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득보장 정책에서의 기본소득 보장이 빈곤해소와 생활자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sic Income Security on Poverty Elimination and Life Independence in Income Security Polic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77 - 88  

김성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득보장 정책에서의 기본소득 보장이 빈곤해소와 생활자립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 하였다. 변수는 기본소득보장의 노령연금의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및 고용보험으로서의 실업급여와 생계급여에 따른 빈곤해소와 생활자립을 종속변수로 하여 한국복지패널 10차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보면 소득보장정책에서의 기본소득보장이 빈곤해소와 생활자립에 미치는 영향력은 노령연금의 일환인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이 빈곤해소와 생활자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고용보험의 실업급여와 생계급여는 유의적이지 않아 기각되었다. 그리고 빈곤해소는 생활자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이는 노령연금은 모든 하위소득 노인에게 일괄적으로 지급되는 연금성 소득보장책으로 매우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해 주는데 유용함을 뒷받침하고 일정한 기본소득의 보장을 통해 빈곤해소는 생활자립으로 이어져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가짐을 시사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basic income security on poverty elimination and life independence in income security policies. To achieve this, poverty elimination and life independence through the national pension and basic pension as old-age pension for basic income...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는 기본적인 목적은 가난한 사람들을 ‘어떻게’ 돕는 것이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돕는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 이후 일부 연구에서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더 많은 원인변수를 반영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종단면적 혹은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빈곤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17]. 하지만 지나치게 가구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중점을 둠으로써 노인빈곤의 원인을 가정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만 국한하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 따라서 이 같은 현행 복지적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한계에 따른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최근 논의 되고 있는 기본소득제가 소득불평등도 개선과 빈곤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는데 있다. 이런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는 기본적인 목적은 가난한 사람들을 ‘어떻게’ 돕는 것이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돕는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 소득보장제도가 어떤 계층을 지원할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실제로 어떤 계층들에게 급여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제도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득력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득보장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기본소득 보장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력과 생활자립요인을 밝혀 학제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 특히 개인(또는 가구) 소득 빈곤에 관한 기존문헌들은 개인의 경제적 빈곤문제를 측정하고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제적 빈곤에 관한 기존문헌들은 앞서 제시된 이론적 논의들을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는데, 유경준의 연구가 이에 해당한다[47].
  • 본 분석에서는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에 대한 소득보장제도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소득보장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보장은 빈곤해소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1: 소득보장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보장의 국민연금은 빈곤해소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소득보장정책으로서의 기본소득보장은 생활자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소득보장정책으로서의 빈곤해소는 생활자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기본소득은 “모든 개인에게 자산조사와 일에 대한 요구 없이 지급하는 소득”을 말한다[18]. 이는 기본소득 핵심 원칙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을 보편성과 무조건성이라는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기본소득은 분배정책의 성격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소득보장유형에서 본 기본소득은 기본소득을 보편성과 무조건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교해보면 기본소득의 지위는 노동에 대한 요구와 선별성이 강하고, 보편성과 무조건성이 강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복지사업의 유사・중복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는 지난 십여 년 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빈곤율은 OECD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1-5]. 이로 인해 사회보장에 대한 복지 사업의 유사・중복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J. W. Kim. (2010). Expansion and Limitations of Social Security System in Korea: The Performance and Rethinking Blind Spot, Korean Social Policy, 17(1), 63-93. https://doi.org/G901:A-0002778114 

  2. J. J. Yang. (2014). Coping with Structural Problems in the Korean Labor Market for National Cohes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18, 27-38. https://doi.org/G901:A-0003741607 

  3. B. H. Lee. (2011). Incentive mechanism for promoting transition to formal employment, Trend and Prospect, 82, 185-211. https://doi.org/G901:A-0002 999334 

  4. Y. J. Yeo. (2004).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i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and the Blind Spot of Povert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upport and Private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4(1), 3-29. https://doi.org/G901:A-0001971923 

  5. K. J. Hong. (2003). Measures to Expand Social Security for the Working Poo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77, 42-56. https://doi.org/G901:A-00017 60401 

  6. C. S. Nam. (2016). The Transition of Discourse on Welfare Service Overlapping or Duplication and its Implications to Social Security Strategy, Critical Social Policy, 50, 126-164. https://doi.org/G901:A-0003934081 

  7. S. W. Kang, H. K. Kang, D. M. Roh, H. J. Lee & B. J. Lee. (2015). Direction and Challenges of Social Security Policy Evalu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https://doi.org/G901:A-000659 5507 

  8. T. W. Kim, J. W. Jung & J. M. Lee. (2015). 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3), 71-102. 

  9. S. H. Lee. (2015). Change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Structure in 2015: Based on Effect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on Economy. KB Knowledge Vitamin, 15-19. 

