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 on Depression in Mothers of Toddle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96 - 204  

채현이 (충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최미영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 on depression in mothers of toddler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64 mothers of toddle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 어머니의 우울은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고, 가정 전체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할 건강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아동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우울을 중재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유아를 양육 하는 어머니의 우울 연구 및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대상자 중 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 어머니의 우울이 주의깊게 다루어야 할 건강문제인 이유는? 유아 어머니의 우울은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고, 가정 전체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깊게 다루어야 할 건강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아동 어머니의 자아정체감, 양육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우울을 중재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유아 어머니의 우울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대상자 중 37.8%가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의 우울이었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정체감, 어머니가 지각한 본인의 건강상태, 경제수준이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가 유아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설명력은 60.
우울이란 무엇입니까? 우울은 살아가면서 경험할 수 있는 심리적 불안정 상태로, 신체증상을 동반하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건강 관련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크며[1],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2]. 특히 여성이 평생 우울을 앓을 가능성은 남성의 약 2배이며, 이러한 성별 차이는 사춘기부터 노년기까지 지속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1 Turney K Chronic and proximate depression among mothers: Implications for child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11 73 1 149 163 10.1111/j.1741-3737.2010.00795.x 

  2. 2 Kwag BG Park JC Lee W Chang SH Chun DH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Using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8 8 2 236 243 10.21215/kjfp.2018.8.2.236 

  3. 3 Kuehner C Why is depression more common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e Lancet Psychiatry 2017 4 2 146 158 10.1016/S2215-0366(16)30263-2 27856392 

  4. 4 Hong J Lee D Ham B Lee S Sung S Yoon T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msung Medical Center 2016 [cited 2019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320&CONT_SEQ=339138&FILE_SEQ=205844 

  5. 5 Letourneau NL Tramonte L Willms JD Maternal depression,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longitudinal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3 28 3 223 234 10.1016/j.pedn.2012.07.014 22940454 

  6. 6 Lee WJ Kim GH The trajectories and predictors of maternal post natal depressive symptoms in a high risk group, based on latent growth model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5 36 3 77 92 10.5723/kjcs.2015.36.3.77 

  7. 7 Giallo R Cooklin A Nicholson JM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rajectories of mothers' depressive symptoms across the early parenting period: An Australian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14 17 2 115 125 10.1007/s00737-014-0411-1 

  8. 8 van Doorn MM Kuijpers RC Lichtwarck-Aschoff A Bodden D Jansen M Granic I Does mother-child interaction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ren's mental health proble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16 25 4 1257 1268 10.1007/s10826-015-0309-1 27004017 

  9. 9 Crnic KA Greenberg MT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1990 61 5 1628 1637 10.2307/1130770 2245752 

  10. 10 Mercer RT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 36 3 226 232 10.1111/j.1547-5069.2004.04042.x 15495491 

  11. 11 Jung YY Kim HW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e on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 20 1 29 37 10.4069/kjwhn.2014.20.1.29 

  12. 12 Jung E Lee M A study on ego-identity of the mothers having own children in infancy Journal of Human Science 2009 29 1 71 98 

  13. 13 Chae HJ Song JE Kim S Predictors of maternal identity of Korean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 6 733 741 10.4040/jkan.2011.41.6.733 22310857 

  14. 14 Gross D Rocissano L Maternal confidence in toddlerhood: Its measurement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The Nurse Practitioner 1988 13 3 19 29 3374866 

  15. 15 Sanders MR Mazzucchelli TG The promotion of self-regulation through parenting interventions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2013 16 1 1 17 10.1007/s10567-013-0129-z 23397366 

  16. 16 Kohlhoff J Barnett B Parenting self-efficacy: Links with maternal depression, infant behaviour and adult attachment Early Human Development 2013 89 4 249 256 10.1016/j.earlhumdev.2013.01.008 23398731 

  17. 17 Berkule SB Cates CB Dreyer BP Huberman HS Arevalo J Burtchen N Reducing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hrough promotion of parenting in pediatric primary care Clinical Pediatrics 2014 53 5 460 469 10.1177/0009922814528033 24707022 

  18. 18 Kim MY Park DY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 15 4 375 382 10.4094/jkachn.2009.15.4.375 

  19. 19 Kim CG Choi MY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depression: Secondary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 28 3 288 301 10.7475/kjan.2016.28.3.288 

  20. 20 Song HY Ju WJ Pang Y Effects of psychological, parenting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leve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8 29 4 393 403 10.12799/jkachn.2018.29.4.393 

  21. 21 Folkman S Lazarus R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5 48 1 150 170 2980281 

  22. 22 Kim JY Chung KS Relations between sense of humor, stress coping style, and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er's mother Journal of Life-span Studies 2013 3 1 59 77 

  23. 23 Park JS Shin HJ Park AS Relationships among mother's thinking styles, stress coping styles, and child-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8 29 3 55 72 

  24. 24 Woodman A Hauser Cram P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in predicting change in parenting 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other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013 57 6 513 530 10.1111/j.1365-2788.2012.01555.x 22563652 

  25. 25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 1 3 385 401 10.1177/014662167700100306 

  26. 26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 6 1 59 76 

  27. 27 Dignan MH Ego identity and mater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65 1 5 476 483 10.1037/h0021861 14328764 

  28. 28 Kim J Park J The effects of home visit parenting coaching program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in familie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017 17 3 1 31 10.21214/kecse.2017.17.3.1 

  29. 29 Kim CH Lee 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stress coping style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1985 7 127 138 

  30. 30 Yoon SY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by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1 1 8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