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교사 요구사항 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and teachers' need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aker-centered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3 no.2, 2019년, pp.117 - 129  

박태정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  차현진 (단국대학교 교양교육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메이커 중심 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메이커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메이커 교육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연구 문맥으로 설정하고, 5일간 구성된 교사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에서의 효과 분석과 연수 프로그램 후 교사들이 제안하는 메이커 중심 교육의 현장 정착 및 활성화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교육현장에서 혁신적인 교수 방법과 정책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이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교원 양성 프로그램 설계 방향과 메이커 중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to promote maker-centered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on the design and practic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y studying a cas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context was set on a teacher's training program provi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 및 운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상 단순히 지식으로만 알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하기보다 실질적인 메이커 교육 연수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중요성과 실행을 경험한 교사들로부터 메이커 교육이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함으로써 메이커 교육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마지막으로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시행 후 교사들이 메이커 중심 교육을 학교 현장에 정착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느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 하지만, 메이커 중심의 수업에서 교수 설계를 도와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수업 절차, DT 적용 등에 대해서는 타 효과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교사 연수에 대한 기타 효과로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고 유용한 SW에 대한 지식을 논의하였다.
  • S구청에서는 지역 IT특화 산업지구의 활성화와 창업 및 중소기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 시제품 제작 및 메이커 문화체험 공간으로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메이커스페이스에는 3D 프린팅과 레이저커터기 등의 주요 메이킹 시설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사례는 S구청 메이커스페이스에서 2018년 8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5일간 구성된 교사 역량강화 프로그램에서 효과와 교사 연수 프로그램 후 교사들이 제안하는 메이커 중심 교육의 현장 정착 및 활성화를 요구사항을 도출하고자 양적 및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메이커 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메이커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2018년 여름학기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참여 교사들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설문과 성찰 분석을 실시하였다.
  • 메이커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메이커 교육에 대한 자발적인 교사 커뮤니티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수행된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외부적인 측면에서의 메이커중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요인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자발적인 교사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내적 동기와 열정을 통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적 동기와 요인에 대해서는 심층적으로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 교육 지원을 위한 교원 역량을 강화 차원에서 S구 교육지원청에서 제공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S구청에서는 지역 IT특화 산업지구의 활성화와 창업 및 중소기업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 시제품 제작 및 메이커 문화체험 공간으로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메이커스페이스에는 3D 프린팅과 레이저커터기 등의 주요 메이킹 시설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 하지만, 이렇게 자발적인 교사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내적 동기와 열정을 통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적 동기와 요인에 대해서는 심층적으로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자발적인 교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중심 교육의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는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마지막으로,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의 다양한 여건을 가진 학교 현장의 다수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좀 더 일반화될 수 있는 지역별/학교급별/학교여건별 맞춤화된 메이커 교육의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DT와 관련된 교수·학습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DT를 교사 교육 관점에서 접근하고 체계화하려는 노력이 아직까지는 부족한 편이다[6]. 이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DT에 중점을 둔 메이커 교육 연수프로그램 개발하여 운영한 다음, 참여 현직교사들의 경험과 성찰, 학습결과물을 분석하여 본 연수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메이커교육 정착 및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운영 및 평가의 과정은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 및 운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메이커 교육의 특성상 단순히 지식으로만 알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하기보다 실질적인 메이커 교육 연수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중요성과 실행을 경험한 교사들로부터 메이커 교육이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함으로써 메이커 교육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이 분석 결과의 일반화 보다는 사례의 탐색을 통해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초·중등학교 교육 현장에 메이커 중심의 교육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주의적 학습자중심의 메이커 기반 교수의 장점은 무엇인가? 교육계가 메이커 활동을 수용하여 교육적 실천으로 이어지면서 메이커 교육이라는 용어가 도입되고 교육적 효용성에 있어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28]. 학생들을 창의·융합형 미래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구성주의적 학습자중심의 메이커 기반 교수(maker-centered learning)는 협업, 창의성, 문제해결력, 공동체 역량 등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12][33].
디자인 사고란 무엇인가? 이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이다. 디자인 사고는 실제제품을 사용할 최종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해 공감하며 개개인이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체화하고 정교화하기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으로 예술, 공학, 과학, 건축, 경제, 경영 등의 다양한 융합학문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디자인 사고 기반 수업을 개발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한 사례 연구들[7][13][29][34]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메이커 운동의 확산을 방해하는 원인은? 국내 메이커 교육은 전국의 메이커스페이스들에 3D 프린터를 우선적으로 설치하면서 3D프린터 교육으로 인지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1][20]. 아울러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강조하고 있는 ICT 분야는 해당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메이커들의 초기진입 장벽 또한 높다. 따라서 메이커 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인의 진입 문턱을 낮추고 일반 메이커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 예를 들어 생활, 문화, 예술 등의 분야로 메이커 교육의 외연을 넓혀야 한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yun, M.K., Jo, J.H. & Jo, M.H. (2015). Analysis of Learn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3D Printing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5), 877-884. 

