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 TEMPS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rowth of Learners through the Changemaker TEMPS Progra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3, 2019년, pp.91 - 116  

김남은 (부산거제여자중학교) ,  허영선 (광산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가정과 수업에 맞는 체인지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한 학습자의 성장에 관한 사례를 통해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로 제안하였다. 셋째,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의 설계는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5가지 핵심 아이디어 중에서 TEMPS를 단계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T(Thinking)는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이고, E(Education)는 다음 단계(Making)를 위한 배경지식을 얻는 단계이다. M(Making)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목표물을 만드는 단계이고, P(Participation)와 P(Play)는 참여하고 즐기는 단계이다. S(Share)는 결과물 전시, SNS공유, 수업 발표회 등을 통해 교육적으로 확산을 시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Change)시키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TEMPS 단계를 기본으로 하여 중학교 12개 프로그램, 고등학교 15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당 각각 2차시~12차시로 중학교 총 68차시, 고등학교 총 68차시 분량이다. 체인지메이커 프로그램에 1년 간(2018년 3월 2일~2018년 12월 31일) 참여한 학습자들은 삶과 교육의 연계, 실천 능력의 향상, 자기 주도 학습, 자존감 향상, 성취감과 자기 성찰, 비판적 인식 향상, 감각적인 관찰 등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angemak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Changemak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growth of learners applying the TEMPS program.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Changemaker education was defin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을 하는 이유와 목적으로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수십 년 동안 사회의 발전과 변화의 논리에 따라 변화해 온 교육과정은 최근 개정의 기본 원칙에서 우리가 교육을 하 는 이유와 목적으로 개인의 행복을 강조하고 있다. 즉, 교육을 통해 단순히 전달되어야 할 내용적 가치보다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배움으로 행복을 느끼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성장한 인간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성장한 인간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스스로 살기’와 ‘더불어 살기’ 가 된다. 스스 로 산다는 것은 삶의 과정에서 타인에게 종속되어 있는 존재에서 주체적으로 삶을 영위하는 존재가 된다는 것이고 더불어 산다는 것은 집단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삶을 영위한다는 것으로 인간이 성장한다는 것은 개인적 주체성을 확립하는 것과 사회적 구성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화와 사회화를 말하는데(Naver Knowledge Encyclopedia, n.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이를 위해서 먼저 체인지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였다. 체인지메이커 교육이란,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고(Thinking), 배우고(Education), 만들고(Making), 참여하고(Participation) 즐기며(Play)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서로 공유(Share)하여 변화(Change)시키는 교육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에서의 체인지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폭넓은 메이커 활동을 통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고 타인과 공감, 협업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을 주도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내용의 범위를 "아동 가족,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의 5개의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세부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방법으로 "주제별로 TEMPS 단계를 통해 교과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hoka (n.d.). Strategic focus areas. Retrieved from https://www.ashoka.org/en-KR/focus/social-entrepreneurship 

  2. Blikstein, P. (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In J. W. Herman., & C. Buching (Eds.),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pp. 203-223). Bielefeld, Germany: Transcript-Verlag. 

  3. Blikstein, P., Martinez, S. L., & Pang, H. A. (2016). Meaningful making: projects and inspirations for fablabs and makerspaces. Torrance, CA: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4. Bornstein, D. (2013). How to change the world: social entrepreneurs and the power of new ideas. (Park, G. J., Na, K. S., & Park, Y. J., Trans.). Seoul: Knowledge Creative Office.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5. Choi, J. A. (2018).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a business setting utilizing design thinking process: focused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5-ONs. M.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S. K., & Daegu Changemaker Project Course Research Association (2018). Innovative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project changemaker education. Seoul: Joyful school. 

  7. Dewey, J. (2007). Democracy and education. (Lee, H. W., Trans.). Seoul: History of Education and Science. (Original work published 1916). 

  8.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7(3), 11-14. 

  9. Halverson, E. R., & Sheridan, K. (2014). Arts education in the learning sciences. In R. K. Sawyer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pp.626-64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Hatch, M. (2013).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rules for innovation in the new world of crafters, hankers, and thinkers. Columbus, OH: MacGraw-Hill Education. 

  11. Hwang, J. W., Kang, I. A., & Kim, H. S. (2016).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MSI model as maker pedagogy: focusing on high school case. Proceedings of the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Association Conference, 2016(2), 166-176. 

  12. Jeong, E. J. (2013).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visual journaling on self-acceptance & personal growth for art therapy trainees.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4), 731-761. 

  13. Joe, G. M. (2017).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in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k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Sung University, Busan, Korea. 

  14. Joo, K. H. (2015). Study of e-PB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fficient flipped learn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3(1), 47-53. 

  15. Kang, E. S. (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outreach program: a case study focused on free semester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6. Kang, I. A. (2003). The constructivism of our times. Seoul: Munumsa. 

  17. Kang, I. A., & Yoon, H. J. (2017). Exploring the evaluation framework of mak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11), 541-553. 

  18. Kang, I. A., Jung, J. H., Seo, B. H., & Jung, D. N. (2011). (Dreaming of a joyful change in the classroom) Project learning. Seoul: Imaginary Channel. 

  19. Kim, J. O. (2018).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maker-based STEAM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N. E. (2017). Discussion on the change of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rection of change in home and medical life educa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7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79-84).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 Kwak, Y. S., & Kim, J. H. (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2), 144-154. 

  22. Lee, M. K. (2016). Signification of student-organized activity (changemaker): case study of middle school on "the greatest learning project"(sachoisoup).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2(3), 235-264. 

  23. Lee, N. R. (2015). Changemaker creators of change to overthrow the world and make new rules. Seoul: Wiseberry. 

  24. Loertscher, D. V., Preddy, L., & Derry, B. (2013). Makerspaces in the school library learning commons and the uTEC maker model. Teacher Librarian, 41(2), 48-51. 

  25. Martinez, S. L,. & Stager, G. S.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6. Mathison, S. (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2), 13-17. 

  27. Merriam, S. (1994).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Heo, M. H. Trans.). Seoul: Yangseowon.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28.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2017). 2018 Maker education program guidebook. Daejeon: Author. 

  29.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n.d.). Growth.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 

  30. Papert, S. (2000). What’s big idea: towards a pedagogy of idea power. IBM Systems Journal, 39(3), 720-729. 

  31. Park, E. J. (2017). The purpose of education, individuation or socialization?: drawing upon the concept of ‘action’ of hannah arendt.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9(4), 35-62. 

  32. Park, J. Y. (2015). A study on open fabrication space framework of creative thinking for ICT design conver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33. Schrock, A. R. (2014). Education in disguise: culture of a hacker and maker space. Inter Actions: CLA Journa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10(1), 1-26. 

  34.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a). A general discussion on the curriculum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ejong: Author. 

  35.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b).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informatics curriculum. Sejong: Author. 

  36. Willis, J., & Wright, K. E. (2000). A general set of procedures for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the new R2D2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40(2), 5-20. 

  37. Yang, Y. J., Yoon, H. S., & Im, J. H. (2009). Become a 21st century talent and PBL learning. Seoul: Hangyungsa. 

  38. Yoon, H. J. (2018). The development of a model of maker education utilizing design thin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