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황련-감초 하태독법의 IL-4활성 조절을 통한 항염증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ataedock with Coptidis Rhizoma and Glycyrrhiza Uralensis on Allergic Rhinitis through Regulating IL-4 Activation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3 no.2, 2019년, pp.116 - 122  

정아람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taedock treatment using Coptidis Rhizome and Glycyrrhiza Uralensis (CG) mixed extract in allergic rhinitis induced NC/Nga mice. We divided NC/Nga mice into 3 groups as follows; allergic rhinitis-induced group after CG Hataedock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황련-감초 복합추출물을 이용한 하태독법을 시행한후 ovalbumin (OVA)를 이용해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한 NC/Nga 생쥐에서 대표적인 Th2 cytokine인 IL-4 활성 조절을 통한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비점막 상피의 조직변화를 통하여 실제 염증반응의 감소가 일어났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염증반응의 과정은 비점막의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켜 비점막의 부적절한 재형성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비점막 구조의 변화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주된 병인이 된다 22)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은 무엇인가?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은 비강 내에서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으로써, 특정 알레르겐을 흡입하였을 때, 이들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면역반응에 의해 콧물, 재채기, 코 및 눈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1) . 알레르기성 비염은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한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고1) , 미국의 경우 성인에서 10-30%, 소아에서는 40%정도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2) .
알레르기성 비염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알레르기성 비염은 성인과 소아 모두에서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한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고1) , 미국의 경우 성인에서 10-30%, 소아에서는 40%정도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2) . 알레르기성 비염은 삶의 질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콧물과 코막힘 등의 증상이 수면을 저해하여 소아청소년기 아동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3) .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있는 소아환자의 75% 이상이 결막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비부비동염, 삼출성중이염, 아데노이드 비대와 같은 질환으로 발전했다는 보고도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4).
알레르기성 비염의 양방 치료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 현재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양방치료에는 항원에 대한 회피, 스테로이드제 및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약물치료, 면역치료, 레이저 수술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항원에 대한 회피는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이지만 환경관리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약물요법의 경우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5)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ousquet J, Khaltaev N, Cruz AA, Denburg J, Fokkens WJ, Togias A,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2008 update (in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GA(2)LEN and AllerGen). Allergy. 2008;63(Suppl 86):8-160. 

  2. Nathan RA. The burden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Asthma Proc. 2007;28(1):3-9. 

  3. Lee MJ, Chang GT, Han YJ. A Study on the Growth, Quality of Sleep of Children with Chronic Rhinitis. J Pediatr Korean Med. 2008;22(2):125-39. 

  4. Marino-Sanchez F, Valls-Mateus M, de Los Santos G, Plaza AM, Cobeta I, Mullol J. Multimorbidities of Pediatric Allergic Rhinitis. Curr Allergy Asthma Rep. 2019;19(2):13. 

  5. Seth D, Kamat D. Intranasal Steroid 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Pediatr Ann. 2019;48(1):e43-e8. 

  6. Hur GY, Kim TB, Kim ST, Han MY, Nahm DH, Lee YW. Allergy immunotherapy.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0;30:153-83. 

  7.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aCI, editor.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Seoul: Yeomungak. 2012:Chapter 4, Immunotherapy;625-35. 

  8. Lou H, Fu Y, Wang C, Wang Y, Zhang L. Imbalance between Th1 and Th2 cells in cord blood is influenced by maternal allergic rhinitis and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life. Chinese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014;49(5):390-4. 

  9. Krasnow J, Tollerud D, Naus G, Deloia J. Implantation and early pregnancy: Endometrial Th2 cytokine expression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and early pregnancy. 1996;11(8):1747-54. 

  10. Berger A. Th1 and Th2 responses: what are they? BMJ (Clinical research ed). 2000;321(7258):424. 

  11. Eifan AO, Durham SR. Pathogenesis of rhinitis. Clin Exp Allergy. 2016;46(9):1139-51. 

  12. Mallol J, Crane J, von Mutius E, Odhiambo J, Keil U, Stewart A.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Phase Three: a global synthesis. Allergologia et immunopathologia. 2013;41(2):73-85. 

  13. Kang MY, Jang GT, Kim JH. A study on fetal toxicosis removal therapy. J Pediatr Korean Med. 2003;17(1):29-51. 

  14. Jung AR, Ahn SH, Park IS, Park SY, Jeong SI, Cheon JH, et al. Douchi (fermented Glycine max Merr.) allevi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by regulation of PKC and IL-4.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1):416. 

  15. Choi JY AS, Kim KB. Reduction of Allergic Rhinitis by Controlling the Th2 Differentiation of Douchi Hataedock. J Int Korean Med. 2017;38(4):468-78. 

  16. CHA HY, Ahn SH, Cheon JH, Park SH, Choi JY, Kim KB.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ataedock Extracted from Coptidis Rhizoma and Glycyrrhiza Uralensis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of NC/Nga Mouse. J Int Korean Med. 2015;36(4):486-97. 

