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복지 서비스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학교기반의 산림활용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s and Promotion of Strategies for School-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the Forest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6 no.1, 2019년, pp.1 - 11  

김미주 (서울사이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성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이윤정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진영란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  문효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하이얀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협동과정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toward school forest programs related to forest welfare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 strategies to activate new programs. Methods: A mixed method research was performed. Four teachers and one forest therapist participa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정 측면에서는 학교에서의 산림복지 프로그램 실행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우선 학교기반의 산림복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프로그램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 대상의 산림 활용 활성화를 위해 우선 학교 관계자들의 산림복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산림 활용도를 파악하여 학교 기반의 산림복지서비스 지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학교기반의 산림복지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구조 측면(제도적인 문제, 타 정부기관과의 협력, 인적자원, 물적 자원 등의 지원체계 구축, 인식개선), 과정 측면(교육과정 내에서 통합 방안, 프로그램 개발, 전문인 교육, 정보 제공 등), 결과 측면(효과를 위한 근거마련, 효과평가 연구)의 순으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기반의 산림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확산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아직은 산림청에서 제시하는 ‘산림복지’라는 용어가 교사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았지만, 학교숲을 활용한 프로그램에는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그 효과도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그룹 면담과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기반의 산림복지서비스 관련자의 학교숲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숲을 이용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교사들 모두 그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접근 가능한 숲이 있는가의 여부, 학교숲 관리의 문제, 교사의 업무 과중 위험, 프로그램의 다양화 부족 문제, 홍보 부족의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 지속가능하고 일상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도 활성화를 위한 필요과제로 제시되었다. 나무심기, 낙엽치우기 같은 생명을 가꾸는 연습, 학교숲 둘레를 매일 몇 바퀴씩 걷기 등 아이들이 일상적으로 꾸준히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적용해야 그것이 장기적인 건강증진효과로 나타날 것이라는 의견인 것이다.
  • 초등학교에서의 산림복지 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적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8월 31일에 대학의 세미나실에서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연구목적, 방법, 내용 등을 설명하고 면담 내용이 녹음되는 것과, 녹음된 내용은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고, 연구종료와 함께 폐기되며, 언제라도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서면동의를 받았다.
  • 학교기반의 산림 활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숲 조성에 대한 인식 전환 과 법조항의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학교 운동장으로 인해 학교숲을 조성할 공간이 부족하나 현행법에 학교 운동장 최소면적 및 시설 등을 명시한 조항이 있어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면서 추가적으로 학교숲을 만드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이 아동의 삶의 스트레스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오는가? Wells와 Evans3)는 농촌에서 생활하는 초등 3~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자연이 아동의 삶의 스트레스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인근에 자연이 많고 숲에의 접근성이 좋을수록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됨을 보고하였다. 미국의 위스콘신에서 이루어진 대단위 연구에서도 도시와 농촌 모두 주변의 녹지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 불안과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에 자연환경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높은 학업 스트레스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문제를 초래하는가? 도시화된 사회에서 살고 있는 현대의 아동과 청소년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자연에의 노출 기회가 현저히 적다. 특히 치열한 경쟁 속에서 높은 학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신체활동 부족, 집단 활동의 기회 부족으로 인한 개인적 성향의 심화가 우려되는 현대 아동들에게 야외활동을 통해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은 아동과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문제를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만들고 있다. 이미 해외 여러 국가에서는 자연에서의 활동 효과에 대한 근거를 중심으로 Green Exercise, Green Care, Green Gym 등과 같이 녹지 공간 기반의 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을 유도하고자하는 프로그램들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산림치유의 효과가 보여진 후 관련 프로그램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5-7)또한 초등생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들도 있는데, 숲에서의 활동이 저소득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8)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생들은 2박 3일의 캠프 후 정신건강 회복력에 좋은 효과를 보였고,9)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행복감이 크게 상승됨을 보고하였다.10)그러나 전국의 많은 학교들에 학교숲이 조성되어 지역사회 기반의 산림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은 좋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기반의 아동 대상 산림복지 프로그램은 아직 활성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연과의 교감 속에서 생태감수성이 높아지게 되면 이는 모든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11)아동기부터 자연에서의 활동을 장려함은 매우 중요하고도 효율적인 인성교육과 건강증진의 전략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oung D, Choi S, Yoo YM, Park C, Lee J, Hong S, et al. A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green gym from United Kingdom to South Korea.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8 Jun;22(2):43-51. 

