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기록화 및 단기모니터링 연구
Digital Documentation and Short-term Monitoring on Original Rampart Wall of the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jeo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2, 2019년, pp.169 - 188  

김성한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무인항공사진촬영 및 지상레이저스캐닝을 수행하였고, 모니터링의 연속성을 위해 지상기준점을 측량하였다. 또한 원형성벽의 구조적 안정성 검토를 위해 육안 정밀조사, 무인항공사진측량, 내시경 촬영, 토털스테이션 및 수동 계측을 진행하였다. 남쪽 원형성벽의 우측구간은 드론으로 항공사진측량하고 3차원 디지털모델의 편차분석을 통해 단기간 모니터링하였다. 이 결과, 두 성벽은 5mm 이내의 범위에서 거의 일치하였고 부분적 편차는 있으나 성돌의 변위와 변형을 지시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정밀 육안조사와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배부름, 약선대, 균열대 등 구조적 변형이 발생한 지점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시경을 통해 본 내부의 적심상태는 원형성벽의 채움석이 잘 남아 있었으나, 채움토는 대부분 유실되었다. 원형성벽에서 구조적 변형이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토털스테이션 측정 결과, 북쪽 원형성벽의 최대 변위량은 6.6mm, 남쪽 원형성벽의 최대 변위량은 3.8mm로 다소 높았으나, 최종 변위량은 각각 2.9mm와 1.4mm 이하로 나타났다. 간이계측 역시 모든 지점에서 0.82mm 이하의 변위가 발생하여 뚜렷한 구조적 변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원형성벽의 변위 모니터링 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하더라도 갑작스런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성벽의 특성상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취득한 3차원 형상정보를 바탕으로 보존과학적 진단과 정밀 모니터링 및 구조해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manned aerial photography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to establish digital database on original wall of Gyejoksanseong fortress, and measured ground control points for continuity of the monitoring. It also performed precise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unmanned aer...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12)

  1. Choi, H.S., Lee, C.H., Han, S.H. and Lee, S.M. (2016) Disassembly and reconstruction of stone pagoda using 3-dimensional image analysis: Case study in Simgoksa seven-storied stone pagod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p.561-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aejeon Metropolitan City (2012) Basic Plan of General Maintenance for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jeon. Research Report, p.1-335. (in Korean) 

  3. Daejeon Metropolitan City (2015) Reconstruction Report of General Maintenance Work for Rampart Wall in Gyejoksanseong Fortress. Research Report, Report, p.1-109. (in Korean) 

  4. Jo, Y.H. and Lee, C.H., (2009) 3D image analysis for digital resto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p.115-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 Y.H. and Lee, C.H., (2011) Making method of deterioration map and evaluation techniques of surface and three-dimensional deterioration rate for stone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p.251-2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o, Y.H. and Lee, C.H., (2015) Analysis of ancient document and establishment of petrological database for presumption of stone source area of the Seoul City Wall,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p.193-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 B.K., Lee, C.H. and Suh, M. (2008) Stability evaluation of multi-storied stone pagoda in the Daewonsa temple using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2, p.3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im, S.B., Seo, C.U. and Yun, H.C. (2015) Digital map ppdates with UAV photogrammetric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grammetry and Cartography, v.33, p.397-4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J.H. and Lee, C.H. (2018) Conservation status, construction type and stability considerations for fortress wall in Hongjuupseong (town wall) of Hongseong, Korea.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51(3), p.4-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eung, J.T. (1974) A study on the old castles sites in Daejeon area. The Journal of Paekche Research Institute, v.5, p.7-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Song, I.R. and Kim, G.P. (2003) The constructing method of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deok.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v.22, p.115-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Xu, J., Ding, L. and Love, P.E.D. (2017) Digital reproduction of historical building ornamental components: From 3D scanning to 3D print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v.76, p.8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