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6, 2020년, pp.1 - 15  

김용국 (건축공간연구원) ,  송유미 (건축공간연구원) ,  조상규 (건축공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의 설계·관리 방향을 제안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조성·관리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원칙을 설정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 차원에서 신도시와 기성도시에 기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공간 구성 요소별 설계·관리 기준 풀을 마련한 후,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정제했다. 넷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자체와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디지털·환경·재료 기술 등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공원 이용과 관리·운영의 효율 개선을 지원하여, 도시 및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는 공원"으로 조작적 정의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으로 공원의 본질적 가치 개선,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기능 향상, 설계와 조성·관리 과정의 스마트화를 제시했다. 셋째, 신도시와 기성 도시에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넷째, 녹지 영역, 수경시설 영역, 도로 및 광장 영역, 조경 시설물 영역, 공원 설계 방법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의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 성장 단계와 공원 유형별 스마트 공원 정책사업 모델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한국형 뉴딜 정책과 연계한 스마트 공원 사업 추진, 조경 전문가가 주도하는 스마트 공원 정책 추진의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ing and managing a smart park for realizing a smart green city and to present measures in the landscape field to foster related industrie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 smart park was operationally defined t...

주제어

참고문헌 (26)

  1. Busan Metropolitan City(2019) Busan Eco Delta Smart City Master Plan. 

  2. Choi, J. K.(2018) A study on legal issues for smart city realization - focused on smart city law and smart healthcare service. Chung_Ang Law Review 20(3): 43-81. 

  3. Daegu Metropolitan City(2017) Movement Memorial Park, The First Smart Park in Korea to be Reborn as IoT-See Park!. 

  4. Kim, S. N., M. H. Lim and S. G. Kim(2018) Smart city policy trends and challenges. Urban Information Service 432: 3-16. 

  5. Lee, E. Y. and S. H. Cho(2018) Strategies for building smart city parks through case analysis. The review of bio-tech. Landscape Urbanism 3(2): 67-78. 

  6. Lee, H. S., B. W. Min, T. J. Yang, J. H. Eum, K. Kim and J. Y Lee (2019) A study on the concept and user perception of smart park - Focused on the iot see park user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5): 41-48. 

  7. LH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2018) New government smart city policy and national pilot project promotion direction, LH, Korea CM Association Presentation (date: 2018.4.19.). 

  8. LH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2019) Private Internal material. 

  9. Loukaitou-Sideris, A., K. Jessup, K. Gmoser-Daskalakis, C. Jum, R. Ferdman and M. Burstein(2018) Smart Parks: A toolkit, luskin center for innovation, UCLA Luskin School of Public Affairs. 

  10.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The 3rd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2019-2023), MOLIT. 

  11.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20) 2020 Smart Town Challenge Preliminary Project Competition Guidelines. 

  12. MOLIT, NAACC, Sejong City, and LH(2019), Sejong Smart City Master Plan. 

  13. NAACC(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2018) Meet Smart City of Happy City Directly!. 

  14. NAACC(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2019) Smart City Experience Zone Service Expansion in Sejong Lake Park. 

  15. Samjong KPMG Economic Research Institute(2016) SAMJONG Insight 46. 

  16. Truch, E., and J. Sutanto(2018) Smart Parks: Bringing new technoogies to national parks and urban greenspaces. Lancaster University Management School. 

  17. Vaglica, S.(2016) Dose a robotic lawn mower really cut it?, The Wall Street Journal. 

  18. Yun, J. W.(2014) Smart Park Service Platform of User-Centered. Ph.D. diss., HongIk University. 

  19. GATEway(n.d.) About the project, https://gateway-project.org.uk. (Access: 2019.09.14.) 

  20. Google(2020) COVID-19 Community Mobility Report (https://www.google.com/covid19/mobility/) 

  21. Goyang Smart City (n.d.) Smart Service, https://www.smartcitygoyang.kr. (Access: 2019.4.1.) 

  22. Landscape Times(2019) Do you have enough space in your city parks?.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3566 

  23. Sejong Lake Park(n.d.) Park Guide https://www.sejong.go.kr/lake/sub01_01.do (Access: 2019.06.25.) 

  24. Sejong Smart City(n.d.) Smart City Experience Zone: Smart Park, http://sejong-smartcity.com. (Access: 2019.4.1.) 

  25. Side Walk Labs(2019) Toronto Tommorrow: A new approach for inclusive growht, Sidewalk Labs LLC, https://www.sidewalktoronto.ca (Access: 2019.8.17.) 

  26. Woetzel, J., J. Remes, B. Boland, K. Lv, S. Sinha, G. Strube, J. Means, J. A. Law, Cadena, and V. v. d. Tann (2018) Smart Cities: digital solutions for a more livable future, McKinsey Global Institute, https://www.mckinsey.com (Access: 2019.6.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