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수지 분석법을 이용한 제주도 권역별 미래 농업용 지하수 공급 가능량 추정
Estimation of Regional Future Agricultural Available Groundwater Supply in Jeju Island Using Water Balance Method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4 no.2, 2019년, pp.23 - 37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규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명우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안중기 (중명기술사 사무소) ,  백진희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  정차연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available groundwater supply to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the future with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40 sub-regions in Jeju Island, groundwater recharge and the available groundwater supply were estimated using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Groundwater recharge was calc...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40개 세부권역을 대상으로 수립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로 수문 분석 에서 추정된 지하수 함양량 변동 분석 결과를 기초로, Song et al.(2018)이 각 세부권역별로 제시한 2030년의 권역별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치와 비교를 통한 적정 지하수 공급 가능량 평가를 수행하였다.
  • 최종적으로는 Song et al.(2018)이 제시한 40개 세부 권역별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수 수요량에 대하여 지하수 공급 가능량의 확보 여부를 평가하여, 현재 각 세부권역별로 수행되고 있는 제주도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의 기본설계 자료로 활용토록 결과를 제시하였다(Fig. 1).
  • (2018)이 제시한 농업용수 수요량 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세부권역별로 미래 농업용수 수요·공급의 적절성을 비교하였다.
  • 결과적으로 앞서 세부권역별로 계산된 일별 직접 유출량 자료를 기초로, 과거 기간(2007, 2014, 2016년)에 대 하여 년간 직접 유출량(mm/년)을 계산하였다(Table 12).
  • 지하수 함양량은 중분류 토지피복도가 발간된 2007년, 2014년, 2016년을 대상으로(MOE EGIS, 2017) 40개 세부권역에 대하여 물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연도별 계산 결과는 기존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JSSGP, 2013)의 평균값과 비교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미래(2020년, 2025년, 2030년) 기후변화 시나오(RCP 4.5와 RCP 8.5) 자료를 토대로 세부권역별 지하수 함양량과 이를 이용한 지하수 공급 가능량를 추정하였다.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기상요소는 강수량 및 기온(최대, 최소, 평균)으로, 이를 이용하여 12개 행정구역별로 계산된 순별 잠재 증발산량값을 각 세부권역별 면적비로 조정하여 40개 세부권역에 대한 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총량 은 RCP 4.5와 RCP 8.5에 대한 1× 1 km 격자망에 대한 일 강수량을 이용하여, 40개 세부권역별 면적 강수량과 면적을 곱하여 산정하였다.
  • 미래 잠재 증발산량(ETo)은 2020년, 2025년, 2030년에 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와 RCP 8.5)에서 제공되는 일단위 일별 기온(최고, 최저, 평균) 자료를 대상으로,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12개 행정구역에 해당되는 격자망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 각 시나리오 별로 순단위로 계산하였다. 이때 계산과정은 RCP 4.
  • 미래 직접 유출량은 2020년, 2025년, 2030년에 대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와 RCP 8.5)의 일단위 일별 강수량 자료를 대상으로, 12개 행정구역에 해당되는 격자망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 각 시나리오별로 순단위로 계산하였다. 이 후 2020년, 2025년, 2030년에 대하여 RCP 4.
  • 세부권역별 평균 CN을 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GIS를 이용하여 40개 세부권역에 대하여 각각 중분류기준의 토지이용 특성별로 토양분류 기준(A, B, C, D)에 따른 면적을 분석하였다. 이 후 제주특별자치도의 수자원관리종합계획(JSSGP, 2013)에서 행정구역별로 제시한 토지이용 특성별 CN 대표값을, 각 세부권역별 토지이용 특성면적에 대입하여 총 92개의 CN을 이용하였다(Table 5).
  • 수문 총량은 4곳의 기상대(제주, 고산, 성산, 서귀포)와 30개소의 AWS 위치를 이용하여 세부권역별 Thiessen망의 면적비(Thiessen 계수)를 구한 후, 세부권역별로 계산된 면적 강수량을 40개 세부권역별 면적에 곱하여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2007년, 2014년, 2016년의 연도별 수문총량은 각각 4,554백만 m3/년, 4,448백만 m3/년 및 4,271백만 m3/년으로 분석되었다(Table 6).
