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와 유사성 회피 성향이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혁신성과 사용 적합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Choice Overload and Avoidance of Similarity on Innovativeness and Use Compatibility in Online Recommendation Servic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1 no.2, 2019년, pp.141 - 150  

윤남희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  이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  장세윤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recommendation services help people search for an appropriate product among a huge assortment in stores that also minimize consumers' choice overload. People with a need for uniqueness are likely to prefer this online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individual needs and tastes. This study 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5) 자신이 남들과 차별화됨을 드러내고자 한다. 독특성 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타인과 차별화 하기 위해 남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독특한 자원을 구매 및 사용함으로써 자신과 남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독특성 욕구는 개인이 지닌 내재적 특성으로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인간 행동의 동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Maslach et al.
  • 로컬 상품)가 개인의 유사성 욕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유사성 욕구 중 창의적 선택과 유사성 회피의 두 가지 하위 요인을 사용하여 개인의 유사성 욕구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추천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사전에 구매한 상품 혹은 타인이 구매한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수준을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새로운 상품에 대한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창의적 선택 혹은 비대중적 선택보다는 남들이 구매한 상품과 비슷한 상품을 회피하려는 욕구에 집중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유사성 회피’를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패션상품 쇼핑 시 제시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 인지, 유사성 회피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온라인 쇼핑 상황을 가정하고 시나리오를 토대로 실험 설계하였다. 응답자에게 스니커즈 쇼핑을 위해 온라인 사이트(Converse.
  • 온라인 커머스의 발전과 시장의 급속한 확대로 소비자는 무수히 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얻기를 바라며,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고도화된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온라인 쇼핑환경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소비자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사용하고자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온라인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는 소비자의 정보처리와 선택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주목하고, 소비자가 쇼핑 시 지각하는 선택 과부하와 유사성 회피에 따라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혁신성과 사용 적합성의 차이와 이들의 추천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 2004).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선택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선택 과부하로 지칭하고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 수준에 따라 온라인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온라인 추천 서비스는 개인의 구매 이력과 검색 패턴을 토대로 개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해 주기 때문에 선택 대안이 많은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선택 과부하를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추천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 , 2006) 각 혁신성 유형이 얼마나 새로운가에 따라 혁신성 수준을 고 · 중 · 저의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기도 한다(Kleinschmidt & Cooper, 1991; Lawton & Parasuraman, 1980).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혁신성을 측정함에 있어 기업의 입장이나 기술 자체의 혁신성을 평가하기보다 해당 기술이 활용된 서비스를 수용하는 소비자 측면에서 잠재적 수용자들이 온라인 추천 서비스를 얼마나 새롭다고 지각하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보다 혁신적인 기술이 활용된 온라인 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파악 하고자 하며 이의 지표로서 사용 적합성을 사용하고자 한다.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경우 다른 종류의 쇼핑 서비스보다 소비자 에게 더 큰 새로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혁신 성이 잠재적 수용자의 니즈와 가치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연구문제 1: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와 유사성 회피에 따라 온라인 추천 서비스 적합성과 혁신성 지각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 연구문제 2: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와 유사성 회피에 따라 온라인 추천 서비스 적합성과 혁신성이 온라인 추천 서비스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 그러나 추천 서비스가 개인과 유사한 타인의 정보가 반영되어 통합적 결정을 내린다는 측면에서 타인과 차별화되고 독특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경우, 유사성에 기초한 상품 추천 결과에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의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의 선택 과부하와 유사성 회피에 따라 온라인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독특성 이론(Theory of uniqueness)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독특성이 위협을 받거나 사회적 환경 내에서 자신이 타인과 유사하다고 지각할 때 독특성욕구가 증가한다. 즉, 사람들은 자신을 남들과 구분함으로써 자존감을 높이고 자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타인과 차별화하고자 한다. 어떤 이들은 자신이 가진 소유물을 과시함으로써(Belk, 1988), 개인이 지닌 전문지식을 통해(Holt, 1995), 혹은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통해(Maslach et al.
  • 동시에 혁신적인 서비스가 소비자의 쇼핑 방식에 적합한지에 따라 추천의 결과 채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Atuahene-Gima, 1995; Ettlie & Rubenstein, 1987). 특히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혁신성과 적합성의 특성이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은 소비자의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주목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패션 소비자는 온라인 쇼핑에서 발생하는 인지 과부하를 줄임과 동시에 타인과의 유사성은 피하고자 하는 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데, 추천 서비스가 갖고 있는 기술적 시스템으로 인지되는 혁신성과 개인의 서비스 사용 과정의 비교로 인지되는 적합성의 영향력은 어떻게 달라지는 파악하고 패션상품 추천 서비스를 활용하는 온라인 리테일러를 위한 마케팅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 특히 온라인 추천 서비스의 혁신성과 적합성의 특성이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은 소비자의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주목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패션 소비자는 온라인 쇼핑에서 발생하는 인지 과부하를 줄임과 동시에 타인과의 유사성은 피하고자 하는 특성이 드러날 수 있는데, 추천 서비스가 갖고 있는 기술적 시스템으로 인지되는 혁신성과 개인의 서비스 사용 과정의 비교로 인지되는 적합성의 영향력은 어떻게 달라지는 파악하고 패션상품 추천 서비스를 활용하는 온라인 리테일러를 위한 마케팅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온라인 패션상품 쇼핑 시 제시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 인지, 유사성 회피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온라인 쇼핑 상황을 가정하고 시나리오를 토대로 실험 설계하였다. 응답자에게 스니커즈 쇼핑을 위해 온라인 사이트(Converse.co.kr)에 방문하였음을 가정하였다. 먼저 해당 사이트 접근시 소비자의 선호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서비스가 이루어짐을 시나리오로 제시하고,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조작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이아이템즈의 이점은 무엇인가? 네이버에서 ‘에이아이템즈’ 기능을 도입하여 고도화한 후 사용자 일 평균 클릭 수가 6개월 만에 약 27%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으며 ‘에이아이템즈’ 이용자와 판매자의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Using NAVER FOR YOU”, 2019). 이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수집한 소비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에게 맞춤화된 상품을 추천하는 온라인 상품 추천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만족스러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판매자에게는 제품의 효과적인 노출과 사업의 성장을 도모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추천 서비스를 도입한 온라인 리테일러로 하여금 차별적 경쟁력을 갖게 한다.
네이버에서 시행하고 있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최근 아마존, 스티치픽스,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은 소비자의 구매이력, 쇼핑 행동패턴,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를 줄이고, 소비자의 선호에 부합 하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우선 제시해주는 추천 시스템 (Lee, 2016)을 도입하여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기업인 네이버 역시 AI 기반의 ‘에이아이템즈(AiTEMS)’를 쇼핑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과 검색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 상품을 제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에이아이템즈’ 기능을 도입하여 고도화한 후 사용자 일 평균 클릭 수가 6개월 만에 약 27%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으며 ‘에이아이템즈’ 이용자와 판매자의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Using NAVER FOR YOU”, 2019).
에이아이템즈(AiTEMS)란 무엇인가? 최근 아마존, 스티치픽스, 넷플릭스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은 소비자의 구매이력, 쇼핑 행동패턴,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를 줄이고, 소비자의 선호에 부합 하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우선 제시해주는 추천 시스템 (Lee, 2016)을 도입하여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기업인 네이버 역시 AI 기반의 ‘에이아이템즈(AiTEMS)’를 쇼핑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과거 구매 이력과 검색 패턴을 분석하여 추천 상품을 제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에이아이템즈’ 기능을 도입하여 고도화한 후 사용자 일 평균 클릭 수가 6개월 만에 약 27%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으며 ‘에이아이템즈’ 이용자와 판매자의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Using NAVER FOR YOU”,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tuahene-Gima, K. (1995).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impact of market orientation on new product performance: A contingency approa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2(4), 275-293. doi:10.1016/0737-6782(95)00027-Q 

