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Compassion Competence in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6 no.5, 2015년, pp.15 - 22  

이혜경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 공감만족, 공감피로의 정도를 파악하고 병원간호사의 공감역량에 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소재 D 광역시에 소재한 세 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233명의 간호사이다. 연구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가장 영향이 높은 변수는 공감만족(${\beta}$=.350, p<.001), 임상경력(${\beta}$=.176, p=.008), 공감피로(${\beta}$=-.102, p=.033) 순으로 이들 3개 변수는 공감역량을 총 34.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 설명력이 34.1%이므로 병원간호사의 공감역량에 유의미한 변수를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nverged factors affecting compassion competence in clinical nurse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to examine converged factors affecting compassion competence of clinical nurses. Research objects are 233 nurses working in three general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공감만족, 공감피로의 정도를 파악하고 공감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간호실무 영역에서의 공감역량과 공감만족 및 공감피로의 정도와 공감만족과 공감피로가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향후 간호사의 공감역량을 강화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간호조직의 발전을 위한 인적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만족, 임상경력, 공감피로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이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을 34.
  • 또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민감성과 통찰력을 가지고 대상자와 감성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끊임없이 자기개발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였다[13]. 이에 본 연구는 간호실무 영역에서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간호사의 공감역량을 강화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감역량 증진의 근거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관점에서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또한 혈액투석환자가 체험한 좋은 간호의 본질적 의미는 친밀한 관계 속에서 전문성을 갖춘 감성적 돌봄으로 몸과 마음을 의지하고 긍정적인 힘을 얻는 것으로 연구되어[3], 좋은 간호사의 특성은 공감에 기반한 친밀감, 신뢰감, 전문성을 갖춘 간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은 대상자 관점에서 간호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4]. 또한 환자와 간호사 간의 발전적인 관계로의 이행은 간호사의 배려, 지식과 능력을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으며, 공감을 느낄수록 좋은 간호를 받았다고 인식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5].
우리나라 환자들이 생각하는 좋은 간호사의 특성은? 우리나라 환자들이 생각하는 좋은 간호사의 특성은 친절하고 밝은 인상과 진심으로 환자의 마음을 이해해주는 간호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좋은 간호사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신뢰감과 안전함, 지속적인 투병의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
좋은 간호사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우리나라 환자들이 생각하는 좋은 간호사의 특성은 친절하고 밝은 인상과 진심으로 환자의 마음을 이해해주는 간호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좋은 간호사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으로는 신뢰감과 안전함, 지속적인 투병의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 또한 혈액투석환자가 체험한 좋은 간호의 본질적 의미는 친밀한 관계 속에서 전문성을 갖춘 감성적 돌봄으로 몸과 마음을 의지하고 긍정적인 힘을 얻는 것으로 연구되어[3], 좋은 간호사의 특성은 공감에 기반한 친밀감, 신뢰감, 전문성을 갖춘 간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Giladi, C. Guglielmetti, "Interprofessional team dynamics and information flow management in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70, No. 6, pp. 1299-1309, 2014. 

  2. S. S. Han, Y. R. Um, Y. S. Hong, N. O, Cho, "Korean Patients' Conceptions of a Good Nurse",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 9, No. 2, pp. 125-142, 2006. 

  3. Eun-Yi Yeom, "'Good Nursing' experienced by hemodialysis patients",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3. 

  4. R. Hill, "Compassion, quality and standards of care", Nurse Prescribing, Vol. 8, No. 3, 99-100, 2010. 

  5. S. Halldorsdottir, "Caring theories articles-nursing as compassionate competence: A theory on professional nursing care based on the pati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Vol. 16, No. 2, pp. 7, 2012. 

  6. S. K. Coetzee, H. C. Klopper, "Compassion fatigue within nursing practice: A concept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 12, pp. 235-243, 2010. 

  7. Stamm, The concise ProQOL manual(2nd ed). ProQOL org, 2010. 

  8. K. W. Sung, K. H. Jo, "Perceived hurts and forgiveness in clinical nurses -the status and influencing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4, pp. 428-436, 2010. 

  9. P. L. Burston, J. F. Stichler,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e caring: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6, No. 8, pp. 1819-1831, 2010. 

  10. Stamm,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Psychosocial stress series. New York: Brunner-Routledge. 2002 

  11. B. Dewar, M. Nolan, "Caring about caring: Developing a model to implement compassionate relationship centered care in an older people car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0, No. 9, pp. 1247-1258, 2013. 

  12. S. Proctor, "Can nurse show compassion?", Nursing management, Vol. 14, No. 8, pp. 10, 2007. 

  13. Young-Jin Lee, "Development of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for nurses", M.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4. 

  14. Do-Youn Kim, "The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Nurses on Job Satisfaction". M.S.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2010. 

  15. Hyun-Ju Park, "Counseling Self-Efficacy and Empathic Ability of the Psychiatric Nurses". M.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2. 

  16. Soo-Jin Lee,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M.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2013. 

  17. Hyeon-Ju Kim,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 M.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2011. 

  18. Jung-Min Lee, "Effects of working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M.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2. 

  19. Jung-En Kim, "Hardiness,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M.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3. 

  20. Keum-Seong Jang,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21. M. R. Park,N. C. Kim,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4, No. 3, pp. 257-271, 2014. 

  22. M. L. Schantz., "Compassion: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Vol. 42, No. 2, pp. 48-55, 2007. 

  23.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DeSeCo). background paper. OECD. 2001. 

  24. K. J. June, S. W. Byun,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dministration Society, Vol. 15, No. 3, pp. 305-313, 2009. 

  25. E. J. Lee, Y. K. Lee,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3, No. 2, pp. 178-188. 2012. 

  26. E. H. Peek, C. S. Park,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5, pp. 690-696. 2013. 

  27. S. Kim, J. H. Kim, J. Y. Park, E. Y. Suh, H. J. Yang, S. Y. Lee, Y. S. Lee, M. J. Jin, S. H. Lee, & K. O. Kim, " Oncolog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 3, 2010. 

  28. Y. M. Jang, S. Y. Kim, "Coping Strategie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0, No. 3, pp. 348-358. 2014. 

  29. S. Collins, A, Long, "Too tired to car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trauma", Journal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0, No. 1, pp. 17-27, 2003. 

  30. M. Y. Han, M. S. Lee, J. Y. Bae, Y. S. Kim,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2, pp. 193-202,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