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및 우울의 위험 요인 : 개인 및 직무요인을 중심으로
Risk Factors for Stress and Depression in Firefighters : Comparison of Individual and Job Related Factor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5 no.1, 2019년, pp.35 - 44  

이나빈 (국가트라우마센터) ,  이정현 (국가트라우마센터) ,  김지애 (국가트라우마센터) ,  전경선 (국가트라우마센터) ,  심민영 (국가트라우마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and job related factors as risk factors for mental health of firefighters. Methods : The data of 202 fire-fighters was analyzed by using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특히 역기능적인 대처전략은 경험의 처리과정을 왜곡하여 정서조절의 실패를 낳고 이는 다시 우울증상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은 일관되게 보고되어 왔다.8,9 본 연구에서는 대처 전략을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를 포함하는 적극적 대처와 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 대처를 포함하는 소극적 대처로 구분하여 이 두 분류의 대처전략이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D 때문에 최근 연구들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생태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개인의 대처전략 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환경조건들의 영향력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此如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서 개인 차원의 요인 뿐만 아니라 직무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원들의 영향력 역시 조명해 보고자 했다. 더불어 개인요인의 예측력을 통제하고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이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더불어 개인 요인의 예측력을 통제한 직무요인들의 효과를 검토하여 보다 중요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직무 스트레스 원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소방공무원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개인 요인과 직무요인을 모두 고려한 개입 전략의 마련을 제언하고, 정책적으로는 직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此如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서 개인 차원의 요인 뿐만 아니라 직무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원들의 영향력 역시 조명해 보고자 했다. 더불어 개인요인의 예측력을 통제하고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이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함께 고려하지 않았고, 국내 소방공무원의 직무 환경은 국외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국외 연구결과를 그대로 현장에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어떠한 직무 스트레스 원들이 국내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예측하는지 검토하여 국내 소방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에 있어서 개인 및 직무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증상에 보다 기여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소방공무원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소방공무원에 있어서 일반적인 스트레스 관리 전략과 높은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을 함께 경험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관리 전략을 차별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더불어 개인 요인의 예측력을 통제한 직무요인들의 효과를 검토하여 보다 중요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직무 스트레스 원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소방공무원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개인 요인과 직무요인을 모두 고려한 개입 전략의 마련을 제언하고, 정책적으로는 직무 환경의 개선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서 개인요인(연령, 대처전략, 아동기 학대경험) 뿐 만 아니라 직무요인(동료 관련 외상 경험, 직무 스트레스)들의 영향력을 조명해 보고자 했다. 더불어 개인요인의 예측력을 통제하고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이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개인 차원의 요인과 개인의 대응 역량을 넘어서는 직무 차원의 요인이 무엇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에 노출되고 있는 소방공무원 정신건강 관리에 중요한 직무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미흡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요인과 직무요인을 모두 포함한 연구모델을 설계하였고,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에 따라 개인 및 직무요인들의 예측력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높은 스트레스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는 개인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소방공무원의 현재 스트레스 수준을 높이는데 보다 기여하고 있는 것이 연령, 대처 전략, 아동기 학대 경험과 같은 개인요인보다 직무 환경의 스트레스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 이처럼 급성 스트레스만 뿐만 아니라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스트레스 역시 우울증의 발병 기제를 이해하기 위한 주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만성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위험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소방공무원들이 만성 스트레스의 결과로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과 높은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을 함께 경험하고 있는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Post-traumatic stress of firefighters, 2008. 

  2. Gwangju Trauma Center. PTSD Intervention Performance Report for Firefighters, 2014. 

  3.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human rights of firefighters, 2015. 

  4. McGonagle K, Kessler R. Chronic stress, acut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 J Community Psychol 1990;18:681-706. 

  5. Hammen C, Kim EY, Eberhart NK. Chronic and stress and the prediction of major depression in women. Depression and Anxiety 2009;26:718-723. 

  6. Turner HA, Turner RJ. Understanding variations in exposure to social stress. Health: an interdisciplinary. J Soc Stud health Illn Med 2005;9:209-240. 

  7. Folkman S, Lazarus RS.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J Pers Soc Psychol 1985;48:150-170. 

  8. Gross JJ.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 2002;39:281-291. 

  9. Garnefski N, Kraaij V.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and depressive symptoms: a comparative study of five specific sample. Pers Individ Dif 2006;39:1-11. 

  10. Bifulco A, Bernazzani O, Moran PM, Ball C. Lifetime stressors and recurrent depression: preliminary findings of the adult.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0;35:264-275. 

