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사업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Chusa Kimjeonghee Cultural Assets Commercialization Projec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2019년, pp.446 - 457  

정남수 (국립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전공) ,  윤혜려 (국립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산업화보다는 각 지역에 전래해 온 고유문화와 기술, 특정지역에 뿌리를 두고 지역주민의 삶과 밀접히 관련된 지역명 또는 지역의 상징물이나 정체성을 상품화, 수익화 하려는 지역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향토산업육성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향토자원의 조사에서 산업화까지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례 연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징, 고용, 수요를 바탕으로 향토자원의 발굴, 사업화 방향의 결정, 사업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향토자원의 평가, 관련 주요산업의 결정, 사업내용의 도출 등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첫 번째 작업으로 향토자원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중심자원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입지계수를 응용하여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으로 대상지역의 보조사업계수를 설정하여 주요 관련 산업을 결정하였다. 세 번째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향토자원에 대한 인지도조사와 사업내용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추진결과를 정리하였으며, 향후 향토자원산업화사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local resources industrialization projec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but a lack of method for being adapted for project planning from survey of local resources to commercialization. In this research, we composed local resource commercialization process with a case study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사업에서는 지역의 음식료품과 농림수산품의 연관관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림 2]와 같은 농산물 수급, 제품생산, 인증, 홍보 및 마케팅 등의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 또한 최종적으로 예산의 대표적 향토자원인 ‘추사’를 기반으로, 현대화되고 세련된 추사문화 정립 및 추사체를 IT와 디자인 등과 연결시킨 ‘타이포그래피’를 테마로 활용하여 예산의 추사문화상품 브랜드 개발을 통한 이미지 제고와 문화상품화 가치창출을 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2008년 예산군을 대상으로 향토자원을 조사하였으며 2008년도 기업체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2009년 추사기념관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한 추사김정희 문화상품화사업의 추진과정, 주요결과 등을 고찰하여 성과와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관련사업의 올바른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자원 중 역사인물을 상품화시켜 지역발전을 추구하는 사례로서 예산군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업의 현재까지의 성과와 이후의 발전방향 및 기대효과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9년에 계획되고 2010년에서 2012년까지 시행된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업의 내용을 정리하여 지역의 향토자원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주제가 될 수 있는 중심자원의 선정과정과 지역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사업 분야의 결정과정, 설문조사를 통한 사업내용의 결정과정 등을 정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보조사업분야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업체기초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표 6]과 같이 제조업분야에 대하여 관련업체수와 총고용 인원, 전국업체수와 전국고용인원을 정리하였다. 관련업체수를 기준으로 정렬해 보면 식료품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의 경우 업체당 고용인원이 전국평균에 못 미치고 있어 영세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산업화가치 분류 평가영역에 따라 예산지역의 향토자원을 조사하고 사업화가 가능한 중심자원을 선정하려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정성적 평가에 그쳤던 향토산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사업계획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다양한 지역에 적용하여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향토 산업과 같이 농촌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내생적 발전전략이 지역에 많아진다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고용창출과 같은 산업적 경쟁력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특화산업의 분석 방법은 입지계수분석(Locational Quotient, LQ), 변화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등이 활용되며, 이중 입지계수분석은 현재의 지역 산업구조에 대한 정태적 분석이라면 변화할당 분석은 국가 및 지역산업구조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동태적 분석이다[16]. 이 이외에도 특정업종에 대한 지역경제의 의존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특화도 지수(SI: Specialization Index), 지역 내 업종군 내에서 유관 업종이 얼마나 다양하게 분포하는지에 대한 다양성 지수(Diversity Index), 지역의 종사자 규모의 비중을 고려한 NOHI (Nam-Oh-Hong Index) 등이 사용되나[18], 통계청을 통해 시군단위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가 사업체수와 고용 인원이므로 모든 지역에 일반적으로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며[8], 경제예측과 같이 장기적 추세예측이 큰 의미를 차지하지 못하며, 보조사업의 특성 상 고용인원 뿐만 아니라 사업의 수혜를 받는 사업자의 수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추진한 추사김정희 문화상품화 사업의 현재까지의 추진 성과와 이후의 사업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는 어떤 영역으로 통용되는가? 향토는 개인의 정서와 생활체험이 가미된 주관적 의미를 지니는 용어로 ‘고향의 영토, 혹은 흙’이라는 의미로 대도시와 대비되는 공간의 영역으로 통용되며[2], 향토자원이란 물질적 결과물에 향토성이 체화되어있는 유형의 자원과 물질적 자원의 형태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무형의 자원을 의미하며, 유형의 향토자원은 의식주의 생활, 놀이 및 여가생활, 토종동식물, 유전자원 등이며 무형의 향토자원은 전통지식, 전래풍속, 전설, 민요, 지역축제 등 사람에 체화되어 있는 것과 자연생태 환경 등을 말한다[3].
향토 산업이란? 농림수산식품부는 생명, 건강, 매력이 어우러진 농림수산식품산업과 농산어촌 비전 2020을 발표하면서 향토 산업을 통한 경제활동 다각화 방안으로 2013년까지 200여개 향토자원에 대한 지역 핵심 전략산업육성 방안을 발표하였다[7]. 향토 산업은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전통산업,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중소기업의 역할에 관심을 갖는 지연산업, 특정 지역에만 특화되어 지역 내외로 제품을 판매하는 특화산업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박성용은 향토 산업을 지역의 특성 있는 향토자원을 개발,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정의하였다[8].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향토산업육성사업의 경우 중점자원의 선정과정, 사업영역의 결정 등이 일관된 과정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원인, 한계는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까지 향토 산업에 관련된 연구는 개별지역의 사례를 정리하거나[2], 유형별 마케팅 방안 등 자원특성만을 고려하거나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어서[6], 대상지역의 인구 및 산업특성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서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향토산업육성사업의 경우 중점자원의 선정과정, 사업영역의 결정 등이 일관된 과정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윤대식, 도시모형론, 홍문사, 2011. 