  • 수문 총량의 계산은 대상지역의 전체면적 중 각 강수량 측정 지점이 포함된 지역의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Thiessen망(Thiessen polygon) 방식(Thiessen, 1911)을 이용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과거 기간의 경우 총 34곳의 기상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Thiessen망을 구축한 후 40개 세부권역을 구성하는 각 AWS별로 Thiessen 면적비(Thiessen 계수)와 각 관측지점의 강수량으로 계산한 면적 강수량과 각 세부권역별 면적을 곱하는 방식으로 산출하였다(Fig. 2).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총량 은 RCP 4.
  • 실제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입력자료 중 TAW는 미국 농무부(USDA) 토양분류기준에 의한 대표 토양별 포장 용수량(field capacity)과 영구 위조점(wilting point)의 수분함량 차(ΘFC − ΘWTP)의 중간값과 6가지 토지피복 특성별 (경작지, 과수원, 초지, 산림, 하천 및 저수지, 기타)로 최대 뿌리 깊이의 중앙값(Zr)의 곱으로 계산하였다(Table 3).
  • 앞서 계산된 세부권역별 년간 수문 총량,  실제 증발산량 및 직접 유출량을 해당 세부권역별 면적으로 각각 곱한 후, 수문 총량에서 실제 증발산량과 직접 유출량을  뺀 값으로 과거 기간의 세부권역별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하였다(Table  14).
  • 09)과 토지피복 특성 6가지를 조합하면 총 14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각 유형별로 실제 증발량 계산을 위한 유형별 면적비 계산을 위하여, 14개 토지피복 유형별로 TAW와 토양수분 감소율(p)을 정리하였다(Table 4).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세부권역별로 물수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한 후, 지하수 함양량 대비 지속이용 가능량 비율 43.6%를 적용하여 일시적인 가뭄 발생 기간에 공급 가능한 최대 취수 가능량으로 지하수 공급 가능량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세부권역별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
  • 5)의 일단위 일별 강수량 자료를 대상으로, 12개 행정구역에 해당되는 격자망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 각 시나리오별로 순단위로 계산하였다. 이 후 2020년, 2025년, 2030년에 대하여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별로 과거 기간에 적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세부권역별 년간 직접 유출량(mm/년)을 계산하였다(Table 13).
  • 5) 자료를 토대로 세부권역별 지하수 함양량과 이를 이용한 지하수 공급 가능량를 추정하였다.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기상요소는 강수량 및 기온(최대, 최소, 평균)으로, 이를 이용하여 12개 행정구역별로 계산된 순별 잠재 증발산량값을 각 세부권역별 면적비로 조정하여 40개 세부권역에 대한 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Song et al.
  • 이때 세부권역별 실제 증발산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각 14개 토지피복 유형별 면적비를 계산한 후, 토지피복 유형별 실제 증발산량과 면적비 를 곱하여 과거 기간(2007, 2014, 2016년)에 대하여  40개 세부권역별로 년간 실제 증발산량(mm/년)을 계산하였다(Table 9).
  • 이 연구에서 직접 유출량은 NRCS-CN 방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는데, 이 방법은 1일 단위의 강수량과 유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험식이다(USDA/NRC, 1986). 이때 토양도와 토지 피복도를 이용하면 강수 시 차단, 지표 저류 및 토양 저류 등에 의한 유출곡선 지수(curve number, CN)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토지 피복도의 중분류기준 토지이용 특성별로 토양분류 기준(A, B, C, D)에 따른 면적을 이용하였다.
  • 이를 토대로 앞서 계산된 4가지 지역의 14개 토지피복 유형별 초기 토양수분 함량(SWti), 신속 토양수분 이용랑(RAW), 토양수분 보유능(TAW)을 식 (3)에 적용한 결과와 식 (5)를 이용하여 계산된 일별 잠재 증발산량을 식 (1)에 대입하여 세부권역별 토지피복 유형별로 연간 실제 증발산량을 계산하였다. 이때 세부권역별 실제 증발산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각 14개 토지피복 유형별 면적비를 계산한 후, 토지피복 유형별 실제 증발산량과 면적비 를 곱하여 과거 기간(2007, 2014, 2016년)에 대하여  40개 세부권역별로 년간 실제 증발산량(mm/년)을 계산하였다(Table 9).
  •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세부권역별로 수문 총량에서 실제 증발산량과 직접 유출량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으며, 과거 기간과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기간에 대하여 각각 산출하였다. 2007년의 경우 지하수 함양율은 29.
  • 직접 유출량 계산을 위한 유출곡선 지수(CN)는 토지이 용 특성에 따라 (Table 5)에서 산출된 92개 CN을 이용하여, 세부권역별 토지피복 코드별 면적을 구한 후 해당코드의 CN을 면적에 곱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결과를 세부권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각 세부권역에 대한 평균 CN으로 결정하였다(Table 11).
  • 직접 유출량 계산을 위한 유출곡선 지수(CN)는 토지이 용 특성에 따라 (Table 5)에서 산출된 92개 CN을 이용하여, 세부권역별 토지피복 코드별 면적을 구한 후 해당코드의 CN을 면적에 곱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결과를 세부권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각 세부권역에 대한 평균 CN으로 결정하였다(Table 11).

