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 챗봇 구현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유용성 검증
Developing Scenario for Implementation of Counseling Chatbot and Verifying Usefuln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2019년, pp.12 - 29  

이지원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양현정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  김지근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담 챗봇 구현의 기반이 되는 대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룰 기반 상담 챗봇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울감과 관련된 호소문제 탐색 및 초기 상담관계 확립을 위한 상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룰 기반 상담 챗봇으로 설계하였으며, 상담심리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명확한 상담 구조화, 선택형 및 서술형 응답의 적절한 활용, 룰 기반 챗봇에 특화된 경청반응이 상담 챗봇의 중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상담 챗봇 유용성 평가에서는 대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상담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적극적 경청은 사용자의 상담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 기분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자 평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상담 챗봇이 지니는 고유한 장점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상담 챗봇이 극복해야 하는 한계점이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enario for implementation of the rule-based counseling chatbot and to verify its usefulness. For this purpose, counseling scenario for exploring problems triggering depression and establishing early counseling relationships was built and user evaluations...

주제어

표/그림 (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챗봇(chatbot)이란 무엇인가?? 챗봇(chatbot)이란, 채팅(chatting)과 로봇(robot)의합성어로[9], 대표적인 대화 에이전트에 해당하며 사람과의 문자 또는 음성 대화를 통해 질문에 적절히 답하거나 다양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11]. 챗봇의 종류는룰기반(rule-based)과기계학습기반(machine learning-based)이 있는데[4][8], 본 연구에서는 룰 기반의 상담 챗봇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한다.
챗봇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챗봇(chatbot)이란, 채팅(chatting)과 로봇(robot)의합성어로[9], 대표적인 대화 에이전트에 해당하며 사람과의 문자 또는 음성 대화를 통해 질문에 적절히 답하거나 다양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11]. 챗봇의 종류는룰기반(rule-based)과기계학습기반(machine learning-based)이 있는데[4][8], 본 연구에서는 룰 기반의 상담 챗봇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한다. 해외의 대화 에이전트 개발양상을 보면, 단순한 과업 중심의 대화에서 비과업 중심의 대화 시스템으로 진화하면서 자연어를 처리하는 기계학습 기반의 챗봇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12].
인공지능의 오랜 목표 중 하나가 인간과 기계 간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의 자동화라고 할 때, 심리치료 및 상담은 특히 이 목표에 부합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인공지능의 오랜 목표 중 하나가 인간과 기계 간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의 자동화라고 할 때, 심리치료 및 상담은 특히 이 목표에 부합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2]. 왜냐하면, 환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치료적 개입을 하는 주요 수단이 언어를 통한 대화이기 때문이다[3]. 이에 해외 정신건강 분야에서는 이미 1960년대부터 대화 에이전트(conversational agent)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지연, "알파고 사례 연구," 과학기술학연구, 제7권, 제1호, pp.5-39, 2017. 

  2. A. Miner, A. Chow, S. Adler, I. Zaitsev, P. Tero, A. Darcy, and A. Paepcke, "Conversational agents and mental health: Theory-informed assessment of language and affect,"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 Agent Interaction, pp.123-130, 2016. 

  3. J. W. Pennebaker, M. R. Mehl, and K. G. Neiderhoffer, "Psychological aspects of natural language use: Our words, our selv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547-577, 2003. 

  4. J. Vincze, "Virtual reference librarians (chatbots)," Library Hi Tech News, No.4, pp.5-8, 2017. 

  5. D. DeVault, R. Artstein, G. Benn, T. Dey, E. Fast, A. Gainer, K. Georgila, J. Gratch, A. Hartholt, M. Lhommet, G. Lucas, S. Marsella, F. Morbini, A. Nazarian, S. Scherer, G. Stratou, A. Suri, D. Traum, R. Wood, Y. Xu, A. Rizzoy, and L. Morency, "SimSensei Kiosk: A virtual human interviewer for healthcare decision support,"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nomous Agents and Multiagent Systems, pp.1061-1068, 2014. 

