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피드백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을 결합한 교각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배가로근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Bridge Exercise with the Sensory Feedback of Combined Abdominal Drawing-in on Transverse Abdominal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7 no.1, 2019년, pp.19 - 29  

송귀빈 (PT레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bridge exercise with the sensory feedback of combined abdominal drawing-in on transverse abdominal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For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Subjects in the bridge exercise group...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ide 등(1996)은 몸통 안정화 근육들은 몸통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자세 조절과 움직임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며, 그중 배가로근은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는 근육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교각 운동 기법과 감각피드백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 운동을 결합한 교각 운동 기법이 배가로근과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교각 운동과 감각피드백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 기법을 결합한 교각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배가로근의 두께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ark 등(2011)은 압력 중심의 거리가 클수록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 드로잉-인을 결합한 교각 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 회복 양상은 정상 성인의 압력 중심 이동인 전,후 방향을 중심으로 나타남으로 뇌졸중 환자의 회복단계와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선행연구(Park et al.
  • 뇌졸중 환자에게 몸통 안정화 운동을 시행하였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몸통 안정화 운동이 일상 활동 체력과 자세 조절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고, 보행능력증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Choi &Jeong, 2008). 본 연구에서는 TUG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timed up and go test)와 BBS (버그 균형 척도, Berg balance scale)를 측정하여 동적 균형과 기능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TUG의 평가 결과 교각 운동 그룹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각 운동의 효과와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배 긴장 방법(abdominal bracing maneuver), 스위스볼을 이용한 등척성 운동, 배꼽 당기기 방법(abdominal hollowing maneuver), 교각 운동 등이 몸통 근육의 강화를 위해 시행 될 수 있다. 교각 운동은 골반바닥근, 배가로근과 같은 몸통 심부 근육이 강화되며, 복압 증가와 척추 안정성 훈련으로 적당하고(Mew, 2009) Lehman 등(2005)은 재활운동에서는 몸통의 안정화 운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교각 운동의 필요성을 보고하였다. 이미 선행연구들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정 및 보고되어 왔는데, 운동의 방법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움직임 시작 시에, 복근과 심부근육의 동시 수축이 중요하고 동시 수축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각 운동을 시행할 경우에는 허리 척주 앞굽음이 발생하고 허리 척주 앞굽음이 대상작용으로 발생하는 경우의 교각 운동은 몸통의 안정화 효과를 얻기 어렵다(Park et al.
본 실험에서 감각피드백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을 결합한 교각 운동 그룹(FDBG) 대상자들이 수행한 동작은 무엇인가요? 감각피드백을 이용한 복부 드로잉-인을 결합한 교각 운동 그룹(FDBG) 대상자들도 교각 운동 그룹(BG) 대상자들과 동일한 자세로 실험을 중재를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약간의 골반 뒤 기울임을 포함한 배꼽 당기기 훈련을 시행한 후 허리둘레 변화 감지기 벨트를 착용하도록 하였다. 과도한 수축으로 대상자가 숨을 참는 것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하였으며, 대상자가 복부에서 힘을 빼 허리둘레가 증가할 경우, 진동 감각 피드백 벨트의 센서를 통해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대상자가 다시 복근을 수축하여 드로잉-인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였다(Kim, 2017)(Fig. 2.
뇌졸중은 무슨 증상인가요? 뇌졸중은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하는 신경학적 결손으로 정의된다(Januario et al., 2010). 뇌졸중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최근에는 발병 연령대가 점점 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 할 수 있는 질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Januario F, Campos I, Amaral C. Rehabilitation of postural stability in ataxic/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Disability & Rehabilitation, 2010;32(21):1775-1779.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eaths and the statistical office in 2010.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3. Song GB, Hwangbo G. The effect of a rehabilitational sliding machine and conventional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on the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1):171-173. 

  4. Nichols DS. Balance retraining after stroke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Physical therapy. 1997;77(5):553-558. 

  5. Song BK.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hand function, postural control and ADLs within sensorimotor deficits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2;24(5):291-299. 

  6. Spinazzola L, Cubelli R, Della Sala S. Impairments of trunk movements following left or right hemisphere lesions: dissociation between apraxic errors and postural instability. Brain: A Journal of Neurology. 2003;126(12):2656-2666. 

  7. Tanaka S, Hachisuka K, Ogata H. Trunk rotatory muscle performance in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1997;76(5):366-369. 

