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모듈의 광질 및 점멸주기에 따른 오이접목묘의 활착 및 생장 특성
Graft-taking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rafted Cucumber(Cucumis sativus L.) Seedlings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and Blink Cycle of LED Module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2, 2019년, pp.143 - 149  

김형곤 (전북대학교 농업기계ICT융합연구소) ,  최유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물산업정밀기계공학과) ,  김용현 (전북대학교 농업기계ICT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활착실 내의 인공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모듈의 광질 및 점멸주기가 오이접목묘의 활착 및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LED 모듈의 광질을 4수준(청색광, 적색광, 청색광/적색광 혼합, 백색광)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점멸주기를 4수준(5s/5s, 7s/3s, 9s/1s, control)으로 설정하였다. 대조구의 명기와 암기는 12h 간격으로 반복되었다. 활착실 내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 기온 및 습도를 각각 $100{\mu}mol{\cdot}m^{-2}{\cdot}s^{-1}$, $25^{\circ}C$, 90%로 조절하였다. 오이접목묘의 활착에 미치는 광질의 효과는 5s/5s의 점멸주기를 지닌 청색광 처리구를 제외하면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구나, 점멸주기와 무관하게 적색LED, 청색/적색 혼합 LED, 백색 LED 처리구에서의 활착율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접목묘의 활착에 미치는 광질 또는 점멸주기의 영향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이접목묘의 엽장, 엽면적, 생체중에 미치는 광질과 점멸주기의 영향은 청색 또는 적색LED의 9s/1s 주기에서 유의차가 인정될 만큼 높게 나타났다. 백색LED하에서 활착된 오이접목묘의 생장에 미치는 점멸주기의 영향은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백색LED 모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제조단가 등을 고려할 때 활착용 조명으로 백색LED의 활용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and blink cycle of LED modules. Four light quality treatments, namely blue, red, blue+red, white LED and four blink cycle levels of 5s/5s, 7s/3s, 9s/1s and control were pr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D 조명의 광질 및 점멸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경우 과채류 접목묘의 활착에 미치는 영향이 같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관한 보고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실용적인 활착용 인공광원의 탐색을 목적으로 백색LED를 포함하여 활착실내의 인공광원으로 사용 가능한 LED 모듈의 광질과 점멸주기에 따른 오이 접목묘의 활착 및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 선반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각 단에서의 기온 및 상대습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로 말미암아 접목묘의 활착 또는 생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PID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활착실 내에 설치된 유닛쿨러와 가습기를 제어하였다. 또한 인버터를 사용하여 유닛쿨러에 부착된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활착실 내의 풍속을 조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칩은 무엇인가? LED는 제조 단계에 따라 칩(chip), 패키지(package)및 모듈(module)로 구분된다. 칩은 웨이퍼(wafer)에 전극을 형성하고 절단하는 등의 공정에 의해서 발광이 이루어지는 최소의 단위이다. 패키지 단계는 LED칩을 기판전극과 연결하고 형광체와 함께 밀봉하는 공정으로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열 설계, 형광체 도포 및 렌즈 장착 등이 포함된다.
백색은 약 30원/개으로 청색이나 적색에 비해 저렴한 이유는? kr/). 백색LED의소자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산업 분야에서 백색LED의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패키지 단계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칩은 웨이퍼(wafer)에 전극을 형성하고 절단하는 등의 공정에 의해서 발광이 이루어지는 최소의 단위이다. 패키지 단계는 LED칩을 기판전극과 연결하고 형광체와 함께 밀봉하는 공정으로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열 설계, 형광체 도포 및 렌즈 장착 등이 포함된다. 모듈 공정에서는 패키징된 LED를 일정한 프레임에 부착해 응용제품으로 만들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Kyung Jin, Cho, Ji Yoon, Park, In Sook, Oh, Wook. Effects of Duty Ratio of Pulsed LED Light on Growth and Photosynthetic Rate of Lettuce Grown in a Plant Factory System.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vol.16, no.6, 427-434.

  2. 郭霞, 刘巧莉, 李冲, 刘白, 董建, 沈光地. Phosphor-free white light-emitting diodes. Chinese Physics B, vol.24, no.6, 068505-.

  3. Jang, Yoon-Ah, Goto, Eiji, Ishigami, Yasuhiro, Mun, Bo-Heum, Chun, Chang-Hoo.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Relative Humidity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Graft-take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during Healing and Acclimatization.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2, no.4, 331-338.

  4. Jao, Ruey-Chi, Fang, Wei. Effects of Frequency and Duty Ratio on the Growth of Potato Plantlets In Vitro Using Light-emitting Diodes. HortScience :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vol.39, no.2, 375-379.

  5. Kanechi, M., Maekawa, A., Nishida, Y., Miyashita, E.. Effects of pulsed lighting based light-emitting diodes on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lettuce leaves. Acta horticulturae, vol.1134, 207-214.

  6. 김형곤, 이재수, 김용현. LED 램프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이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ol.27, no.3, 231-238.

  7. 김성진, 복권정, 이공인, 박종석. LED의 간헐조명과 RGB 비율에 따른 상추의 품종별 생육 특성.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ol.26, no.2, 123-132.

  8. 10.1007/978-94-015-9371-7_14 

  9. Naznin, M.T., Lefsrud, M., Gravel, V., Hao, X.. Using different ratios of red and blue LEDs to improve th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Acta horticulturae, vol.1134, 125-130.

  10. Shibuya, Toshio, Tsuruyama, Johshin, Kitaya, Yoshiaki, Kiyota, Makoto. Enhancement of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tomato seedlings by forced ventilation within the canopy. Scientia horticulturae, vol.109, no.3, 218-2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