  10. S. H. Seok. (2010). An Analysis on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0, 335-352. 

  11. J. E. Seok. (2010). Impacts on the Effec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Poverty Alleviation of Public Pension and Basic Old-Aged Pension: Seoul Metropolitan City. Social Welfare Policy, 37(3), 193-214. 

  12. K. D. Nam. (2010). Korean Elders' Poverty and Basic Old Age Pension's Measures for Mitigating Their Poverty. Welfare Administration Study, 26, 235-260. 

  13. S. H. Kim. (2016). An Analysis on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Basic Pens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36, 82-97. 

  14. H. G. Jung, J. A. Jo, H. Y. Oh, G. J. Byeon & S. H. Moon. (1998). The 1998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H. S. Choi & Y. K. Ryu. (2003). A Study on the Levels, Trends, and Composition of the Old-Age Pover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3), 143-160. 

  16. B. E. Hong.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4), 275-290. 

  17. O. G. Choi. (2007). Factor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Utilizing the Panel Data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1), 5-25. 

  18. P. Van Parijs, (2006). "Basic income: A simple and powerful ide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Ackerman, B., Alstott, A., and van Parjs, P. (eds.), Redesigning distribution: Basic income and stakeholder grants as cornerstones for an egalitarian capitalism, 7-38. New York: Verso. https://doi.org/10.1177/0032329203261095 

  19. H. S. Yoon. (2011). "Essence of universalism in welfare policy",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63(2), 57-79. https://doi.org/G901:A-0003337910 

  20. N. H. Kang. (2014). Do we have to give basic income to the grasshopper? Daegu: Greenreview Publishing Company, Greenreview Serial Number 135, 151-163. https://doi.org/G901:A-0003651188 

  21. K. S. Kim. (2009). A Comparative Study of Classification &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Social Assistance Programs,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36(1), 61-87. https://doi.org/G901:A-0002629446 

  22. J. H. Seo & K. J. Cho. (2008). A Conception of New Redistribution Schemes -Based on Basic Income and Stakeholder Grants,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24(1), 27-50. https://doi.org/G901:A-0002465810 

  23. D, M, Noh. &, Y, J, Yeo. &, T, W, Kim. & I, Won.l (2009).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allowance syste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H. S, Yoon. (2012). Design of an integrated income security system.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5. E. S. Joo. (2013). Korea's Altern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 Opinion on Combining Current Welfare State Programs with Temporary Citizens' Allowance, Critical Social Policy, (38), 83-126 

  26. D. S. Hwang. (2014).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Age of Labor Announcement of the Society for Social Welfare for Criticism and Alternatives. 59-74. 

  27. S. W. Kang, D. M. Noh, H. J. Lee, W. S. Lim, H. K. Kim & M. I. Kwon. (2015).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jor Income Security Policies.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 K. S. Kim. (2017). The 20-year financial crisis,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income security policies. Korean Social Policy, 24(4). 151-184. 

  29. N. H. Kang. (2010). The introduction model of basic income and the economic effects. Progressive Review, (45), 44-78. 

  30. S. H. Lee., J. A. Lee & S. H. Baek. (2016). Korea's unstable youth labor market and youth basic income policy. Critical Social Policy, 52, 365-405. 

  31. H. S. Yoon. (2017). Can it be an alternative to basic income, welfare state?: Basic pension, social benefits, and basic income, Critical Social Policy, (54), 81-119. 

  32. M. S. Eun. (2017). Native Income Tax (NIT) Assurance -Critical Analysis of Canada's Introductions and Exploring Applicable Measures to Korea. Critical Social Policy, (54), 7-51. 

  33. D. S. Hwang, C. I. Park, J. S. Park, D. Howcroft, B. Bergball-Kareborn & J. Berg, et al. (2016). A Study on the Changes in Employment Relations and the Paradigm of Social Welfare. The Korea Labor Institute. 