  2. Belk, R. W. (1988).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8. doi:10.1086/209154 

  3. Chernev, A. (2003). When more is less and less is more: The role of ideal point availability and assortment in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2), 170-183. doi:10.1086/376808 

  4. Choo, M. A., & Kim, S. H. (2010). The influence of customers' uniqueness needs for self-expression and its effe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 -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Journal of New Industry and Business, 31, 73-93. 

  5. Ettlie, J. E., & Rubenstein, A. H. (1987). Firm size and product innovatio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4(2), 89-108. doi:10.1016/0737-6782(87)90055-5 

  6. Gourville, J. T., & Soman, D. (2005). Overchoice and assortment type: When and why variety backfires. Marketing Science, 24(3), 382-395. doi:10.1287/mksc.1040.0109 

  7. Hoffer, J. A., & Alexander, M. B. (1992). The diffusion of database machines. ACM SIGMIS Database: The DATABASE for Advances in Information Systems, 23(2), 13-19. doi:10.1145/141342.141352 

  8.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1), 1-16. doi:10.1086/209431 

  9. Iyengar, S. S., & Lepper, M. R. (2000). When choice is demotivating: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6), 995-1006. doi:10.1037/0022-3514.79.6.995 

  10. Jo, H., Hong, J. H., Choeh, J. Y., & Kim, S. H. (2013). A recommendation algorithm which reflects tag and time information of social network.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4(2), 15-24. doi:10.7472/jksii.2013.14.2.15 

  11. Kahn, B. E., & Lehmann, D. R. (1991). Modeling choice among assortments. Journal of Retailing, 67(3), 274-299. 

  12. Kim, H. S., & Eune, J. H. (2011). Preferences of product recommendation based on SNS friends in online shopping mall. Research of Basic Design and Art, 12(1), 135-145. 

