ICU room charges in the hospital.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4(1), 28-41. 

  12. Levinson, W., Lesser, C. S., & Epstein, R. M. (2010). Developing physician communication skills for patient-centered care. Health Affairs, 29(7), 1310-1318. 

  13. McGrath, M. (2008). The challenges of caring in a technological environment: Critical care nurses' experien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8), 1096-1104. 

  14. Missouridou, E. (2017). Secondary posttraumatic stress and nurses' emotional responses to patient's trauma. Journal of Trauma Nursing, 24(2), 110-115. 

  15. O'Connell, E. (2008). Therapeutic relationships in critical care nursing: A reflection on practice. Nursing Critical Care, 13(3), 138-143. 

  16. Olesen, T. S. W., Kruse, M., Pawlowicz-Dworzanska, M., Klostergaard, K., & Leutscher, P. D. C. (2017). Post intensive care syndrome. Ugeskr Laeger, 179(45), V12160915. 

  17. Santana, M. J., Manalili, K., Jolley, R. J., Zelinsky, S., Quan, H., & Lu, M. (2018). How to practice person-centred care: A conceptual framework. Health Expectations, 21(2), 429-440. 

  18. Sawatzky, J. A., Enns, C. L., & Legare, C. (2015). Identifying the key predictors for retention in critical car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10), 2315-2325. 

  19. Stamm, B. H. (2010).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Retrieved January 02, 2020, from http://www.proqol.org/ProQOl_Test_Manuals.html 

  20. TS, J. A., Olsson, L. E., Ekman, I., & Carlstrom, E. (2014).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outcome of hospital ca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erson-centred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42(1), 104-110.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Quality of care: A process for making strategic choices in health system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eved January 02, 2020,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43470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People-centred health care: A policy framew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eved January 02, 2020, from https://iris.wpro.who.int/handle/10665.1/5420 

  23. Zhang, Y. Y., Han, W. L., Qin, W., Yin, H. X., Zhang, C. F., Kong, C., & Wang, Y. L. (2018a). Extent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nurs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6(7), 810-819. 

  24. Zhang, Y. Y., Zhang, C., Han, X. R., Li, W., & Wang, Y. L. (2018b). Determinan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 out in nursing: A correlative meta-analysis. Medicine, 97(26), e110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