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유아기 우식증 관련성 연구: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Complementary Feeding Introduction and Early Childhood Carie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5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2, 2019년, pp.97 - 105  

연미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영양팀) ,  신혜선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라이프케어산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fant feeding type and duration are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and whether the appropriate introduction of complementary feeding in infancy is related to tooth decay in toddl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21 toddlers among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영아기 수유유형과 수유 기간이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유보충식 지연 양상이 유아기 우식증과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2008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2~3세 유아의 23.
  •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의 수유유형과 수유기간이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와 이런 이유보충식 도입 지연 양상이 유아기 우식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3세 유아 1,521명을 대상으로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따른 수유 특성, 구강관리 실태, 우아기 우식증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8~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아기 수유 유형 및 기간이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유보충식 도입 시기의 적절성 여부가 유아기 우식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Model 1: Models were unadjusted associ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우식증(early childhood caries)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유아기 우식증(early childhood caries)은 72개월(만6세) 이하 어린이의 유치에 한 개 이상의 우식 경험이 존재하는 상태로 정의한다[1]. 특히, 만3세 이하의 유아들에서 1개 이상의 우식 경험이 있는 경우는 중증 유아기 우식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으로 정의하고 있다[1].
유아기 우식증은 어떤 문제를 이끄는가? 특히, 만3세 이하의 유아들에서 1개 이상의 우식 경험이 있는 경우는 중증 유아기 우식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으로 정의하고 있다[1]. 유아기 우식증은 유아와 어린이의 유치를 빠르게 파괴하며 치료되지 않는 채로 남겨지는 경우가 많고, 치통, 급성 감염, 영양 결핍, 발음과 저작 기능 등의 문제를 이끈다[2].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는 유아기 우식증으로 인해 어린이들과 가족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고[3-5], 전세계에 걸쳐 우식증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타 질병과 비교해서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생후 6개월 미만의 완전 모유수유율[18]은 OECD 국가들에 비해 낮은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양상은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이렇게 모유수유 기간이 짧아짐으로써 이른 시기부터 혼합 수유나 젖병을 이용한 조제유 수유 비율과 그 기간이 증가하게 되고, 그 후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단계별 분말 혹은 액상 이유보충식을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어[20, 21] 적절한 시기에 고형 이유보충식이 시작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렇게 조제유 수유 혹은 분말 또는 액상 이유보충식을 장기적으로 먹이는 행위는 영아의 유치가 계속 맹출 중인 상태에서 우식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Clinical Affairs Committee. Policy on early childhood caries (ECC): classifications, consequences, and preventive strategies. Pediatr Dent 2008;30(7): 40-43. 

  2. Selwitz RH, Ismail AI, Pitts NB. Dental caries. Lancet 2007;369(9555): 51-59. 

  3. Pitts N, Harker R. Obvious decay experience children's dental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2003. London: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4. 

  4. Filstrup SL, Briskie D, da Fonseca M, Lawrence L, Wandera A, Inglehart MR. Early childhood caries and quality of life: child and parent perspectives. Pediatr Dent 2003; 25(5): 431-440. 

  5. Low W, Tan S, Schwartz S. The effect of severe caries on the quality of life in young children. Pediatr Dent 1999; 21(6): 325-326.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Korean children's oral health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7. Davies GN. Early childhood caries-a synopsi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8; 26(S1): 106-116. 

  8. Berkowitz RJ. Cause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arly childhood caries: a microbiologic perspective. J Can Dent Assoc 2003; 69(5): 304-307. 

  9. Feldens CA, Giugliani ER, Vigo A, Vitolo MR. Early feeding practices and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in four-year-old children from southern Brazil: a birth cohort study. Caries Res 2010; 44(5): 445-452. 

  10. Chaffee BW, Feldens CA, Rodrigues PH, Vitolo MR. Feeding practices in infancy associated with caries incidence in early childhood.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15; 43(4): 338-348. 

