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역량 모델 개발 및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방안 탐색
Developing Maker Competency Model and Exploring Maker Education Pl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5, 2018년, pp.649 - 665  

윤지현 (단국대학교) ,  김경 (한국교원대학교) ,  강성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의 본질 및 속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요사건기법 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분석을 통해 메이커들이 지니고 있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분석적 사고', '직관적 사고', '시각적 사고', '경험적 사고'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공유', '의사소통', '갈등관리', '주도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 대한 관심', '도전 의식', '실패 관리', '메이킹 과정의 즐거움'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 '인류애', '사용자 지향'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관찰', '일상 속 불편함의 인식'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문제 발견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작 도구에 대한 이해', '전기에 대한 이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계획수립', '손 지식', '정보 탐색', '직접적인 실행'의 7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수행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tracted the core competencies of makers through the analysis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and behavioral event interview to explore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maker education, and then we developed a maker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se core competencies. As a result, six co...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운동이란 무엇인가? 세계 주요국에서는 이와 같은 산업 구조의 변화와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경제 혁신의 방법으로서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을 주목하고 있다(Anderson, 2012). 메이커 운동이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일어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문화 운동으로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통한 공유와 오픈소스 운동, 3D 프린터로 대표되는 새로운 창작도구의 개발, 크라우드 펀딩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자금 조달을 통해 개인적⋅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제품을 스스로 설계⋅제작하고, 공유하는 현상을 뜻한다(Anderson, 2012;Dougherty, 2012). 단순한 취미 생활로 시작된 인류의 DIY(do it yourself)가 과학기술 발전의 성장에 힘입어 비전문가들도 자신들의 창작물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일부 창작물들은 산업화되고 있다(Anderson, 2012; Dougherty, 2012).
DIY(do it yourself)운동이 어떤 변화를 일으켰나? 단순한 취미 생활로 시작된 인류의 DIY(do it yourself)가 과학기술 발전의 성장에 힘입어 비전문가들도 자신들의 창작물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일부 창작물들은 산업화되고 있다(Anderson, 2012; Dougherty, 2012). 즉, 일반인들이 만든 혁신적인 제품들은 메이커 행사 및 커뮤니티 교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시장에 출시되고 있고, 이와 같은 형태의 메이커 운동은 이미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 온라인 사이트나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를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자율적인 메이커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은 오타쿠 문화와 메이커 운동이 결합하여 새로운 경제 부흥을 위한 원동력으로 각광 받고 있다(Lee, 2017).
메이커 교육에서 학습자는 어떻게 발전하는가?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이란, 개인적⋅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제품을 능동적으로 설계하고, 제작해 보는 과정을 통해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다양한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ICT 기반 만들기 중심의 교육 방법을 의미한다(Halverson & Sheridan, 2014; Martinez & Stager, 2013). 즉, 메이커 교육에서 학습자는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 속에서 개인적 혹은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무엇인가를 스스로 만들어 보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인 문제해결 역량의 함양이 가능하며 (Kafai, Fields, & Searle, 2014), 특히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만들기를 통해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메이커 운동의 핵심적 특징인 공유 문화(Anderson, 2012; Dougherty, 2012)는 메이커 교육 과정에서 아이디어 산출 및 제작 과정의 적극적인 공유와 소통의 과정으로 연결됨에 따라(Thomas, 2014), 학생들은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으로 다양한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타인과의 협력(collabor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 사회적 기술(social and/or cultural skills) 등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Halverson & Sheridan, 2014; Martinez & Stager,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derson, C. (2012). Makers: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Yoon, T. K. (translator)]. Seoul: RH Korea Press. 

  2. Blikstein, P. (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3. Bullock, M. S., & Sator, A. J. (2015). Maker pedagogy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Canadi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Studies, 13(1), 61-87. 

  4.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5. De Leon, A. T. (2014). Project-based learning and use of the CDIO syllabus for geology course assessment. Glob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6(3), 116-122. 

