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 미치는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Performance for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0 no.4, 2017년, pp.253 - 263  

김희영 (동아대학교병원 간호부) ,  남금희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  권수혜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증진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규명하고, 공감역량과 극복력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B 광역시 소재 D대학교병원 간호사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1.0 software를 사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공감역량(r=-0.345, P<0.001), 극복력(r=-0.223, P=0.001), 임종간호수행(r=-0.260, P<0.001)과 음의 상관관계였으나 공감역량(r=0.467, P<0.001)과 극복력(r=0.358, P<0.001)은 임종간호수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은 완전매개 효과(${\beta}=0.409$, P<0.001), 극복력은 부분매개효과(${\beta}=0.294$, P<0.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임종간호 수행 증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velop end-of-life care training programs for nurses who provide in a tertiary hospital,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ress and job performan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8 participants at a hospital in B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증진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를 규명하고,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극복력이 임종간호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 개념이 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이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에서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공감역량, 극복력,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규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에서의 공감역량,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간호사의 효율적인 임종간호수행를 위해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공감역량과 극복력이 임종간호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도 임종간호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 개념이 될 수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의 관계에서의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임종간호수행을 증진할 수 있는 전략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내인적 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던 이유는? 최근 국내에서 임종간호수행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4,5), 종양내과병동 간호사(3,6,7), 중환자실 간호사(6-8) 등 환자의 임종에 다빈도로 노출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임종 간호수행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임종간호는 죽음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긴밀한 관계가 있으므로 죽음을 대하는 간호사 개인의 죽음에 대한 불완전한 가치관이나 인식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4-8). 따라서 현재까지 간호사들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내인적 요인으로 죽음불안(4), 죽음에 대한 인식(4-6)이나 태도(6-8) 등과 같은 개인의 가치관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16년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비율은?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비율은 74.9%로,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경우가 가정에서 사망한 경우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가족을 중요시하는 우리나라의 정서적 특성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재택임종을 원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생을 마감하는 경우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실정이다.
간호사의 임종 환자나 보호자에 대한 돌봄이 중요한 이유는? 가족을 중요시하는 우리나라의 정서적 특성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재택임종을 원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생을 마감하는 경우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실정이다. 특히 대다수의 말기환자 및 만성질환자들의 임종간호가 호스피스병동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질병의 완치 및 생명연장을 위한 적극적인 신체적 치료가 우선시 되는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간호사들의 임종 환자나 보호자에 대한 돌봄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tatistics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7 [cited 2017 Feb 22].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2. Chang YJ. Policy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83-7. 

  3. Baek EK, Choi EJ. Terminal car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nurses in internal medicine ward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267-75. 

  4.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33-41. 

  5. Noh SS, Lee CK, Sung YH.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Korean J Crit Care Nurs 2016;9:61-70. 

  6. Seo MJ, Kim JY, Kin SH, Lee TW.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i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08-17. 

  7. Ko MJ, Moon SH.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CU nurse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6;25;327-37. 

  8. Kim MH, Lee ES. Nurses' stress, attitude, and performance during terminal care towards Do-Not-Resuscitate patients. Chonnam J Nurs & Health Issu 2015;20;25-41. 

  9. Kang JH, Han SJ.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80-9. 

  10. Ji SI, You HS.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232-40. 

  11. Lee YJ. Development of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for nurse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 2014. Korean. 

  12. Park HJ. Counseling self-efficacy and empathic ability of the psychiatric nurs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2012. Korean. 

  13. Palos GR. Care, compassion, and communication in professional nursing: art, science, or both. Clin J Oncol Nurs 2014; 18:247-8. 

  14. Benzo RP, Kirsch JL, Nelson C. Compassion, mindfulness, and the happiness of healthcare workers. Explore (NY) 2017; 13:201-6. 

  15. Chu LC. Mediating positive moods: the impact of experiencing compassion at work. J Nurs Manag 2016;24:59-69. 

  16. Jo KH, Park AR, Lee JJ, Choi SJ. The effect of suffering experience, empathy ability, caring behavior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276-84. 

  17. Polk LV.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NS Adv Nurs Sci 1997;19:1-13. 

  18. Park MM, Park JW.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6;23:32-41. 

  19. Lee AS, Yoon CK, Park JK.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2;21:283-9. 

  20.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1;20:14-23. 

  21. Rushton CH, Batcheller J, Schroeder K, Donohue P. Burnout and resilience among nurses practicing in high-intensity settings. Am J Crit Care 2015;24:412-20. 

  22. Heinze KE, Holtz HK, Rushton CH. Strategies for promoting high-quality care and personal resilience in palliative care. AMA J of Ethics 2017;19:601-7. 

  23. Kim JH, KIM MK, Cho J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 Korea Acad-Ind Coop Soc 2017;18:669-78. 

  24. Kim HJ, Choi HK.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of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7;26:40-6. 

  25.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2004. Korean. 

  26. Park SJ, Choi SH.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6;3:285-97. 

  27.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1986;51: 1173-82. 

  28. Lee HK.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compassion competence in clinical nurses. J Korea Converg Soc 2015;6:15-22. 

  29.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61. 

  30. Jung MR, Jeong E. Convergenc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to the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vitality. J Digit Converg 2017;15:305-14. 

  31. Shin JH. Resilienc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nurses in emergency [master's thesis]. Suwon: Aju Univ.; 2015. Korean. 

  32. Ancel G. Developing empathy in nurses: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rch Psychiatr Nurs 2006;20:249-57. 

  33. Buyuk ET, Rizalar S, Gudek E, Guney Z. Evaluation of empathetic skills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s in Samsun, Turkey. Int J Caring Sci 2015;8:131-9. 

  34. Choi MS, Kim M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6;22:373-83. 

  35. Lee SM, Sung KM. The effects of violence coping program based on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on emergency room nurses' resilience, violence coping, nursing competency and burnout. J Korean Acad Nurs 2017;47:332-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