  11. Chaffee BW, Feldens CA, Vitolo MR. Association of longduration breastfeeding and dental caries estimated with marginal structural models. Ann Epidemiol 2014; 24(6): 448-454. 

  12. Chaudhary SD, Chaudhary M, Singh A, Kunte S. An assessment of the cariogenicity of commonly used infant milk formulae using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methods. Int J Dent 2011;2011: 320798-320807. 

  13. Tham R, Bowatte G, Dharmage SC, Tan DJ, Lau MX, Dai X et al. Breastfeeding and the risk of dental ca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Paediatr 2015; 104(467): 62-84. 

  14. Park DH, Lee KH, Kim DE. In vitro study of cariogenic potential of infant formula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0;27(1): 32-39. 

  15. Heo YW, Kim SJ, Lee KH. In vitro study of baby food and breakfast cereal as for buffering capacity, acid production by Streptococcus Mutans, and synthetic hydroxyapatitie decalcification. J WonKwang Dent Res Inst 1990; 1(1): 167-176. 

  16. Korea Consumer Agency. Issues and measures for baby foods. Chungbuk: Korea Consumer Agency; 2000. 

  17. Consumers Union of Korea. Analysis of sugar and sodium contents for baby food. Seoul: Consumers Union of Korea; 2015.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practices. Washington, D. C.: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urvey on breast-feeding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20. Park YH, Lee SS, Jung LH. Perception and use of weaning diets by housewives in Gwangju-Jeonnam regions. Korean J Food Cook Sci 2006; 22(6): 799-807. 

  21. Kim SO. Study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instant weaning food through purchase survey of feeding habi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2. 

  22. Agostoni C, Decsi T, Fewtrell M, Goulet O, Kolacek S, Koletzko B et al. Complementary feeding: a commentary by the ESPGHAN Committee on Nutri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8; 46(1): 99-110.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Complementary feeding of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knowledg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24. Victora CG, Bahl R, Barros AJ, Franca GV, Horton S, Krasevec J et al. Breastfeeding in the 21st century: epidemiology, mechanisms, and lifelong effect. Lancet 2016; 387(10017): 475-490. 

  2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26. Lee JH. A study on mothers' perceptions of weaning diets and the use of commercial weaning foods in Ulsan [Master thesis]. Ulsan University; 2016. 

  27. American Dental Association. For the dental patient. Tooth eruption: The primary teeth. J Am Dent Assoc 2005; 136(11):1619. 

  28. Yom HW, Seo JW, Park HP, Choi KH, Chang JY, Ryoo E et al. Current feeding practices and maternal nutritional knowledge on complementary feeding in Korea. Korean J Pediatr 2009; 52(10):1090-1102. 

  29. Lee CH, Jeong TS, Kim S. A pilot survey of the state of feeding, oral hygiene care tooth eruption and caries in 18-month old infa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2004; 31(4): 714-720. 

  30. Ventura AK, Worobey J. Earl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Curr Biol 2013; 23(9): R401-R408. 

  31. Beauchamp GK, Moran M. Acceptance of sweet and salty tastes in 2-year-old children. Appetite 1984; 5(4): 291-305. 

  32. Wendt LK, Hallonsten AL, Koch G, Birkhed D. Analysis of caries-related factors in infants and toddlers living in Sweden. Acta Odontol Scand 1996; 54(2): 131-137. 

  33. Wan AK, Seow WK, Purdie DM, Bird PS, Walsh LJ, Tudehope DI. A longitudinal study of Streptococcus mutans colonization in infants after tooth eruption. J Dent Res 2003; 82(7): 504-508. 

  34. Zhao W, Li W, Lin J, Chen Z, Yu D. Effect of sucrose concentration on sucrose-dependent adhesion and glucosyltransferase expression of S. mutans in children with severe early-childhood caries (S-ECC). Nutrients 2014; 6(9): 3572-3586. 

  35.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Guideline on periodicity of examination, preventive dental services, anticipatory guidance/counseling, and oral treatment for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Dent 2013; 35(5): E148-E1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