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 내 고체연료 화재에 대한 설계화재곡선 예측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for Solid Fuel Fire in a Building Spac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2, 2019년, pp.47 - 55  

백빛나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대학원) ,  오창보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물형태의 공간 내에서 발생한 고체연료 화재에 대해 Fire dynamics simulator (FDS)을 이용하여 설계화재곡선예측성능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FDS의 연소모델로서는 EDC 2-step mixing controlled를 적용하였으며 검토된 설계화재곡선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한 2-stage design fire (TDF) 곡선, Quadratic 및 Exponential design fire 곡선들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건물 내 연기 전파과정이 설계화재곡선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계화재곡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건물 내 실험온도결과에 대해 합리적으로 예측하고 TDF가 가장 온도를 무난하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설계화재곡선의 화학종 농도에 대한 예측은 실험과 충분히 예측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점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소모델은 고체연료 화재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적합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고체연료의 예측에 대한 FDS 연소모델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design fire curves was evaluated using a Fire dynamics simulator (FDS) for a solid fuel fire in a building space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EDC 2-step mixing controlled combustion model was used in the FDS simulations and the previously suggested 2...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고체연료에서 발생한 건물화재 실험연구(10)를 대상으로 FDS의 EDC 2-stepMC 연소모델과 Baek 등이 제안한 설계화재곡선과 Ingason 등의 설계화재곡선을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여러 설계화재곡선과 화재 시뮬레이션의 예측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10)에서 수행된 고체연료로 인한 건물화재 실험결과에 대해 수치계산 결과를 비교하여 화재 시뮬레이션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에서는 가로 × 세로 × 높이 = 15.
  •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그룹에서는 구획실 내 가스화재에 대해 화재 시뮬레이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Fire dynamics simulator (FDS)의 연소모델에 대한 예측성능을 실험과 비교, 평가하였다(1). 이 연구를 통해 FDS의 연소모델에 따라서 온도분포에 대한 예측성능은 큰 차이가 없지만 화학종 농도분포에 대해서는 예측성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EDC 2-step MC 연소모델을 사용할 경우 HRR 값을 입력값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효율을 100%로 가정하여 HRR 값을 연료의 연소열과 상부 표면적으로 나눠서 계산되는 질량유속(Mass flux)을 입력값으로 사용하였다. 연료로 사용된 폴리우레탄은 실험연구(10)를 참고하여 연소열을 28,000 kJ/kg, 상부 표면적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 시뮬레이션의 장점은 무엇인가? PBD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건물의 설계단계에서부터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시뮬레이션이 사용되고 있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적절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입력조건으로 계산된 결과를 이용해 건물의 화재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신뢰성 있는 안전성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의 신뢰성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PBD의 목표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2011년도부터 화재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를 도입하여 시행되어오고 있다. PBD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건물의 설계단계에서부터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시뮬레이션이 사용되고 있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적절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입력조건으로 계산된 결과를 이용해 건물의 화재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계화재곡선(Design fire curve)이 화재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화재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입력조건은 주로 시간에 따른 화재의 거동을 잘 나타내는 열발생률(Heat release rate, HRR)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화재에 대해 측정된 HRR을 기초하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HRR은 건물의 구조와 환기 조건 등 특정 화재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지는데 모든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HRR을 실험을 통해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특정 화재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는 입력조건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력조건을 설계화재곡선(Design fire curve)이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 Baek, C. B. Oh, C. H. Hwang and H. S. Yun,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FDS Combustion Models for the CO Concentration of Gas Fires in a Com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1, pp. 1-9 (2018). 

  2. Z. Chen, "Design Fires for Motels and Hotels", Master's Thesis, Carleton University (2008). 

  3. H.-J. Kim and D. G. Lilley, "Heat Release Rates of Burning Items in Fires", 38th Aerospace Sciences Meeting and Exhibit, AIAA 2000-0722, pp. 1-25 (2000). 

  4. H. Ingason, "Design Fire Curves for Tunnels", Fire Safety Journal, Vol. 44, No. 2, pp. 259-265 (2009). 

  5. J. Hietaniemi and E. Mikkola, "Design Fires for Fire Safety Engineering", VTT Working Papers 139, pp. 51-94 (2010). 

  6. M. Dinesh, C. B. Oh and E. J. Lee, "Computational Study of Tunnel Fire with Design Fire Curves", Proceedings of 2017 KIFSE Annual Autumn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129-130 (2017). 

  7. B. Baek, C. B. Oh, E. J. Lee and D.-G. Nam, "Application Study of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in a Com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4, pp. 43-51 (2017). 

  8. B. Baek, C. B. Oh and C. Y. Lee, "Evaluation of Modified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Using the FDS and CFAS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2, pp. 7-16 (2018). 

  9. B. Baek, C. B. Oh and C. H. Hwang, "Evaluation of Design Fire Curves for Gas Fires in a Compartment Using CFAS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4, pp. 7-16 (2018). 

  10. M. Luo and V. Beck, "A Study of Non-flashover and Flashover Fires in a Full-scale Multi-room Building", Fire Safety Jouranl, Vol. 26, No. 3, pp. 191-219 (1996). 

  11. B. Karlsson and J. Quintiere,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 (1999). 

  12. H. Ingason, Y. Z. Li and A. Lonnermark "Tunnel Fire Dynamics", Springer (2015). 

  13.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 6th Edition (2015). 

  14. NFPA,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ition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