  2. Byun, M.K. & Choi, I.S. (2018). Exploring the Direction of Korean Maker Education for Activating Maker s Move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1, 39-50. 

  3. Cha, H.J. & Park, T.J. (2018). A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to promote maker education at the Korean primary & secondary school level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lobal maker education best pract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97-113. 

  4. Choi, H.K. (2017). The Discursive Topography in Maker Cultur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aker Mov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82, 73-103. 

  5. Choi, H.S. & Kim, M.S. (2017). Designing a New Teacher Education Course for Integrating Design Thinking with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3), 343-350. 

  6. Choi, H.S. & Kim, M.S. (2017). Connecting design think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ontext of Korean prim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2017. Hong Kong. 

  7. Clapp, E.P., Ross, J., Ryan, J.O. & Tishman, S. (2016). Maker-centered learning: Empowering young people to shape their worlds. John Wiley & Sons. 

  8.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7(3), 11-14. 

  9. Elo, S. &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10. Glazewski, K.D. & McKay, C.S. (2016). Designing Maker-Based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B. J. Beatty, & R. D Myers (Eds.),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e IV (pp. 161-188). New York: Routledge. 

  11. Hatch, M. (2014).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rules for innovation in the new world of crafters, hackers, and tinkerers.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12. Halverson, E.R., & Sheridan, K.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5-504. 

  13. Hong, J.S. & Jang, H.Y. (2018). Exploring the Development and Possibility of Learning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2), 1309-1337. 

  14. Hur, K. Lee, J.Y., Lee, H.M. & Lee, H.S. (2015).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hysical Computing using Arduino N-screen Communication Boards. Journal of Korean institu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7(2), 97-105. 

  15. Hwang, Y.H., Mun, K.J. & Park, Y.B. (2016). Study of Perception on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oftware Inquiry Activity: Focus on using Scratch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325-335. 

  16. Jeon, S.K. (2016). A study o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for Sustainable Interest Development. Doctorial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Jung, M.Y., Kim, S.I. & Kim, J.S. (2018). Development of Bicycle Lighting Device Maker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sia 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 235-244. 

  18. Kang, I.A. & Choi, S.K. (2017). Maker Mindsets Experienced Through the Maker Activity in Library: Focusing on Social Relationships among Make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9), 407-430. 

  19. Kang, I.A. & Kim, H.S. (2017). Exploring the Value of the Maker Mind Set at Maker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50-267. 

  20. Kang, I.A., Kim, Y.S. & Yoon, H.J. (2017). Fostering Entrepreneurship by Maker Education : A Case Study in a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53-264. 

  21. Kang, M.J. (2018).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22. KERIS (2016). Redesigning education and emerging school models in the age of technology. KERIS Research Material KR2016-3. 

  23. Kim, J.H. & Kim, T.Y. (2016). The Effect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onvergence Capability of Secondary Mathematics-Science Gift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puter education, 19(2), 87-98. 

  24. Kim, S.Y., Jeong, Y.J. & Hwang, Y.S. (2016).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Maker Space. In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203-206. 

  25. Kim, Y.J. (2018). Digital talent for Digital transformation and Learning Innovation.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6(11), 32-34. 

  26. Kim, W.W. & Choi, J.S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urtle ship model based on physical computing platform for student's of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tion, 41(2), 89-118. 

  27. Lee, J.S. (2017). A Study of Design Thinking Adaptation for Maker Education Process. Korea Design Forum, 54, 225-234. 

  28. Lee, J.H. & Jang, J.H. (2017).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fteware Coding for the Science 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7(3), 331-348. 

  29. Lee, S.C. & Kim, T.Y. (201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Computer Education Conference, 22(1), 111-114. 

  30. Martine, S.L. & Stager, G.S. (2013). Papert's prison fab lab: implications for the maker movement and education design. In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pp. 487-490). ACM. 

  31. Noh, Y.H., Kang, J.A. & Jung, E.J. (2015). A Qualitative Evalua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an Infinite Creative Space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71-111. 

  32. Patton, M.Q. (2002). Qualitative Research & Evlauation Method. London: Sage Publications. 

  33. Peppler, K., Halverson, E., & Kafai, Y.B. (Eds.) (2016). Makeology: Makerspaces as Learning Environments (Vol. 1). Routledge. 

  34. Seo, Y.K. (2017).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and Coding Course method on Design Thinking using Flipped Lear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 173-199. 

  35. Seong, T.J. (2017). Suggestions for the human character and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55(2), 1-21. 

  36. Sheridan, K., Halverson, E.R., Litts, B., Brahms, L., Jacobs-Priebe, L. & Owens, T. (2014). Learning in the mak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ree makerspac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05-531. 

  37. Woo, Y.J. & Lee, J.H.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4(1), 35-4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