  11. Hammen C, Henry R, Daley S. Depression and sensitization to stressors among young women as a function of childhood adversity. J Couns Clin Psychol 2000;68:782-787. 

  12. Jeon HS, Dunkle R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the Oldest-Old: A Longitudinal Analysis. Res Aging 2011;31:661-687. 

  13. Harvey MR. An ecological view of psychological trauma and trauma recovery. J Trauma Stress 1996;9:3-23. 

  14. Stokols D. Translating social ecological theory into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Am J Health Promot 1996;10:282-298. 

  15. Kenny DT. Occupational stress: Reflections on theory and practice. Stress and health: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Amsterdam: Harwood; 2000. 

  16. Kim TW, Kim KS, Ahn Y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378-387 

  17. Yu JH. The ralations of PTSD symptoms, emotional state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in urban fire fighters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2006. 

  18. Nieuwenhuijsen K, Bruinvels D, Frings-Dresen M.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tress-related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ccup Med 2010;60:277-286. 

  19. Dragano N, He Y, Moebus S, Jckel KH, Erbel R, Siergrist J. The two model of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8;43:72-78. 

  20. Saijo Y, Ueno T, Hashimoto Y.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Japanese fire fighters. Am J Ind Med 2007;50:470-480. 

  21. Baik JH, Jung YE, Chae JM, Myong JP, Yim HW, Chae JH. Effects of vicarious trauma on mental health in firefighters. Anxiety and Mood 2010;6:65-70. 

  22. Lee JH, Lee D, Kim J, Jeon K, Sim M. Duty-related trauma exposur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professional firefighters. J Traumatic Stress 2017;30:133-141. 

  23. Cohen S, Williamson GM.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pacapan S, Oskmap S, editor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Newbury Park: Sage;1988. p.31-67. 

  24. Park JH, Seo YS.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Psychol General 2010;29:611-629. 

  25.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 New York: Harper & Row;1967. 

  26.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27. Shin MS, Kim ZS, Park KB. The Cut-Off Score for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 Clin Psychol 1993;12:71-81. 

  28. Bernstein DP, Stein JA, Newcomb MD, Walker E, Pogge D, Ahluvalia T, Zule 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brief screening version of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hild Abuse Negl 2003;27:169-190. 

  29. Yu JH, Park JS, Park DH, Ryu SH, Ha JH.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The practical use in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Korean J Health Psychol 2009;14:563-579. 

  30. Folkman S, Lazarus R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 Health Soc Behav 1980:219-239. 

  31. Kim JH, Lee JH. The structure of stress coping style and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Behav Sci Res 1985;7:127-138. 

  32.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 Occup Environ Med 2005;12:297-317. 

  33. Thornberry TP, Ireland TO, Smith CA. The importance of timing: The varying impact of childhood and adolescent maltratment on multiple problem outcomes. Dev Psychopathol 2001;13:957-979. 

  34. Kayson D, Scher CD, Mastnak J, Resick P. Cognitive mediation of childhood maltratment and adult depression in recent crime victims. Behav Ther 2005;36:235-244. 

  35. Kim EJ, Kim JS.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arly Adulthoo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ce Coping Style. Korean J Couns and Psychother 2010;22:605-630. 

  36. Alexander DA, Klein S. Ambulance personnel and critical incidence: Impact of accident and emergency work on mental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 Br J Psychiatry 2001;178:76-81. 

  37. Lee NY, Hah YS. Post-traumatic Stress Experienced by Firefighters and Paramedics. Perspect Nurs Sci 2012;9:83-93. 

  38. Kim JH. Study on the fire fighter; Awareness of scene safety accidents and its measure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10. 

  39. Kim JS, Lee DH, Park JT. Improvement for the Job Safety in the Scene Activities of Fire Fighter. Fire Sci Eng 2014;28:58-63. 

  40. Chae J, Woo SC, Ko GB.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Firefighters. Fire Sci Eng 2012;26:28-34. 

  41. Yoon MS, Kim SH.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between the Relationship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Firefighters. Ment Health Soc Work 2014;42:5-34. 

  42. Park KH.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public fire workers. J Korean Urban Manag Assoc 2002;15:63-79. 

  43. Rohde P, Lewinsohn P, Seeley JR. Comorbidity of unipolar depression: comorbidity with other mental disorder in adolescents and adult. J Abnorm Psychol 1991;100:214-2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