  8. Davis PM.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6th ed. Heidelberg. Springer. 2003. 

  9. Reeves NP, Cholewicki J. Modeling the human lumbar spine for assessing spinal loads, stability, and risk of injury. Critical Reviews in Biomedical Engineering. 2003;31(1-2):73-139. 

  10. Mew R. Comparison of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between standing and crook lying during active abdominal hollowing using ultrasound imaging. Manual Therapy. 2009;14(6):690-695. 

  11. Lehman GJ, Hoda W, Oliver S.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s on and off a swissball. Chiropractic and Osteopathy. 2005;13(7):1-8. 

  12. Park MC, Heo JK, Lee JS. The effects of bridge exercise with different knee joint angles on stroke patients trunk muscle activity at different knee joint angle.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e and Therapy Science. 2011;3(1):61-72. 

  13. Jull GA, Richardson CA, Toppenberg R, et al. Towards a measurement of active muscle control for lumbar stabilization.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1993;39(3):187-193. 

  14. Beninato M, Portney LG, Sulivan PE.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lls and clinical assessment tools in people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2009;89(8):816-828. 

  15. Macedo LG, Maher CC, Latimer J, et al. Motor control exercise for persistent, nonspecif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Physical Therapy. 2009;89(1):9-25. 

  16. Cynn HS, Oh JS, Kwon OY, et al.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muscle activity and lateral pelvic tilt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6;87(11):1454-1458. 

  17. Siedentop D.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83. 

  18. Mayer RE.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approach. New York. Scott & Foresman. 1987. 

  19. Kim CB. Effects of modified abdominal draw-in maneuver on trunk muscle stability and functional capacitiy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PNF and Movement. 2017;15(3):217-226. 

  20.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148. 

  21. Berg K, Wood-Dauphine S, Wi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5;27(1):27-36. 

  22. Colby LA, Kisner C, Borstad J.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11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8. 

  23. Seo DK, Kwon OS, Kim JH, et al.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thickness of the deep abdominal muscle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2;24(2):181-185. 

  24. Whittaker JL. Ultrasound imaging of the lateral abdominal wall muscles in individuals with lumbopelvic pain and signs of concurrent hypocapnia. Manual therapy. 2008;13(5):404-410. 

  25. Jorgensen L, Engstad T, Jacobsen BK. Higher incidence of falls in long-term stroke survivors than in population controls: depressive symptoms predict falls after stroke. Stroke. 2002;33(2):542-547. 

  26. Fujiwara T, Sonoda S, Okajima Y,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nk function and the finding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mong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1;33(6):249-255. 

  27. Hides JA, Richardson CA, Jull GA. Mult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tomatic after resolution of acute, first episode low back pain. Spine. 1996;21(23):2763-2769. 

  28. Oh JS, Cynn HS, Won JH, et al. Effects of performing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 on hip and back extensor muscle activity and amount of anterior pelvic tilt.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007;37(6):320-324. 

  29. Stevens VK, Coorevits PL, Bouche KG, et al.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Manual Therapy. 2007;12(3):271-279. 

  30.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ibilitation. 2002;83(8):1138-1144. 

  31. Lim J, Lee S, Lee D, et al. The effect of a bridge exercise using the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2;24(8):651-653. 

  32. Lee JY, Part JS, Lee DH, et al. Effect of the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 balance for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3):1212-1219. 

  33. Shumway-cook A, Woollacott M.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Pillincott & willkins. 2007. 

  34. Heo JY. Effect of task oriented approach sit to standing practice on mobility in stroke patients.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35. Winter DA, Patla AE, Frank JS. Assessment of balance control in humans. Medical progress through technology. 1990;16(1-2):31-51. 

  36. Park JW, Nam KS, Baek M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tar center of pressure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measures in hemiplegic gait.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y. 2005;12(1):11-21. 

  37. Choi HJ, Jeong JW. The effect of 6 weeks intensive core stability training on functional fitness and postural control ability of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2008;17(4):505-514. 

  38. Kho EK, Jang JH, Jung DY. Effect of abdominal hollowing on muscle activity of gluteus maximus and erector spinae during bridging exerci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2;24(5):319-324. 

  39. Wulf G, Shea CH, Whitacre C. Physical-guidance benefits in learning a complex motor skill. Journal of Motor Behavior. 1998;30(3):367-3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