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Chatbots as Determined by Consumer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 산경연구논집, v.10 no.7, 2019년, pp.39 - 48  

정재환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변상운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김미숙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chatbots' innovation attribute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for consumers who have used chatbo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at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transactions in mobile shopp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패션 관련 제품 모바일 쇼핑 시 챗봇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혁신속성이 혁신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선도력을 포함하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챗봇을 활용한 패션제품 구매경험을 보유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챗봇의 혁신속성이 혁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구매경험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선도력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규명하고자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 챗봇을 활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필수적인 챗봇 이용자의 성향과 관련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챗봇 특성에 후속변수로 감성성을 설정하여 혁신속성이 혁신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선도력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현신속성과 혁신수용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 관련 제품 모바일 쇼핑 시 챗봇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혁신속성이 혁신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선도력을 포함하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ogers (1995)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챗봇의 혁신속성과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을 재구성하여 챗봇의 혁신속성으로 적합성, 상대적이점, 복잡성을 설정하고, Yoo(2011)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을 추가설정 하였으며, Hong et al. (2016), Choi and Choi (2017), Park (2017)의 선행연구에서 챗봇에서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난 감성성을 추가로 설정하여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챗봇의 혁신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의류학 분야에서 유행선도력은 새로운 패션을 보다 빨리 받아들이고 다른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의미로 활용되어지고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인 혁신에 관련된 챗봇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혁신에 연관된 유행선도력과의복과 연관된 유행선도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Cho and Koh (2001)의 연구에서는 유행선도력에 따른 의복추구혜택 및 유행선택행동, 의복구매실태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집단을 유행 혁신성 및 의견선도력 집단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시 챗봇을 이용해 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인지된 챗봇의 혁신속성과 혁신수용에 대한 영향과 차이에 대해 연구하여 챗봇을 이미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을 계획 중인 기업에게 챗봇 이용자의 성향과 관련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를 성별, 연령, 소득, 유행선도력, 결혼유무의 5가지 변수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였으며, 혁신속성이 혁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 고찰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수용의도를 살펴 본 연구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챗봇과 같은 혁신 기술의 수용의도 차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OS에서 메신저 플랫폼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챗봇을 소비자들의 기존의 행동 방식을전환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정의하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챗봇의 혁신수용에 관한 소비자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이 혁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소비자 특성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의 차이를 알아본다.
  • 연구문제 3:소비자 특성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수용의 차이를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챗봇을 활용한 패션제품 구매경험을 보유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챗봇의 혁신속성이 혁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구매경험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유행선도력에 따른 챗봇의 인지된 혁신속성과 혁신수용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규명하고자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 챗봇을 활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필수적인 챗봇 이용자의 성향과 관련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챗봇을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즉, 챗봇은 모바일 메신저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서 필요한 것이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메신저로 대화하듯 챗봇과 대화를 나누며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는 1:1 자동화 대화형 플랫폼이다. 챗봇 운용 초기에는 설정해둔 대답만을 제시할 수 있었으므로 이용자는 챗봇을 교류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빅데이터, 딥러닝 등 방대한 데이터 및 인공지능학습 기술과 결합, 대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여 이용자가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챗봇이란? 이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의 챗봇(Chat-Bot)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챗봇이란 ‘채팅 로봇’의 줄임말로써,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메신저의 채팅창에서 대화하는 형식을 통해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이며(Choi &Choi, 2017), 스마트 시대의 비즈니스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기업들이 챗봇에 주목하고 있다(Min, Kim, & Song,2017).
챗봇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한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챗봇 서비스의 용이성, 유용성에 인지된 유희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챗봇 서비스의 의인화 및 감성성 측면이 챗봇 서비스의 성공여부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ephen, A. T., & Lehmann, D. R. (2016). How word-of-mouth transmission encouragement affects consumers' transmission decisions, receiver selection, and diffusion speed.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33(4), 755-766. 

  2. Barnett, H. G. (1953). Innovation: The basis of cultural change. New York, NY: McGraw Hill. 

  3. Cho, Y. J., & Koh, A. R. (2001). A Study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3), 171-190. 

  4. Choi, S. M., & Choi, Y. S. (2017). Analysis on the conversational commerce service interface of the AI Chat-Bot based on mobile messenger app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2017(2), 237-240. 