  2. 김현호, 한표환, 김흥래, 지역발전을 위한 향토자원의 개발 및 활용연구,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pp.7-10, 2004. 

  3. 이한기, 박덕병, 박은식, "전통문화와 전통지식을 통한 농촌의 내생적 발전 요인에 관한연구," 농촌사회, 제12권, 제2호, pp.51-74, 2002. 

  4. 안옥선, 김미희, 안윤수, 박한식, "향토자원을 활용한 산업화 유형별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제17권, 제2호, pp.225-267, 2007. 

  5. 안형순, "지역자원의 향토산업화 과정 및 참여주체별 역할에 대한 사례연구 -담양대나무신산업과 광양매실산업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20권, 제1호, pp.61-80, 2007. 

  6. 최은영, 안희정, "영주향토음식 콘텐츠개발을 위한 주성분분석 및 문화유산(소수서원, 부석사) 자원의 활용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30권, 제5호, pp.1068-1079, 2017 

  7.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 2018. 06.20. 

  8. 통계청, 사업체통계조사보고서, 통계청, 2018. 

  9. 박성용, 윤철석, "향토산업의 성공전략에 관한연구 : 안동,영주지역을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제20권, 제2호, pp.101-134, 2006. 

  10. 김미희, 이영옥, 이기만, "김포지역 산업화 유망향토자원 발굴 조사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제16권, 제4호, pp.993-1019, 2009. 

  11. 신동선, 김익식, "지방자치단체의 역사인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경기행정농촌, 제22권, pp.77-100, 2009. 

  12. 윤유석, "스토리텔링을 통한 지역 역사인물의 대중화," 인문콘텐츠, 제19호, pp.301-325, 2010. 

  13. 최석, "장소성을 이용한 충무공이순신 향토음식 브랜드개발 사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422-431, 2012. 

  14. 박인호, "지연산업의 개념정립과 진흥에 관한 이론적 고찰," 도시문제, 제20권, 제4호, pp.65-76, 1985. 

  15. 박인호, "지방산업의 육성 : 경북의 지연산업을 중심으로," 지방행정, 제33권, 제374호, pp.73-79, 1984. 

  16. 박원석, 이철우, "영남지역 특화산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pp.463-475, 2005. 

  17. 한국농어촌공사,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편람, 농림부, pp.451-454, 2007. 

  18. 남기성, 오민홍, 홍현균,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응용통계연구, 제21권, 제4호, pp.581-588, 2008. 

  19. A. D. Isserman, "The Location Quotient Approach to Measuring Regional Economic Impact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Vol.43, No.1, pp.33-41, 1977. 

  20. 이남승, 지역별 산업 특성 분포 파악을 위한 측도 간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