  17. Ahn SH, Kim KB. Effects of Douchi Hataedock Treatment on Induction of Allergic Rhinitis in Obese Induced NC/Nga Mice. J Pediatr Korean Med. 2018;32(2):1-10. 

  18. Song JH, Ahn SH, Cheon JH, Park SY, Kim HY, Kim KB. Effects of Hataedock with Douchi 2,4-dinitroflu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 in NC/Nga mic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30(2):109-15. 

  19. Cha HY, Ahn SH, Cheon JH, Park SY, Kim KB. Hataedock treatment has preventive therapeutic effects for atopic dermatitis through skin barrier protection in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NC/Nga mice. J Ethnopharmacol. 2017;206:327-36. 

  20. Kim MY, Kim PH, Jeong MJ. A Research on Mothers' Satisfaction with Ha-Taedok Treatment to Their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7;31(4):39-48. 

  21. Adkins B, Du RQ. Newborn mice develop balanced Th1/Th2 primary effector responses in vivo but are biased to Th2 secondary responses. Journal of immunology (Baltimore, Md : 1950). 1998;160(9):4217-24. 

  22. Lee HM, Choi JH, Choi CS, Hwang SJ, Lee SH. Expression of MMP-9 and TIMP-1 in the Nasal Mucosa of Allergic Rhinitis. Korean J Otolaryngol. 2000;43:604-9. 

  23. Zhu R, Liu G, Li W, Wang Z, Chen H, Zhang W. A study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allergic allergic rhinitis patients. Lin Chung Er Bi Yan Hou Tou Jing Wai Ke Za Zhi. 2008;22(17):780-2, 784. 

  24. Saunderson SC, Schuberth PC, Dunn AC, Miller L, Hock BD, MacKay PA, et al. Induction of exosome release in primary B cells stimulated via CD40 and the IL-4 receptor. J Immunol. 2008;180(12):8146-52. 

  25. Amin K. The role of mast cells in allergic inflammation. Respir Med. 2012;106(1):9-14. 

  26. Zhang RX. The role of substance P, gene regulation and PM2.5 in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rhinitis. Zhonghua Er Bi Yan Hou Tou Jing Wai Ke Za Zhi. 2018;53(10):725-9. 

  27. Mori S, Pawankar R, Ozu C, Nonaka M, Yagi T, Okubo K. Expression and Roles of MMP-2, MMP-9, MMP-13, TIMP-1, and TIMP-2 in Allergic Nasal Mucosa.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2;4(4):231-9. 

  28. Hanf G, Schierhorn K, Brunnee T, Noga O, Verges D, Kunkel G. Substance P 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nasal mucosa of subjects with and without allergic rhinitis. Inflamm Res. 2000;49(10):520-3. 

  29. Barnes PJ, Adcock IM. NF-kappa B: a pivotal role in asthma and a new target for therapy. Trends Pharmacol Sci. 1997;18(2):46-50. 

  30. Kim ST, Oh SC, Kim CW, Park C, Jang IH, Cha HE, et al. Expression of NF-K B and I-K B in Allergic Rhiniti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11):1191-5. 

  31. Mendes KL, Lelis DF, Santos SHS. Nuclear sirtuins and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Cytokine Growth Factor Rev. 2017;38:98-105. 

  32. Na HK, Surh YJ. Role of Cyclooxygenase-2 and Its Products in the Regulation of Cell Growth. J of Korean Assoc. 2003;8(4):251-60. 

  33. Li S, Zhang ZQ, Wu LJ, Zhang XG, Li YD, Wang YY. Understanding ZHENG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e context of neuro-endocrine-immune network. IET Syst Biol. 2007;1(1):51-60. 

  34. Heo J. Donguibogam. Seoul:Yegang publish;2019. p.2976. 

  35. Li Z, Geng YN, Jiang JD, Kong WJ.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erberin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Evid 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2014;2014:289264. 

  36. Lin WC, Lin JY. Berberine down-regulates the Th1/Th2 cytokine gene expression ratio in mouse primary splenocyte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lipopolysaccharide in a preventive manner. Int Immunopharmacol. 2011;11(12):1984-90. 

  37. Ding JW, Luo CY, Wang XA, Zhou T, Zheng XX, Zhang ZQ, et al. Glycyrrhizin, a High-Mobility Group Box 1 Inhibitor,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Suppresses Vascular Inflammation in Apolipoprotein E Knockout Mice. J Vasc Res. 2018;55(6):365-77. 

  38. Bordbar N, Karimi MH, Amirghofran Z. The effect of glycyrrhizin on maturation and T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dendritic cells. Cell Immunol. 2012;280(1):44-9. 

  39. Yu JY, Ha JY, Kim KM, Jung YS, Jung JC, Oh 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corice extract and its active compounds, glycyrrhizic acid, liquiritin and liquiritigenin, in BV2 cells and mice liver.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15;20(7):13041-5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