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객 생태 인식 증진을 통한 수변공원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side Parks by Promoting Ecology Awareness of Visitor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2, 2019년, pp.237 - 251  

최종윤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김성기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김정철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윤종학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 수변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상 및 생태현황 조사를 통해 수변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고, 2)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한 생태교육 및 홍보를 통해 수변공원에 대한 이용 및 비이용객의 생태적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변공원 92개소를 대상으로 생물상 조사를 수행한 결과, 수변공원에서는 멸종위기종 9종(벌매, 붉은배새매, 새호리기, 흰목물 떼새, 삵, 수달, 맹꽁이, 수염풍뎅이, 은줄팔랑나비)을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수변공원은 비록 인간의 이용을 위한 친수적인 성향으로 조성되었지만, 일부 자연성이 높은 지역은 생물서식처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금강유역 내 5개 지역(대전, 세종, 청주, 공주, 부여)에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하고, 생태교육 및 홍보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을 대상으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생태공원에 대한 이용객이 비이용객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대전이나 청주 등의 지역에서 수변공원의 이용 빈도는 다른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전이나 청주는 도심구간으로 수변공원 외에도 체육시설이나 카페 등의 여가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아 수변공원에 대한 의존도가 타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용객은 이용대상 수변공원과 실제 거주지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객 대부분이 수변공원을 '생활체육공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도보가 가능한 거리가 아니면 활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생태교육 및 홍보 후 '보전'적인 측면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이용객(80%)이 비이용객(3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볼 때, 생태교육 및 홍보는 수변공원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특성이나 제원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이용객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1) 수변공원은 비록 친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조성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멸종위기종의 서식하는 등 생물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2) 이를 볼 때,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친수적인 성향만이 강조된 부분에서 보전적인 측면으로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추후 수변공원에 대한 관리나 정비계획 수립 시 친수와 보전적인 측면이 공존하는 수변공원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cological value of waterside parks by investigating the anim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feature in 92 waterside parks and analyzed the change of ecological awareness by users and non-users of waterside parks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and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전적인’ 관점에서 둔치공간을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생물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이용측면만이 강조된 시설확대도 이러한 인식 변화에 큰 기여를 했지만, 관리부처가 모호한 탓에 유지관리는 물론 생물상 파악이나 서식처평가 등의 환경조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아 ‘보전적인’ 관점에서 둔치공간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것이 더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둔치공간에 서식하는 생물상이나 멸종위기종의 분포 등을 포함한 생태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로 필요하며,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물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은 지역을 선별하여 자연성 회복과 보전적 성향의 관리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둔치의 서식생물상과 생태적인 기능에 대해 이용객의 충분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이용 측면만이 강조된 현재에서 보전적인 측면으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사실, 각 시도지자체에서는 생물서식처 보전을 위한 둔치정비 계획 수립에도 불구하고, 이용측면에서의 인식이 강한 이용객은 체육 및 여가공간이 소실되는 염려로 인해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둔치는 무엇인가? 둔치는 물가의 언덕 또는 강이나 호수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며,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가 교차하는 전이지역이다. 수환경과 육상환경으로부터 영양분이나 먹이원이 풍부하게 유입되며, 식생이 발달하고 지형구조가 복잡하여 다양한 서식공간이 조성된다(Thompson, 1993).
둔치의 특징은? 수환경과 육상환경으로부터 영양분이나 먹이원이 풍부하게 유입되며, 식생이 발달하고 지형구조가 복잡하여 다양한 서식공간이 조성된다(Thompson, 1993). 풍부한 먹이원과 미소서식처 조성으로 인해 둔치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서 활용되며, 지속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높게 유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초본류나 관목 등이 복잡하게 이루어진 둔치는 높은 서식처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유도하여 다양한 생물들이 공존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Shav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vgar, T., G. Street and J.M. Fryxell(2013) On the adaptive benefits of mammal migration. Can. J. Zool. 92(6): 481-490. 

  2. Baldwin, R.F.(2009) Assessing threats to pool-breeding amphibian habitat in an urbanizing landscape. Biol. Conserv. 142(8): 1628-1638. 

  3. Bayley, P.B.(1991) The flood pulse advantage and the restoration of river­floodplain systems. Regul. Rivers: Res. Manage. 6: 75-86. 

  4. Blomquist, S.M. and M.L. Hunter Jr(2010) A multi-scale assessment of amphibian habitat selection: wood frog response to timber harvesting. Ecoscience 17(3): 251-264. 

  5. Fahrig, L.(2003)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odiversity. Ann. Rev. Ecol. Evol. Syst. 34(1): 487-515. 

  6. Friend, G.R. and K.M. Cellier(1990) Wetland herpetofauna of Kakadu National Park, Australia: seasonal richness trends, habitat preferences and the effects of feral ungulates. J. Trop. Ecol. 6(2): 131-152. 

  7. Gillies, C.S. and C.C.S. Clair(2010) Functional responses in habitat selection by tropical birds moving through fragmented forest. J. Appl. Ecol. 47(1): 182-190. 

  8. P.E.(1969) Habitat specificity in three sympatric species of Ameiva (Reptilia: Teiidae). Ecology 50(3): 476-481. 

  9. Jeong, K.S., D.K. Kim and G.J. Joo(2007) Delayed influence of dam storage and discharge on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 proliferation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a regulated river system of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Water Res. 41(6): 1269-1279. 

  10. Jonasson, S., A. Michelsen, I.K. Schmidt, E.V. Nielsen, and T.V. Callaghan(1996). Microbial biomass C, N and P in two arctic soils and responses to addition of NPK fertilizer and sugar: implications for plant nutrient uptake. Oecologia 106: 507-515. 

  11. Kim, J.H.(2013) Utilization of the river esplanade and restoration plan for naturality in Seoul city. The Seoul Institute, 163pp. 

  12. Ko, D.W.(2006) Moderating effects of fear appeal adverti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ttitude and behavior of tourists. TOSOK 30: 139-160.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9) Master Plan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Seoul. 

  1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4) Report on survey and evaluation of four river project, Seoul. 

  15. Shaver, G.R., J.A. Laundre, A.E. Giblin, and K.J. Nadelhoffer(1996). Changes in live plant biomass, primary production, and species composition along a riverside toposequence in arctic Alaska, USA. Arct. Antarct. Alp. Res. 28: 363-379. 

  16. Sin, J.K. and K.J. Cho(2000) Seasonal Dynamics and Pollution Statu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Kum River Reservoir. Korea J. Limnol. 33: 251-259. 

  17. Thomaz, S.M. and E.R.D. Cunha(2010) The role of macrophytes in habitat structuring in aquatic ecosystems: methods of measurement, causes and consequences on animal assemblages' composition and biodiversity. Acta Limnologica Brasiliensia 22: 218-236. 

  18. Thompson, M.B.(1993). Estimate of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estern water dragon, Physignathus lesueurii (Reptilia: Agamidae), along riverside habitat. Wildl. Res. 20: 613-619. 

  19. Valladares, G., A. Salvo and L. Cagnolo(2006) Habitat fragmentation effects on trophic processes of insect­plant food webs. Conserv. Biol. 20(1): 212-217. 

  20. Ward, J.(1998). Riverine landscapes: biodiversity patterns, disturbance regimes, and aquatic conservation. Biol. Conserve. 83: 269-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