  5. Choi, Y. Y. (2003). A Study of Cosmetics Purchase Behavior by Fashion Leadership of 20' women.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University). Retrieved May 8, 2019 from http://dcollection.lib.sookmyung.ac.kr/public_resource/pdf/000000006930_20190515113525.pdf 

  6. Chung, S. H., & Moon, S. J. (2001). A Study on the Fashion Leadership and W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Entertainers for Fashion Styles.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14, 163-186. 

  7. Han, J. M., Kang, H, S,. & Lee, M. A. (2016). Study on Scale Development of Design Innov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6), 366-378. 

  8. Han, S. S. (2018). Role of Online Social Decision When Purchasing NP: The Moderating Effect of NP Innovatio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6(7), 57-65. 

  9. Havelock, R. G., & Guskin, A. E. (1969). Planning for innov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literature on the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Center for Research on Utiliz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University of Michigan. 

  10.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11. Hoffmann, S., & Soyez, K. (2010). A cognitive model to predict domain-specific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7), 778-785. 

  12. Hong, E. J., Cho, K. S., & Choi, J. H. (2017). Effects of Anthropomorphic Conversational Interface for Smart Hom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ice and Chatting Interactions.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2(1), 15-23. 

  13. Jeong, H. S., & Kim, U. Y.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hape of Consideration Se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4(4), 45-72. 

  14. Jeong, T. G. (201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Fin-Tech System on Consumer Acceptance: Focused on Mobile Banking.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Retrieved May 10, 2019 from http://dcollection.pusan.ac.kr/public_resource/pdf/000000125273_20190515104715.pdf 

  15. Jung, G. J., Hwang, H. J., & Song, I. A. (2015).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Factor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Telecommunication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3(6), 87-96. 

  16. Kaiser, S. B. (1985).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London, England: Macmillan. 

  17. Kim, J. W., & Kim, S. I. (2012). A study on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smart phone by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Focused on smart phone non-user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1(1), 15-37. 

  18. Kim, S. H., & Rhee, Y.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Leade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related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 162-172. 

  19. Koh, A. R., & Nam, M. W. (1998).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4), 460-468. 

  20. Lee, C. M. (2017). The Effect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s Services on Consumer Satisfaction - Focus on TAM and IDT -. (Master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Retrieved May 5, 2019 from http://khu.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200000068823_20190515103823.pdf 

  21. Midgley, D. F., & Dowling, G. R.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product form innov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predispositions and social messag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4), 611-625. 

  22. Min, S. J., Kim, H. J., & Song, K. H.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hatbot Adoption by using the UTAUT Model.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017(5), 623-643. 

  23. Ostlund, L. E. (1974).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innova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3-29. 

  24. Park, K. A. (1999). The Effects of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on Fashion Innov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3), 393-400. 

  25. Park, M. S. (2017). The influence of factors such as personal innovativeness, self-efficacy and perceived playfulness on messenger platform chatbot service to use more: Focusing on the ETAM.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Retrieved October 26, 2017 from http://moonjeong.hongik.ac.kr/search/detail/CATTOT000001979943 

  26. Park, Y. B., & Park, H. J., (2017). Testing for Use and Acceptance of Internet Banking Based on UTAUT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2(1), 11-21. 

  27.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s (1st 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8. Rogers, E. M. (1995). Lessons for guidelines from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1(7), 324-328. 

  29. Rogers, E. M., & Shoemaker, F. F. (1971).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A Cross-Cultural Approach. 

  30. Seo, D. S. (2015). E-Strategy between European and Korean Innovative Business Channels in Post-New Normal Era.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5(4), 59-66. 

  31. Shin, H. S. (2013). A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Domestic Dental Low Handpiece Ba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Master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Retrieved May 8, 2019 from hhttp://oasis.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000001561452_20190515112524.pdf 

  32. Veryzer, R. W. Jr. (1998). Key factors affecting customer evaluation of discontinuous new product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5(2), 136-150. 

  33. Yang, J. H. (2005). A Study on Fashion Leadership and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Sex Role Identify of Male College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trieved May 10, 2019 from http://dcollection.ewha.ac.kr/public_resource/pdf/000000012342_20190515110437.pdf 

  34. Yoo, I. M. (2011). An Empirical Study in Innovation Diffusion Process of Intelligent Home Network Characteristics Influencing User's Resistance and Adoption: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in User's level of Knowledge and Adoption Stage.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Retrieved May 5, 2019 from http://khu.dcollection.net/public_resource/pdf/200000053547_20190515101218.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