  34. S. W. Kang, T. W. Kim, H. S. Jung, H. K. Kim & G. H. Kim. (2016). Issues and implications of alternative income security systems.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5. B. I. Kim. (2016). Is basic income the best alternative to social security?: Critical review based on the need for social policy (needs. Social welfare policy, 43(4), 79-107. 

  36. K. Nelson. (2007). Universalism versus Targeting: The Vulnerability of Social Insurance and Means-tested Minimum Income Protection in 18 Countries, 1990-2002.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Review, 60, 33-58. 

  37. K. Nelson. (2009). Social Assistance and Minimum Income Benefits in Old and new EU Democra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19, 367-378. 

  38. K. Nelson. (2013). Social Assistance and EU Poverty Thresholds 1999-2008. Are European Welfare Systems Providing Just and Fair Protection Against Low Incom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9(2), 386-401. 

  39. I. Max & K. Nelson. (2013). Minimum Income Protection in Flux. Springer. 

  40. D. Besharov & K. Couch. (Ed). (2012). Counting the poor: New thinking about european poverty measures and lessons for the United Stat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and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Maryland. 

  41. OECD. (2011b). Divided We Stand. Why Inequality Keeps Rising. OECD Publishing. Retrieved form http://dx.doi.org/10.1787/978926411 9536-en 

  42. P. Van Parijs. (1995). Real Freedom for All. Oxford University Press. 

  43. A. B. Atkinson. (1996). The Case for A Participation Income. The Political Quarterly, 67(1), 67-70. 

  44. B. Ackerman, A. Alstott & P. Van Parijs. (2010). Reorganization of distribution: basic income and social equity pay. (Large Welfare Research Group, Station) House of Sharing. (Application Publishing 2006) 

  45. D. S. Kim, O. H. Kim, S. H. Lee & T. Y. Jung. (2011). Cognitive Categorization of Korean for Reason and Solution about Income Polar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4), 461-483. https://doi.org/G901:A-0002998232 

  46. R. G. Wilkinson. (2005). The Impact of Inequality: How to make Sick Societies Healthier, New York: The New Press. https://doi.org/10.7748/ns2006.04.20.30.36.b449 

  47. G. J. Yoo. (2007).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s of Inequality, The Korean Labour Economic Association, 30(3), 103-138. https://doi.org/G901:A-0002455525 

  48. G. S. Fields & G. J. Yoo. (2000). "Falling Labor Income Inequality in Korea's Economic Growth: Patterns and Underlying Cause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Series 46(2), June. https://doi.org/10.1111/j.1475-4991.2000.tb00952.x 

  49. S. W. Kang. (2017).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Income Security System Group, Korea Social Policy, 24(1), 213-237. https://doi.org/G901:A-0008137651 

  50. www.koweps.re.kr:442 

  51. K. Z. Hong. (2004). Analyzing the Length of Poverty Spell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4, 187-210. 

  52. H. J. Jin. (2010). Analysis for Consumer Groups Using Decision Tree Model: Focused on Tangerine Consumption. Korea Agricultural Research, 51(1), 19-40. 

  53. M. J. Hwang. (2016). Determinant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11(4), 351-358. 

  54. M. H. Park & Y. S. Jung. (2009).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for the Reducing of the Blind Spot in the Deterioration of Income Security: Comparison with the United Kingdom Social Security Research, 25(4), 101-127 

  55. B. D. Son. (2012). An Analysis of Income Security Effects of Korea's Deteriorated Income Security System : Focused on Minimum Living Security and the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targe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Passage (58), 7-28. 

  56. J. J. Yang. (2016). Strategies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Deteriorated Income Security System and Financial Mobilization: Focused on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The Korean Society for Policy Studies. 

  57. Y. M. Kim & S. S. Han. (2017). Establishing the policy goals of the basic pension through the effects of poverty alleviation. Korean Social Policy, 24(4), 89-112. 

  58. D. E, Jung & H. Lim. (2016). A review of the adequacy of the basic pension system as a means of securing old income. A study of law and policy, 16(4), 111-147. 

  59. J. H. Park. (2017). A Study on the Basic Income Guarantee System for the Mitigation of Deterioration of Deterioration: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Swedish and British Islands, (The)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8(3), 455-47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