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323 - 331  

이영익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스포츠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전공 대학생 38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Version. 1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에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참여자세가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고, 반대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다. 또한 흥미와 이해가 낮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낮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다. 둘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성취목표성향은 관계가 있다. 운동참여자세가 높을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높다. 또한 흥미와 이해가 낮을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낮다. 셋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목표성향은 관계가 있다.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일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높고, 부정적일수록 과제 및 자아성향유형이 낮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attitude, self- estee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들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성취목표성향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고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전공계열대학생들에게 체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육전공 대학생 38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Version.
  • 본 연구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앞서 제시되었던 본 연구의 가설과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들에게 설문받기 위해 연구자가 서울에 위치한 K대학교를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체육전공계열 대학생들에게 성실히 설문에 응답할 것을 부탁한 뒤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작성 완료된 설문지는 현장에서 바로 회수하였다.
  • 연구 결론을 바탕으로 이후 진행될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게 된 목적은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들에게 체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디딤돌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함이었다. 체육전공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가 자아존중감이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이 미친다는 결과를 제공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외에 다른 변인을 통제하고 연구를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가설 설정

  • 첫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성취목표성향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목표성향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 둘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성취목표성향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목표성향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자아존중감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운동참여태도와 성취목표성향에는 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에게 체육이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신체적인 교육 즉 체육은 우울증, 대인기피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와 약물중독, 자살 등 사회적인 문제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개인이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황, 규범,가치, 태도, 경험 등을 내면화시켜줄 수 있으며, 우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예방하고 신체와 정신을 조화롭게 발달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대학생들에게 운동이란 매개체 통해 참여 기회를 제공해준다면 사회적 문제를 해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며, 신체활동 부족의 문제 또한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4, 5]. 이처럼 대학생들에게 체육의 대한 중요성을 전달하기에 앞서 체육전공계열 대학생의 심리적, 사회적 상황은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얻어지는 결과를 토대로 체육의 중요성을 다른 전공계열 대학생들에게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를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태도 및 성찰이 필요한데 이는 자아존중감 이론과 깊은 관련이 있다. 자아존중감이란 ‘자기 자신을 가치 있고 긍정적인 존재로 평가하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는데 Bandura[17]가 자아존중감 이론을 처음 제시한 이후 지속적으로 다양한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연구자들은 자아존중감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거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방법,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해오고 있다[18, 19].
체육의 중요성 및 이점은 무엇인가? 신체적인 교육 즉 체육은 우울증, 대인기피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와 약물중독, 자살 등 사회적인 문제를 예방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개인이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황, 규범,가치, 태도, 경험 등을 내면화시켜줄 수 있으며, 우발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행동을 예방하고 신체와 정신을 조화롭게 발달시켜 줄 수 있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대학생들에게 운동이란 매개체 통해 참여 기회를 제공해준다면 사회적 문제를 해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며, 신체활동 부족의 문제 또한 해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4,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M. Chae. (2014). The Effect of Sport Club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Physical Education Colleges. Master's thesis. KM University, Seoul. 

  2. K. S. Kim. (2010). A Study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Instrument for Testing Physical Education Students' Career Barriers. Doctoral dissertation. KM University, Daegu. 

  3. Y. J. Kim. (2012).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ttitude depending o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s Departmen. Master's thesis. KH University, Gyeonggi. 

  4. J. Y.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goal of sports activity and physical self-efficacy. Master's thesis. CA University, Seoul. 

  5. J. H. Jung, B. Kim & H. S. Cho. (2011).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heir Attitudes toward Clas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3), 41-53. 

  6. J. J. Park. & A. R. Hong. (2016). Direction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through Career Perception of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23(3), 65-88. 

  7. M. R. Choi. (2006). The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allied physical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19(2), 289-300. 

  8. D. S. Ryu, M. S. Park & J. K. kim. (2014). The Effect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in the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on Employment Barrier Awareness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orts Related Majoring University Student.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4), 293-305. 

  9. Leiyu. Yan. (2016). Awareness, Choice-Motivation about Curriculum and Investigation of Career Choice in Korea and China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WK University, Jeonbuk.. 

  10. M. J. Koo, B, I. Kang & S. Y. Baek. (2013). The Effects of Career Self-Efficacy through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7(4), 125-133. 

  11. S. D. Kim. (2016). The influence of University Member Interac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for Physical College Freshmen. The Korea Journal of Sport, 14(3), 471-481. 

  12. W. K. Kim & E. J. Kim.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 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of Sports Related Major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17(2) 65-77. 

  13. H. S. Kim, J. S. Shin & Y. K. Lee.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Typ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of Sports Related Majoring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 12(1), 559-569. 

  14. K. W. Nam. & K. S. Cho.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ense maturity of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497-507. 

  15. K. M. Lee. & Y. J. Choi. (2018).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Attitude of Sport Related Majoring Students.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6(3), 61-73. 

  16. M. S. Lee, Y. G. Lee & T. G. Jung. (2017).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lf-leadership, self-esteem, learning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6(2) 131-145. 

  17.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18. M. K. Kim. (2014). The Effect of Taekwondo High School Instructors Leadership Type on players Self-Esteem, Goal Achievement, Athletic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3(3) 281-295. 

  19. Y. H. Yang.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quash player's Flow and Self-esteem, Perceived Atheletic Performanc. Master's thesis. YI University, Gyeonggi. 

  20. H. M. Choi & I. J. K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recovery fairness, trust and training behavior of Hapkido gymnasium.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15(3) 75-88. 

  21. J. Yoo. & J. H. Hun.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Skill Questionnaire in Sport.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1(3), 41-50. 

  22. J. J. Song. (2015).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SPSS/AMOS for the Preparation of a Paper. Gyeonggi : 21cbook. 

  23. J. E. Kim. (1996). The research on the school life of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Master's thesis. HY University, Seoul. 

  24. Scanlan, T. K & Lewthwaite, R(1984).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etition for male youth sport participant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6, 208-226. 

  25. Y. K. Jung. (1997). The influence of sport participation motivation, arousal seeking and affects on the behavior of sport commitment. PS University, Pusan.. 

  26. Duda, J. L & Nicholls, J. G(1992). Dimensio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choolwork and s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 290-299. 

  27. B. J. Kim. (2001). Goal Orientation as a Predictor of Sources of Enjoyment and Stress in Youth Sport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12(1), 125-140 

  28. J. M. An. (2012).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CN University, Jeonnam. 

  29. K. J. Oh, S. M. Yun & H. S. Lee. (2007).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Less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16(3) 293-303. 

  30. J. H. Choi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s and Objective-Oriented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Middle School Girls Colleges.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31. P. K. Moon. (2014).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exercise adherence of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clubs. Master's thesis. Jejun University, Jeju. 

  32. K. R. Kim, S. K. Kim & M. K. Park. (2012). The Structural Relation of Sports Commitment, Self-esteem, Self-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 School Spor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3), 117-130. 

  33. S. H. Cho. (2011). This research analyses the goal achievement orientations of security service majors and is aimed at identifying its effects to the absorption to training and self esteem. Master's thesis. Gyeonggi University, Gyeonggi. 

  34. B. H. Kim. (2012). Effect of elementary schoolchildren'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ir emotion and self-esteem. Master's thesis. GNUE University, Gwa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