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우스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의 재배시기별 생육, 유효성분 및 물성의 변화
Changes in Growth, Active Ingredient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Greenhouse-cultivated Ginseng Sprout during its Growth Period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7 no.2, 2019년, pp.126 - 135  

성봉재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김선익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지무근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이희철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권아름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김현호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  원준연 (중부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  이가순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인삼약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ginseng ginsenosides,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re known to be more abundant in the leaves than in the roots, and the consumers' interest in ginseng sprout as a functional vegetable has been increasing. Methods and Res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년생 묘삼을 이용하여 새싹인삼을 무가온 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재배시기별로 새싹인삼의 생육적 특성, 유효성분 및 물성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새싹인삼을 샐러드 및 쌈용으로 이용 시 최적의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싹채소는 무엇인가? 새싹채소는 싹채소, 어린싹 및 싹기름 채소라고 부르며,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떡잎이 전개되거나 그 전 단계에서 모든부위를 이용하거나 배축부를 절단하여 이용하는 채소이다(Kim and Lee, 2010). 또한 쌈 채소는 엽채류와 양채류 중에서 쌈용으로 소비하는 채소로서 상추, 치커리, 쑥갓, 깻잎, 케일 등 다종이 많이 재배 생산되고 있다 (Jun et al.
새싹채소 섭취시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 2012;Lee and Park, 2014).새싹채소는 종자에서 싹이 터 자신의 성장을 위해서 영양소와 생리활성 물질을 생합성하므로 완전히 성장한 채소나 종자에 비해 그 함량이 높고, 무기질, 비타민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가 있다 (Kim et al., 1997; Lee et al.
새싹인삼을 재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9).그런데 인삼 잎을 이용하기 위해 수확을 하게 되면 논이나밭에서 재배되고 있는 인삼은 더 성장할 수 없게 되어 뿌리와 잎을 모두 이용하기에는 좀 어려운 실정이고 또 밭에서 정상적으로 재배된 인삼 잎은 경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쓴맛이 너무 강하여 쌈 채소로 이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 묘삼을 이용하여 새싹 삼을 만든 다음 인삼의 모든 부위를 다 식용할 수 있도록 새싹인삼이 재배 생산되어 소비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조가영, 박효민, 권이경, 조성아, 강병영, 김윤범. 인삼 추출물 함유 한방화장품이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Skindex-16을 중심으로.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41, no.4, 333-340.

  2. 최재을, 이누리, 조서리, 김정선, 최영규. 폐쇄형 하우스를 이용한 인삼 재배에서 상토의 조성이 2년 근 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20, no.4, 217-221.

  3.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Choi 17 251 2009 Changes of saponin contents of leaves, stems an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 A. Meyer by harvesting days 

  4. COSETENG, M.Y., LEE, C.Y.. Changes in Apple Polyphenoloxidase and Polypheno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Degree of Browning.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2, no.4, 985-989.

  5.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Jang 26 205 2018 10.7783/KJMCS.2018.26.3.205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ginseng sprouts depending on harvest time 

  6.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of Korea Jeon 37 75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7.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Jeong 26 464 2018 10.7783/KJMCS.2018.26.6.464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of one year old ginseng seedlings in hydrophonic culture over a range of days after transplanting 

  8.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Jo 42 361 2011 The comparison of ginseng prosapogenin composition and contents in red and black ginseng 

  9. 전소윤, 김태훈, 황성헌. 새싹채소 및 쌈채소의 선호도 및 소비실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ol.19, no.5, 783-791.

  10. Korean Journal of Food Cook Science Kim 26 238 201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of the processing products of sprouts vegetables 

  11. 김관후, 성봉재, 김선익, 한승호, 김현호, 이가순. 인삼 1차 부산물의 생산량 및 기능성 성분 특성.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19, no.5, 313-318.

  12.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im 26 1058 1997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amino acid and vitamin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13. 김기쁨, 김경희, 육홍선. 새싹인삼을 첨가한 카스텔라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5, no.5, 711-716.

  14.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Kim 25 397 2017 10.7783/KJMCS.2017.25.6.397 Determination of growth, yield and carbohydrate content of Allium hookeri grown under shading treatment 

  15.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Krygier 30 330 1982 10.1021/jf00110a028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 Part 1: Extraction and purification procedure 

  16.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Lee 16 699 2009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postharvest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17. 이경숙, 박금순. 새싹채소의 기호도 및 이용 실태.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ol.24, no.6, 896-905.

  18.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Lee 39 1194 2010 10.3746/jkfn.2010.39.8.1194 Ginsenoside,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fermented ginseng leaf 

  19.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DFS) 2015 

  20.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DFS) 2017 

  21.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Song 25 381 2017 10.7783/KJMCS.2017.25.6.381 Comparative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s by quanitative charact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germplasm of Panax ginseng C. A. Meyer collected in Korea and China 

  22.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Xie 4 1 2004 10.3742/OPEM.2004.4.1.001 Constituents and effects of ginseng leaf 

  23. YAHARA, SHOJI, KAJI, KIYOKO, TANAKA, OSAMU. Further study on dammarane-type saponins of roots, leaves, flower-buds, and fruits of Panax giinseng C.A. Meyer..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vol.27, no.1, 88-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