대상 데이터

  • 또한 지하수 공급 가능량 산정 결과의 평가를 위한 농업용수 수요량은, Song et al.(2018)이 제주도의 40개 세부권역별로 평가한 결과를 이용하였다.
  • 세부권역별 평균 CN을 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GIS를 이용하여 40개 세부권역에 대하여 각각 중분류기준의 토지이용 특성별로 토양분류 기준(A, B, C, D)에 따른 면적을 분석하였다. 이 후 제주특별자치도의 수자원관리종합계획(JSSGP, 2013)에서 행정구역별로 제시한 토지이용 특성별 CN 대표값을, 각 세부권역별 토지이용 특성면적에 대입하여 총 92개의 CN을 이용하였다(Table 5).
  • 잠재 증발산량(ETo)은 우선적으로 세부권역별로 중분류기준 토지피복도가 발간된 2007년, 2014년, 2016년에 대하여, 일별 기온(최고, 최저, 평균), 상대습도, 이슬점 온도, 평균 풍속 자료가 있는 4개 기상대의 관측자료를 대상으로 식 (5)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때 토지피복 유형별 작물 잠재 증발산량의 계산은 4곳 기상대가 속해있는 지역의 과거 일별 기상자료와 작물계수(Table 1 참조)를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5)에서 제공되는 일단위 일별 기온(최고, 최저, 평균) 자료를 대상으로,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12개 행정구역에 해당되는 격자망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 각 시나리오 별로 순단위로 계산하였다. 이때 계산과정은 RCP 4.5와 RCP 8.5에 대해 과거 기간에 적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세부권역별 년평균 실제 증발산량(mm/년)을 계산하였다(Table 10).
  • 지하수 함양량은 중분류 토지피복도가 발간된 2007년, 2014년, 2016년을 대상으로(MOE EGIS, 2017) 40개 세부권역에 대하여 물수지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연도별 계산 결과는 기존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JSSGP, 2013)의 평균값과 비교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미래(2020년, 2025년, 2030년) 기후변화 시나오(RCP 4.

