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Empathic Competence and Occupational Stress of Nurses on Their Ego-resilienc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6 no.1, 2019년, pp.19 - 26  

이주연 (건양대학교 대학원) ,  이미향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ssesses the extent of empathic competence, occupational stress, and ego-resilience of nurses, and confirms factors that affect ego-resilien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s. Methods: Data obtained from the que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역량, 직무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 정도를 확인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광역시의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공감역량, 직무스트레스 및 자아 탄력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간호사의 개인적 역량개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인적자원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역량, 직무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 정도를 확인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인력 유지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시도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역량은 최종학력, 직무스트레스는 근무부서, 자아탄력성은 연령과 총 임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간호사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간호사의 내적요인인 공감역량과 외적요인인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간호사가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간호사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여러 가지로 정의되는 스트레스 개념 중 직무 차원의 스트레스로 제한한 것으로써 직무 수행과 관련된 모든 스트레스를 말한다[1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환자의 고통과 생명을 다루는 복잡한 판단이 요구되는 직무 특성, 다학제 간 협력이 필요한 업무구조로 오는 조직 내 인간관계 갈등, 3교대 근무 등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한 피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12].
간호사의 자아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간호교육에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자아 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재직 간호사의 공감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환자와의 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인성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교육 측면에서는 재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별로 최신 지식과 기술이 포함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 연구 측면에서는 간호사의 공감 역량과 자아 탄력성 향상이 간호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는 여러 가지로 정의되는 스트레스 개념 중 직무 차원의 스트레스로 제한한 것으로써 직무 수행과 관련된 모든 스트레스를 말한다[1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환자의 고통과 생명을 다루는 복잡한 판단이 요구되는 직무 특성, 다학제 간 협력이 필요한 업무구조로 오는 조직 내 인간관계 갈등, 3교대 근무 등 과중한 업무량으로 인한 피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12].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간호 목표 능력 발휘에 방해를 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으며[13], 업무상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감소되고 환자에게 효율적인 간호 제공에 방해를 줄 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정신적 안녕을 위협하게 하며, 직무만족도를 낮추고 이직을 초래하여 병원 경영에도 손실을 가져오게 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HK.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compassion compet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2015;6(5):15-22. http://dx.doi.org/10.15207/JKCS.2015.6.5.015 

  2. Yu SY. What is perceived the image of nurses?: compariso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0):353-361. http://dx.doi.org/10.14400/ JDC.2014.12.10.353 

  3. Han HS, Han YR, Hong YS, Cho NO. Korean patients' conceptions of a good n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2006;9(2):125-142. 

  4. Halldorsdottir, S. Caring theories articles -nursing as compassionate competence: a theory on professional nursing care based on the pati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12;16(2):7. http://doi.org/10.20467/1091_5710.16.2.7 

  5. Schantz, ML. Compassion: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2007;42(2):48-55. http://doi.org/10.1111/j.1744_6198.2007.00067.x 

  6. Kong BH. Art of Caring in Nursing. Philosophy of Medicine. 2007;3:97-116. 

  7. Lee YG. Development of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for nurse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4. p. 75-83. 

  8. Chun KJ, Choi JH, Kim YR, Lee SO, Chang CL, Kim SS. The effects of both shift work and non-shift work nurses' empathy on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3):261-273. http://doi.org/10.5392/JKCA.2017.17.03.261 

  9. Kim SR, Jeon MK, Hwang JH, Choi AR, Kim IS, Pyon MK, et al. Multidimens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1):9-19. http://doi.org/10.22650/JKCNR.2017.23.1.9 

  10. Hong MJ, Kim YH. Effects of job stress and empathy on burnout in nurses who take care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1):461-474. 

  11.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e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4;14(2):28-37. 

  12. Lee EH, Chang SJ, Kim HO, Roh JH , Park EJ, Won JU.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2):93-104. 

  13. Park SA, Yun SN.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2;22(3):316-324. 

  14. An HG, Kang IS. A study on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mpulse unemploymen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8;10(1);149-167. 

  15. Kim SN, Yoo MS.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4;21(1): 36-43. 

  16. Block JH, Block J.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Collins WA, editors.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alyor & Francis Group: Psychology Press; 1980. p. 39-101. 

  17. Moon HN, Song MH. Impact of Ego-resilience,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4):268-276. http://doi.org/10.5807/kjohn.2016.25.4.268 

  18. Park JA, Lee EK.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 267-276. http://doi.org/10.11111/jkana.2011.17.3.267 

  19. Cho HJ, Sung MS. Effect of empathy, resilience, self-care on compassion fatigue in oncology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4; 20(4):373-382. http://doi.org/10.11111/jkana.2014.20.4.373 

  20. Min S, Kim HS, Ha YJ, Kim EA, Kim HY, Kim HJ, et al.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24(1):1-21. 

  21. Kang JS, Lim JY.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015;15(11):263-273. http://doi.org/10.5392/JKCA.2015.15.11.263 

  22. Moon DH.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8):646-653. http://doi.org/10.5762/KAIS.2016.17.8.646 

  23. Park MS, Oh CU, Park YJ, Kang HK.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ego-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8;23(5):31-39. http://doi.org/10.9708/jksci.2018. 23.05.031 

  24. Lee OS, Gu MO, Kim MJ.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 resili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015;16(6):3902-3910.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02 

  25. Lee SI, Lee EJ.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6;11(4):267-276. http://doi.org/10.21097/ksw.2016.11.11.4.267 

  26. Kim MJ, Gu MO.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e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4;14(2):28-37. 

  27. Block J, Kremen 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28. Chung BK. Frontal brain asymmetry, positive affect and approach motiva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007;19(2):127-147. http://doi.org/10.22172/cogbio.2007.19.2.003 

  29. Park KS.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sion of new nurse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3. 59 p. 

  30. Lee DY, Oh SE, Lee HJ.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nd fatigue on self-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after the MERS outbrea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8;27(2):77-88. http://doi.org/10.5807/kjohn.2018.27.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