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손가정에서 성장한 학생선수들의 성장과정, 역경극복 및 사회적응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Regarding the Growth, Overcoming Hardship, and Social Adjustment of Student Athletes from Broken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267 - 278  

신송휘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김승용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불완전한 가족 구성원의 형태로서 결손가정인 동시에 학업과 운동을 함께 병행하는 학생선수 들의 '역경극복 과정'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야기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의 개선 및 확대와 관련하여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신 있게 행동하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변화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즐거움을 통한 긍정적 정서형성과 관련하여 역경 상황의 개선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본인이 적극적인 탐색과 함께 스스로의 감정을 조절하였다. 셋째, 문제해결력의 향상과 관련하여 결손으로 인한 역경 상황에서 자신에게 가장 맞는 효과적인 방법의 발견과 미래의 역경상황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대한 능력이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ngage in an in-depth discussion and analysis about the process of overcoming hardships in students that play varsity sports as student athletes and who grew up under incomplete family structures, To achieve this end, the current study conducts a narrative i...

주제어

표/그림 (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손을 겪는 자녀들이 겪는 고난과 어려움에는 무엇이 있는가? 결손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은 결손을 결정한 부부들이겠지만, 부모의 결손을 겪는 자녀들도 부모들 못지않게 많은 어려움과 고난을 경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결손가정 자녀들은 부모의 부재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불안을 느끼고 성격의 장애가 나타나게 되며5], 부모의 슬픔과 고독감으로 인하여 결손가정 자녀들은 도덕성 및 낮은 자아인식 등의 부적응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6]. 또한, 성인이 되어서도 이들은 여전히 불안이나 낮은 성취, 자기 비하 및 분노와 같은 부적응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7].
극복하다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러기 위해서는 '극복하다(overcome)'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봐야한다. 극복하다는 사람이 힘들거나 어려운 상황에 대해 노력하여 좋아지거나 없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의미로는 사람이 어려움을 굴복하지 않고 견디거나 잘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손가정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면 어떻게 되는가? 결손가정을 조금 더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형태적인 결손가정과 기능적인 결손가정으로 구분하고 있다[2]. 형태적인 부분에서의 결손가정이란 부모가 자녀와 함께 동거하지 못하는 결손가정으로서 부모의 사망이나 이혼, 별거, 장기부재, 수형, 및 유기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부(父)나 모(母) 둘 중 한쪽의 부재가 있는 가정을 말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J. Y. Lee. (2002). A Study on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Protectors that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 Children's Personality in the Broken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3. M. J. An.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Gender-Role Identity and Self-Esteem between Children of Broken Homes and Those of Normal Ho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W. J. Park. (2007). The Effects of Literatherapeutic Intervention on Ego Resilience and Maladaptive Behaviors in a Child of Broken H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5. C. W. Lim. (2004). A Study on Pastoral Care for Defected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hin University, Osan, Korea. 

  6. Yoo, C. J. (2004). A Study on the Juvenile Delinquency of Defected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Hanyoung University, Seoul, Korea. 

  7. H. S. Kim. (2013). Growth of Korean Divorced Children. Seoul: Jipmoondang. 

  8. H. R. Lee, H. K. Yu & Cho, Y. S. (2014). Develop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Functionally Deficient Famil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1), 53-79. 

  9. Jung, H. Y., & Chun, B. G. (2010). Study on the Leisure Experience of the Broken Home Juvenil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4(6), 61-83. 

  10. E. J. Jo & H. K. Lee. (2016). The Study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Single Parent Family.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48, 237-263. 

  11. Galli, N. & Vealey, R. S. (2008). "Bouncing back" from adversity: athletes' experiences of resilience. The sport psychologist, 22, 316-335, Retrieved from https://journals.humankinetics.com /journal/tsp 

  12. T. H. Yu. (200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Sport Policy. Education Policy Research,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3. H. G. Lee. (2010). The Implications and the Practical Issues of Fostering the Student-Athlete Who do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4. T. H. Yu & J. W. Yi. (2004). Schooling and the culture of school athletic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3(4), 271-282. 

  15. S. Y. Kim. (2012). A Study on the Process of Overcoming Adversity by Women in Poverty: With a Focus on Strengths-Based Case Management Particip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16. S. A. Kim. (2014). Resilience i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 bouncing back from adversity and grow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H. S. Son. (2007). Conflicts and Responses of Divorced Women in the Process of Independ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8. S. Y. Im. (2013). The meaning reconstruction process leading to posttaumatic growth after relational lo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 J. E. Huh. (2003). A Study on Empowerment, Self-help Group, Networking Practice for Women Hanbumo.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 D. J. Clandinin & F. M. Connelly.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San Francisco. 

  21. H. J. Moon. (1998). Case study of sport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a selected secondary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2. J. P. Spradley.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gston. 

  23. K. C. Kim (2009). A narrative inquiry on two teachers' experiences of writing process of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6(2), 93-110. 

  24. J. S. Lee. (2006). Family problems. Paju: Gyomoon Publishers. 

  25. R. S. Vealey. (1986).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3), 221-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