이론/모형

  • 대표적인 실제 증발산량 산정식은 Penman-Monteith가 제안한 방법으로, 식 (1)과 같이 잠재 증발산량과 작물의 수분 스트레스 지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Allen et al., 1998).
  • 이 연구에서 이용된 작물계수(crop coefficient)는 토지피복 특성을 6가지로 유형화한 월별 작물계수로 적용하였으며(Table 1), 수분 스트레스 지수 산정에 필요한 신속 토양수분 이용랑(readily available water,  RAW),  토양수분 보유능(total available water, TAW), 작물의 뿌리 깊이(Zr), 토양수분 감소율(depletion fraction, p), 임시 토양수분 함량(SWim) 등을 계산하기 위하여 FAO-56에서 제시한 값을 이용하였다(Table 2).
  • 이 연구에서 직접 유출량은 NRCS-CN 방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는데, 이 방법은 1일 단위의 강수량과 유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험식이다(USDA/NRC, 1986). 이때 토양도와 토지 피복도를 이용하면 강수 시 차단, 지표 저류 및 토양 저류 등에 의한 유출곡선 지수(curve number, CN)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토지 피복도의 중분류기준 토지이용 특성별로 토양분류 기준(A, B, C, D)에 따른 면적을 이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의 수문 분석은 물수지 분석 방법(water balance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수문총량에서 실제 증발 산량과 직접 유출량을 뺀 값으로 지하수 함양량을 산출하였다. Song et al.
  • , 1998)을 이용하였는데, 농경지의 경우는 작은 채소류(small vegetables)의 대푯값을 사용하였다. 포장 용수량과 위조점의 토양수분 함량은 FAO-56에 제시된 토양 특성별 수분함량의 중앙값을 이용하였으며, 작물의 유효 뿌리깊이는 최대뿌리 깊이의 중앙값을 사용하였다. 14개 토지피복 유형별로 초기 토양수분 함량(SWti, mm)은 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는데, 이때 실제 증발량(ETti, mm)은 앞서 Table 4에서 제시된 TAW 와 (1-p)의 곱으로 적용하였다(Table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환경이 밭 농업으로 확대되는 추세의 영향으로는 어떤것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재배 면적 변화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환경 변화, 농산물의 수요·공급 변화, 소비자의 생활수준 변화와 함께 국가의 농업정책 변화 등의 요인들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 최근쌀 생산 과잉 억제를 위한 국가 차원의 논 면적 축소 정책과 함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밭 농업이 확대되는 추세로 농업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증발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실제 증발산량은 식생의 서식 밀도, 엽면적지수 등 식생 자체의 성질 뿐만 아니라 분포 지역의 기온 및 토양 특성 등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리적 개념으로 이들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되는 실제 증발산량 산정은 어렵다(Choudhury and Blanchard, 1983). 그러나 실제 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잠재 증발산량 추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경험적인 방법에 따라 잠재 증발산량과 실제 증발산량과의 관계식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농작물의 재배 면적 변화는 어떤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가?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재배 면적 변화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환경 변화, 농산물의 수요·공급 변화, 소비자의 생활수준 변화와 함께 국가의 농업정책 변화 등의 요인들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 최근쌀 생산 과잉 억제를 위한 국가 차원의 논 면적 축소 정책과 함께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밭 농업이 확대되는 추세로 농업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Rome, Ital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SBN 92-5-104219-5. 

  2. Choudhury, B.J. and Blanchard, B.J., 1983, Simulating Soil Water Recession Coefficients for Agricultural Watershed, Water Resour. Bull., 19(2), 241-247. 

  3. JSSG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aster Plan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7-19 p. 

  4.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https://kosis.kr/ [accessed 19.02.11] 

  5. MOE EGIS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2017, https://egis.me.go.kr/ [accessed 17.10.15] 

  6. Song, S.-H., An, J.-G., Lee, B.-S., and Koo, M.-H., 2017,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y for Agricultural Drought using the Analysis of Real-time Groundwater Data,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63 p. 

  7. Song, S.-H. and Choi, K.-J.,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I), J. Soil Groundw. Environ., 17(2), 62-70. 

  8. Song, S.-H, Myung, W.-H., An, J.-G., Jang, J.-S., Baek, J.-H., and Jung, C.-Y., 2018, Estimation of regional future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Jeju Island considering land use change, J. Soil Groundw. Environ., 23(1), 92-105. 

  9. Song, S.-H., White, P., and Zemansky, G., 2012, Recent trend for the application of total economic value (TEV) estimation to groundwater resources, J. Soil Groundw. Environ., 17(2), 1-6. 

  10. Thiessen, A.H., 191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s, Monthly Weather Review, 39(7), 1082-1089. 

  11. USDA/NR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1986, Urban Hydrology of Small Watersheds TR-55. Technical Release 55. Washington DC. 13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