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60도 테이블탑형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원문보기

방송과 미디어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24 no.2, 2019년, pp.63 - 72  

임용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진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스플레이 소자 평면에서부터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입체영상 영역까지의 물리적인 거리 조절을 바탕으로 공간상에서 재현될 수 있는 3차원 영상에 대한 기대감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어 왔다. 공간 광 변조기픽셀 크기에 의존하는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의 시야각과 픽셀 수에 의존하는 홀로그램 영상 크기로 인한 제약 사항들을 극복하는 방법을 토대로 다수의 시청자가 동일한 3차원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고에서는 테이블 형태의 공간상에서 관찰 가능한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에 관한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360도 모든 방향에서 관찰 가능한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최근 기술 동향을 소개하였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 소자인 SLM의 구조 적인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 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3차원 디스플레이와는 차별 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
  • 디지털 홀로그램의 구현에 있어서 필요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용 SLM의 높은 가격과 다수의 SLM을 이용하게 될 경우에 증가하는 광학 시스템의 복잡도 문제로 인해서, 현재 연구 및 개발 단계에 있는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주로 최소 수량의 SLM을 적용하는 시간 다중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아래에서는 최근 발표된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관련된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안 시차 방식이란 무엇인가?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 방식은 가장 간단한 입체 영상 구현 방식이며, 이미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진 기술이다. 그러나 양안 시차 방식은 수평 방향의 시차만 제공하고, 불연속적인 시점을 형성하게 되어 자연스러운 형태의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가 어렵다.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을 구분해보면?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은 사물의 자연스러운 형상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의 가상 및 증강 현실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icrosoft 및 Google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소비자의 기대감을 충족하기 위한 관련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은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무안경(glasses-free) 방식으로 양분할 수 있으며, 후자는 주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이용하는 양안 시차 방식, 다시점 방식, 집적 영상 방식, 체적형 방식 그리고 홀로그래피 방식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2]. <그림 1>에는 3차원 영상 기술 방식과 그 진화 방향에 따른 그림을 도식화하였다.
방향(수렴)과 수정체의 초점이 시청자들에게 주는 영향은?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람이 현실세계에서 3차원 형태의 사물을 인식할 때에는, 두 눈의 동공이 바라보는 방향(수렴)과 수정체의 초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2차원 구조의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3차원 영상을 만들 경우에는 수렴-초점(vergence-accomodation)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입체 영상 시청자는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oldman Sachs, "Profiles in innovation of virtual & augmented reality," 2016. 1. 13. 

  2. Advanced Optics and Photonics, "Three-dimensional display technologies," Vol.5, 2013, pp.456-535. 

  3. 임용준, "디지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ETRI 전자통신동향분석, 2017. 10. 1. 

  4. D. E. Smalley, Q. Y. Smithwick, V. M. Bove, J. Barabas, and S. Jolly, "Anisotropic leaky-mode modulator for holographic video displays," Nature 498, 313-317 (2013). 

  5. H. Sasaki, K. Yamamoto, K. Wakunami, Y. Ichihashi, R. Oi, and T. Senoh, "Large size three-dimensional video by electronic holography using multiple spatial light modulators," Sci. Rep. 4, 6177 (2014). 

  6. Y. Takaki, Y. Matsumoto, and T. Nakajima, "Color image generation for screen-scanning holographic display," Opt. Express 23, 26986-26998 (2015). 

  7. M. Park, B. Chae, H. Kim, J. Hahn, H. Kim, C. Park, K. Moon, and J. Kim, "Digital Holographic Display System with Large Screen Based on Viewing Window Movement for 3D Video Service," ETRI J., 36, 232-241 (2014). 

  8. 한준구,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공간 대역폭", 방송과 미디어, 제16권 제2호, 2011. 6, pp. 63-72. 

  9. D. Teng, L. Liu, Z. Wang, B. Sun, and B. Wang, "All-around holographic three-dimensional light field display," Opt. Commun. 285(2122), 4235-4240 (2012). 

  10. Y. Sando, D. Barada, and T. Yatagai, "Holographic 3D display observable for multiple simultaneous viewers from all horizontal directions by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Opt. Lett. 39(19), 5555-5557 (2014). 

  11. Y. Takaki and S. Uchida, "Table Screen 360-Degree Three-Dimensional Display Using a Small Array of High-Speed Pro-jectors," Opt. Express, vol. 20, no. 8, 2012, pp. 8848-8861. 

  12. J. Jia, et al., "A Scalable Diffraction-Based Scanning 3D Colour Video Display as Demonstrated by Using Tiled Gratings and a Vertical Diffuser," Sci. Rep., vol. 7, 2017, p. 44656. 

  13. R. H?ussler et al., "Large real-time holographic displays: from prototypes to a consumer product," Proceedings of SPIE, 72370S, 2009. 

  14. R. H?ussler et al., "Large Real-Time Holographic 3D Displays: Enabling Components and Results," Appl. Opt., vol. 56, no. 13, 2017, pp. F45-F52. 

  15. K. Kumagai, S. hasegawa, and Y. Hayasaki, "Volumetric Bubble Display," Optica, vol. 4, no. 3, 2017, pp. 298-302. 

  16. T. Kakue et al., "Aerial Projection of Three-Dimensional Motion Pictures by Electro-Holography and Parabolic Mirrors," Sci. Rep., vol. 5, 2015, p.11750. 

  17. Y. Lim et al., "360-Degree Tabletop Electronic Holographic Display," Opt. Express, vol. 24, no. 22, 2016, pp. 24999 - 25009. 

  18. J. Kim et al., "360-Degree Tabletop Color Holographic Display," in Digital Holography Three-Dimensional Imag., Jeju Island, Rep. of Korea, May 29 -June 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