  6. K. K Fitzpatrick, A. Darcy, and M. Vierhile,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 trial," JMIR Mental Health, Vol.4, No.2, pp.1-17, 2017. 

  7. Y. Yamamoto, T. Shinozaki, S. Tsuruta, K. Kurashige, and R. Knauf, "Nodding behavioral context respectful counseling agent," World Automation Congress, pp.1-6, 2016. 

  8. 최수정, 성목경, 이슬찬빛, 최진주, 박준성, "룰 기반 챗봇을 활용한 교통정보 서비스 개발,"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1868-1869, 2017. 

  9. 이세훈, 이상민, 임흥갑, "입시 상담 챗봇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pp.430-431, 2017. 

  10. 송성렬, 송원문, 송수민, 김명원, "상담이력기반 인터넷 중독 진단/처방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집: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41권, 제3호, pp.214-224, 2014. 

  11. 강민정, "사용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19-329, 2018. 

  12. G. Cameron, D. Cameron, G. Megaw, R. Bond, M. Mulvena, S. O'Neill, C. Armour, and M. McTear, "Towards a chatbot for digital counselling," the 31st British Computer Society Human Computer Interaction Conference, pp.1-7, 2017. 

  1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9&aid0004184635&sid1001&lfromkakao, 2019. 3. 28. 

  14.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177995, 2019. 3. 28. 

  15. 박연수, 상담지향 챗봇 서비스의 담화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6. A. Breso, J. Martinez-Miranda, C. Botella, R. M. Banos, and J. M. Garcia-Gomez, "Usability and acceptability assessment of an empathic virtual agent to prevent major depression," Expert Systems, Vol.33, No.4, pp.297-312, 2016. 

  17. C. E. Hill, Helping Skills(4th Ed.):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4. 

  18. 천성문, 차명정, 이형미, 류은영, 정은미, 김세경, 이영순, 상담입문자를 위한 상담기법 연습, 학지사, 2015. 

  19. N. McWilliams,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Guilford Press, 2004. 

  20. M. F. Schober, F. G. Conrad, C. Antoun, P. Ehlen, S. Fail, and A. L. Hupp, "Precision and disclosure in text and voice interviews on smartphones," PLoS ONE, Vol.10, No.6, 2015. 

  21. https://danbee.ai/, 2019. 3. 11. 

  22.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23. R. Trappl, "Your Virtual Butler: The Making-of," Springer, 2013. 

  24. D. E. Nease and J. M. Malouin, "Depression screening: A practical strategy," J. of Family Practice, Vol.52, No.2, pp.118-126, 2003. 

  25. K. Kroenke, R. L. Spitzer, and J. B. Williams,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16, No.9, pp.606-613, 2001. 

  26.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9권, 제1호, pp.47-56, 2013. 

  27. 정남운, 상담과정에서의 대인관계적 상보성과 상담성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28. M. N. Shiota and J. W. Kalat, Emotion(2nd Ed.), Cengage Learning, 2012. 

  29.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제6권, 제2호, pp.119-124, 2010. 

  30. 홍경자, 자기이해와 자기지도력을 돕는 상담의 과정, 학지사, 2001. 

  31. 김춘경, 이수연, 이연주, 정종진, 최웅용, 상담학사전 세트, 학지사, 2016. 

  32. K. Oh, D. Lee, B. Ko, and H. Choi, "A chatbot for psychiatric counseling in mental healthcare service based on emotional dialogue analysis and sentence generation,"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Data Management, pp.371-376, 2017. 

  33. L. W. Reichenberg and L. Seligman, Selecting Effective Treatments(5th Ed.), John Wiley & Sons, Inc., 2016. 

  34. 최성희, "내담자의 상담자발성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 성과와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제25권, pp.79-103, 2007. 

  35. J. S. Nevid and S. A. Rathus, Psychology and the Challenges of Life: Adjustment and Growth(12th Ed.), John Wiley & Sons, Inc., 2013.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