  13. Kim, Y., Kim, M. S., Kim, Y. B., & Park, J. H. (2009). A study 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contents using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81-105. doi:10.3743/KOSIM.2009.26.1.081 

  14. Kleinschmidt, E. J., & Cooper, R. G. (1991). The impact of product innovativeness on performan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8(4), 240-251. doi:10.1016/0737-6782(91)90046-2 

  15. Ko, H. M., Kim, S. R., & Kang, N. H.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mirror support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personal usage data.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23(1), 65-73. doi:10.5626/KTCP.2017.23.1.65 

  16. Kumar, A., Lee, H. J., & Kim, Y. K. (2009). Indi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a United States versus local brand.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21-527. doi:10.1108/09590550910956241 

  17. Lawton, L., & Parasuraman, A. (1980). The impact of the marketing concept on new product planning. Journal of Marketing, 44(1), 19-25. doi:10.2307/1250030 

  18. Lee, B. J. (2016). The effect of product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on corporate image: Focus on customer's regulatory foc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9. Lee, D. W., Kim, U. S., & Yeom, K. H. (2017).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user context-aware based knowledge filtering in smart environm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13(2), 35-48. 

  20. Lee, S. J. (2018). A new similarity measure using fuzzy logic for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5), 61-68. doi:10.32431/kace.2018.21.5.006 

  21. Maslach, C., Stapp, J., & Santee, R. T. (1985). Individuation: Conceptual analysis and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729-738. doi:10.1037/0022-3514.49.3.729 

  22. Mick, D. G., Broniarczyk, S. M., & Haidt, J. (2004). Choose, choose, choose, choose, choose, choose, choose: Emerging and prospective research on the deleterious effects of living in consumer hyperchoice. Journal of Business Ethics, 52(2), 207-211. doi:10.1023/B:BUSI.0000035906.74034.d4 

  23. Moon, H. K., & Lee, H. H. (2012).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in online mass customization: Consum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1), 1222-1236. doi:10.5850/JKSCT.2012.36.11.1222 

  24. Moore, G. C., & Benbasat, I. (199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92-222. doi:10.1287/isre.2.3.192 

  25. Mukherjee, A., & Nath, P. (2007). Role of electronic trust in online retailing: A re-examination of the commitment-trust theor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1(9/10), 1173-1202. doi:10.1108/03090560710773390 

  26. Park, D. S. (2013). Improv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asedon personal propensity and collaborative filtering.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2(11), 475-482. doi:10.3745/KTCCS.2013.2.11.475 

  27. Park, J. W., & Yeo, J. S. (2014). Choice overload: Concentrated on choosers' diversity perceptions and emotional respons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5(6), 93-113. 

  28. Petty, R. E., Cacioppo, J. T., & Schumann, D. (1983).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2), 135-146. doi:10.1086/208954 

  29. Snyder, C. R., & Fromkin, H. L. (1977). Abnormality as a positive characteristic: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measuring need for uniquenes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5), 518-527. doi:10.1037/0021-843X.86.5.518 

  30. Song, J. I., & Jeong, O. R. (2016). Tag based web resource recommendation system.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7(6), 133-141. doi:10.7472/jksii.2016.17.6.133 

  31. Song, Y. T. (2012). The effect of perceived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curiosity on adop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announcing information.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0(2), 65-76. 

  32. Tian, K. T., Bearden, W. O., & Hunter, G. L. (2001).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1), 50-66. doi:10.1086/321947 

  33. 'Using NAVER FOR YOU'. (2019, January 6). Sedaily. Retrieved January 19, 2019, from https://www.sedaily.com 

  34. Vijayasarathy, L. R. (2004). Predicting consumer intentions to use on-line shopping: The case for an augment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and Management, 41(6), 747-762. doi:10.1016/j.im.2003.08.011 

  35. Yang, N. Y., Kim, S. G., & Kang, J. Y. (2018). Researcher and research area recommendation system for promoting convergence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messenger UI.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7(4), 71-96. doi:10.5859/KAIS.2018.27.4.71 

  36. Yoo, J. M., Kim, S. H., & Yi, Y. J. (2006). Determinants of perceived innovativenes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ntention of product adoption: Focusing on consumers'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1(2), 27-5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