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사로 보행 시 복부 드로잉-인 기법이 몸통 및 다리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bdominal Drawing-in on Muscle Activity in the Trunk and Legs during Ramp Walking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7 no.1, 2019년, pp.137 - 144  

이수경 (동의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on muscle activity in the trunk and legs while subjects walk on a ramp. Methods: The subjects were healthy adult males (n=15) and females (n=8) in their twenties. The subjects were asked to maintain the ADIM contra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처럼 경사로 보행 훈련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이를 응용한 연구와 더 효과적으로 훈련을 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 효과적인 경사로 보행 훈련을 위해서 복부 드로잉-인 기법 적용의 유무가 몸통 및 다리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유지한 상태로 경사로 오르기가 유지하지 않은 상태보다 복부 근육과 다리 근육의 활성도가 증가되고 척추세움근은 더 감소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 효과적인 경사로 보행 훈련을 위해서 복부 드로잉-인 기법 적용의 유무가 몸통 및 다리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유지한 상태로 경사로 오르기가 유지하지 않은 상태보다 복부 근육과 다리 근육의 활성도가 증가되고 척추세움근은 더 감소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부 중심 근육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 2006). 이러한 복부 중심 근육의 불안정성은 척추 만곡의 변형을 일으켜 거북목(turtle neck), 굽은 등(sway back), 척추의 과도한 앞굽음증(lordosis), 과도한 뒤굽음증(kyphosis), 또는 심한 옆굽음증(scoliosis)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허리뼈에 대한 과도한 부하 증가, 골반의 변형, 다리의 정렬 이상 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Kendall et al., 2005). 따라서 정상적인 복부 중심근육은 외부 환경이 변화할 때, 신체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조절하는 능력인 몸통 안정성(trunk stability)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McNeil, 2010; Zazulak et al.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무엇인가?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운동 시 근 골격구조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고, 자세 조절에 관여하기 때문에 코르셋 근육(Corset muscle)이라고도 불린다(Kinser & Colby, 2010). 대표적으로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배빗근(obilique abdominis), 척추옆근육(paraspinalis), 볼기근(gluteus), 뭇갈래근(multifidus), 골반바닥근(pelvic floor)과 엉덩관절 주변 근육들이 복부 중심근육을 이루고 있다(Verhryden et al.
복부 중심근육을 이루고 있는 근육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복부 중심근육(Core muscle)은 운동 시 근 골격구조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고, 자세 조절에 관여하기 때문에 코르셋 근육(Corset muscle)이라고도 불린다(Kinser & Colby, 2010). 대표적으로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배빗근(obilique abdominis), 척추옆근육(paraspinalis), 볼기근(gluteus), 뭇갈래근(multifidus), 골반바닥근(pelvic floor)과 엉덩관절 주변 근육들이 복부 중심근육을 이루고 있다(Verhryden et al., 2006). 이러한 복부 중심 근육의 불안정성은 척추 만곡의 변형을 일으켜 거북목(turtle neck), 굽은 등(sway back), 척추의 과도한 앞굽음증(lordosis), 과도한 뒤굽음증(kyphosis), 또는 심한 옆굽음증(scoliosis)을 유발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H. Effects of various handle grip directions on muscle activity of trunk and upper limb of wheelchair attendant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ramp climbing. Dong-eu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8. 

  2. Ahn SY. The effect of core stability exercise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and activities daily of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You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3.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spen. 1998. 

  4. Chon SC, Chang KY, You JS. Effect of the abdominal draw-in manoeuvre in combination with ankle dorsiflexion in strengthening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 healthy young adults: apreliminary, randomised, controlled study. Physiotherapy. 2005;96(2):130-136. 

  5. Galley PM, Foster AL. Human movement.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7. 

  6. Han JT, Kim K, Lim SG. Comparison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shift of COP among level walking stairs and slope climb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08;18(4):59-65. 

  7. Han SW. The effect of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on quadriceps muscles with treadmill inclinati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Physical Therapy Korea. 2005;12(1):63-70. 

  8. Han SW. Effects of inclined backward and forward walking 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functional capacity and pain for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7;67(2):509-518. 

  9. Hong EJ. Biomechanics analysis of EMT's trunk during CPR at abdominal drawing-in.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4. 

  10. Hubble RP, Naughton GA, PSilburn PA, et al. Trunk muscle exercises as a means of improving postural stability in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Open. 2014;4(12):2014;4:e006095. 

  11. Hwang BJ, Kim JW.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umbar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3):267-275. 

  12.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Philadelphia. Williams & Wilkins. 2005. 

  13. Kim EO. The influence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lumbar lordosis and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Hanseo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14. Kim HW. Effects of the abdominal draw-in maneuver in combination with ankle dorsiflexion in transverse abdomini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4. 

  15.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0. 

  16. Lee HJ, Lee NG, Tae KS. Comparison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abdominal co-contractive activ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2016;10(1):81-86. 

  17. Lee JK, Desmoulin GT, Khan AH, et al. Comparison of 3D spinal motion during stair-climbing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Gait Posture. 2011;34(2):222-226. 

  18. McNeil W. Core stability is a subset of motor control.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10;14(1):80-83. 

  19. O' Sullivan SB, Schmitz TJ, Fulk GD. Physical rehabilitation, 6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3. 

  20. Ounpuu S. The biomechanics of running: a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1990;1(39):305-318. 

  21. Park HK, Kim TH. Effect of pelvic tilting and the back-bel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erector spinae during lifting.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09;9(3):296-304. 

  22. Ryu NH. Walkability on ramps by gai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95;23(2):157-166. 

  23. Smith EB, Rasmussen AA, Lechner D, et al. The effects of lumbosacral support belts and abdominal muscles strength on functional lifting ability in healthy women. Spine. 1996;21(3):356-366. 

  24. Standaert CJ, Weinstein SM, Rumpeltes J.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pine, 2008;8(1):114-120. 

  25. Udo H, Yoshinaga F. Effect of a pelvic belton abdominal pressure by various weights and bending angles. Industrial Health. 1997;35(2):229-234. 

  26. Verhryden G, Vereeck L, Truijen S.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ical Rehabilitation. 2006;20(5):451-458. 

  27. Well R. The protection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as a predictor of internal joint moments. Bulletin of prosthetics research. 1981;10(35):15-19. 

  28. Yun JH. Effects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pulmonary function and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You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3. 

  29. Yun NS, Lee KO, Kim JY. Kinematic comparison of walking on various inclined walkway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999;3(1):89-101. 

  30. Zazulak B, Cholewicki J, Reeves NP. Neuromuscular control of trunk stability: clinical implications for sports injury preven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08;17(1):497-5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