  2. Louv R.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Chapel Hill (NC): Algonquin Books; 2008. 414 p. 

  3. Wells NM, Evans GW.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Environ Behav. 2003 May;35(3):311-30. https://doi.org/10.1177/0013916503251445 

  4.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Need assessment and project guideline development for community based tailored forest welfare. Seoul: Korea Forest Service; 2016. 

  5. Bang KS, Lee I, Kim S, Song MK, Park SE. The effects of urban forest-walking program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ffice-workers. J Korean Acad Nurs. 2016 Feb;46(1):140-8. https://doi.org/10.4040/jkan.2016.46.1.140 

  6. Bang KS, Lee I, Kim S, Lim CS, Joh HK, Park BJ, et al. The effects of a campus forest-walking program o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7 Jul 05;14(7):728. https://doi.org/10.3390/ijerph14070728 

  7. Cho YM, Kim DJ, Lee KH, Lee HE, Lee YJ. A study on effect of forest related programs based on the meta-analysis.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5 Mar;19(1):1-13. 

  8. Kim IJ, Shin WS, Yeoun PS. The influence of a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student's aggression-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 income families.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2 Dec;16(4):133-40. 

  9. Kim JY, Shin CS, Yeoun PS, Yi JY, Kim MR, Kim JK, et al. Forest healing program impact on the mental health recove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3 Dec; 17(4):69-81. 

  10. Lee JY. The effect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y ecological system approach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focused on organism and microsystem variables [master's thesis].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13 Aug. 194 p. 

  11. You YS, Kim HC, Lee CJ, Jang NC, Son BK. A study of effects of Sallimyok (forest therapy)-based mental health program on the depressio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J Korean Soc Sch Community Health Educ. 2014 Dec;15(3):55-65. 

  12.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 Health Res. 2005 Nov;15(9):1277-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13. Kaplan R, Kaplan S.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340 p. 

  14. Song YJ. Estimated prevalence of ADHD symptoms and relationships among ADHD symptom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eer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Asian J Educ. 2014 Dec;15(4):189-217. 

  15. Lee I, Bang KS, Choi H, Hwang I, Kim H. Current state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forests and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programs.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4 Jun;18(2):71-80. 

  16. Cho HM. Haggyo supgwa hagsaeng geongang-gwaui gwangy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forest and student health]. J Holist Converg Educ. 1999 Nov;3(3):51-62. 

  17. Chun YW. Four reasons for shading our schools. Supgwa Munhwa [For Cult]. 1999 Feb;8(1):4-5. 

  18. Son JW, Ha S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s on attitudes towards forest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3 Dec;17(4):49-57. 

  19. Kang SM, Lee JH, Jeong YO.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ctivity using school fores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J Korean Pract Arts Educ. 2011 Jun;24(2):105-24. 

  20. Song JE, Kim E. A basic research for the after-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models: focusing on requirement and perception of parents. J Educ Innov Res. 2017 Sep;27(3):379-404. 

  21. Kim JH, Lee SH, Yoon YH.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tudent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J Environ Sci Int. 2018 Jul;27(7):519-29. https://doi.org/10.5322/JESI.2018.27.7.519 

  22. Jang CK, Jung SG, Jang JS, Kim KT, Oh JH. The direction of school forest plans consider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09 Oct;37(4):42-51. 

  23. Song MK, Bang KS. A systematic review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 Res. 2017 Jul;23(3):300-11.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00 

  24. Kim JG, Kim DJ. Confirmation of forest healing program's effect on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and learning strategy in bullied student. Korean J Youth Stud. 2016 May;23(5):479-503. https://doi.org/10.21509/KJYS.2016.05.23.5.479 

  25. Lee I, Bang KS, Kim S, Choi H, Lee B, Song MK. Effect of forest program on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6 Jun;20(2):1-13. 

  26. Bang KS, Lee I, Kim S, Chin YR, Kim M, Yi Y, et al. Perception on forest prenatal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J Korean Inst For Recreat. 2017 Jun;21(2): 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