  6. Dixon, C., & Martin, L. (2014). Make to relate: Narratives of, and as, community practice. In Polman, J. L., Kyza, E. A., O'Neill, D. K., Tabak, I., Penuel, W. R., Jurow, A. S. O'Connor, K., Lee, T. & D'Amico, L. (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ICLS) 2014 (pp. 1591-1592).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7. Dougherty, D. (2012). The maker movement. Innovations, 7(3), 11-14. 

  8.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Amherst MA: HRD Press. 

  9. Ha, S. H. (2016). Promotion of maker space for manufacturing collaboration innovation: Focused on China case.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Issue Report. 

  10. Halverson, E. R., & Sheridan, K. M.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6-565. 

  11. Ju, I. J., Kim, D. K., Jung, J. T., Kim, H. H., Choi, S. A. (2010).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application in corporation.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3), 309-334. 

  12. Kafai, Y., Fields, D., & Searle, K. (2014). Electronic textiles as disruptive designs: Supporting and challenging maker activities in schools.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532-556. 

  13. Kang, I., & Choi, S. K. (2017). Maker mindsets experienced through the maker activity in library: Focusing on social relationships among mak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9), 407-430. 

  14. Kang, I., & Kim, M. (2017).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maker activity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4), 487-515. 

  15. Kang, S. J. (2004). A study on secondary school homeroom teachers' competenc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4), 237-264. 

  16. Kang, S. J., Kim, E. A., & Yoon, J. (2012). A study on science-gifted students'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 dictionar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353-370. 

  17. Kim, D. H., Ko, D. G., & Han, M. J. (2014).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applying STEAM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interest level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1), 43-54. 

  18. Kim, S. G. (2007). A study on the service failure types and service recovery in the civil affairs administration counters: Exploratory analysis using the CI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1(4), 35-60. 

  19. Ko, E. S., Lee, K. H., & Song, S. H. (2008). The role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School Mathematics, 10(1), 63-78. 

  20.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Monthly Scientific Creative. April 2015 Issue. 

  21. Lee, D. H., Yoon, J., & Kang, S. J. (2014).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93-105. 

  22. Lee, J., & Jang, J. (2017).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fteware coding for the science 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7(3), 331-348. 

  23. Lee, M. Y. (2013). Visual thinking as a cultural cognition: A study on the essence, role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8(1), 19-38. 

  24. Lee, S. M.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omestic and foreign maker space trend.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Issue Report. 

  2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6. Liu, G., Zhang, Y., & Fan, H. (2013).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learning platform supporting flipped classroom. Journal of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11(2), 82-87. 

  27. Lucia, A. D., & Lepsinger, R.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New York: Pfeiffer. 

  28. Martin, R. L. (2009). Design Thinking[Lee, G. S. (translator)]. Seoul: Woongjin. 

  29. Martinez, S. M., & Stager, G. S.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Song, K. B., & Kim, S. G. (translator)]. Seoul: Hongreung Science Publishing Co. 

  30. Ministry of Education (2016). Creative science education to enjoy and communicate(June 26, 2016, Morning Press Release). 

  31. Moon, H. D., Yang, H. J., Ryu, S. H., Park, C. S., Lee, J. W., Lee, E. O., Kim, D. C., & Kim, J. S. (2018). ICT technology innovation paradigm analysis and ICT R & D mid to long term policy recommendations.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 Policy Report. 

  32. Park, J. J., Yoon, J., & Kang, S. J. (2014). The development on core competency model of scientist and its verification for competenc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4), 509-541. 

  33.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2), 90-105. 

  34.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 Spencer, L. M.,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Min, B. M., Park, D. G., Park, Y. G., Jung, J. C. (translator)]. Seoul: PSI Consulting Press. 

  36. Thomas, A. (2014). Making makers: Kids, tools, and the future of innovation. CA: Maker Media, Inc.. 

  37.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Kim, M. S. (translator)]. Seoul: Sigma Press. 

  38. Yoon, S., Jang, J., & Kim, S. (2017). A formative study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maker education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of adolesc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4), 839-8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