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원의 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Judiciary of Korea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9 no.2, 2019년, pp.77 - 107  

곽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법원정보공개제도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앞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정보공개청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법연감"에 공표된 데이터와 법원정보공개청구시스템에 청구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법원의 정보공개청구 처리 동향을 살펴보았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담당자에 따른 상이한 처리 결과, 높은 취하 및 민원회신 비율, 정보부존재 증가 추세 등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낮은 정보공개 처리비율이었다.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청구제도 안내 강화, 정보공개청구 담당자의 교육 강화, 매뉴얼 발간, 사전정보나 원문정보 제공 확대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judiciary of Korea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ways to provide more effective and substantive reques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ourt's informa...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공개법에서의 정보란? 1차적으로 기록물 관리가 잘 이루 어지지 않는다면 정보공개제도가 잘 작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보공개법에서는 정보를 공공 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 는 문서(전자문서 포함)․도면․사진․필름․ 테이프․슬라이드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런 데 각 기관에서 이를 기록물로 잘 관리하지 않 는다면 정보공개를 청구하더라도 정보부존재로 처리되어 정보공개청구권자는 결국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법원정보공개제도의 낮은 처리 비율의 원인은? 9%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낮은 처리비율의 원인으로는 높은 취하율과 민원회신율, 정보부존재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보공개청구 담당자에 따른 상이한 답변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정보공개제도는 무엇을 제고하기 위한 것인가? 이와 같이 정보공개제도는 국민의 기본권인 알권리를 보장하고 국민의 국정 참여 기회 확 보와 국정 운영의 투명성․책임성․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1766년 스웨덴에서 저 술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로 최초로 법제화되었으며, 1950년대 들어 세계적으로 확산되 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ng, Ju-Hyun & Lee, Young-Hak (2017). A Study on the Necessity of a Series of Charges in Information Disclosure for Work Improvement.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7(2), 1-2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2.001 

  2. Kang, Hye-ra & Chang, Woo-Kwon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edom of Information and Records Management: Focusing on Local laws and Regulation about Information Disclos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93-312.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293 

  3. Gwon, Hyeon-Jin & Lee, Young-Hak (2018) A Study on Strengthening Records Management as a Solution to the Nonexistence of Information.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8(4), 25-4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4.025 

  4. Kim, You-Seung & Choi, Jeong-Min (2015). A study on non-existenc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focused 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6, 153-187. 

  5. Nam, Yeun-Ah & Yim, Jin Hee (2016).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service Provision at Center of Archival Information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0, 177-229. 

  6.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08). 2008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7.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09). 2009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8.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0). 2010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9.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1). 2011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0.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2). 2012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1.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3). 2013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2.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5). 2015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3.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6). 2016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4.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7). 2017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5.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2018). 2018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6.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a (2014). 2014 Judicial yearbook.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7.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b (2014). Information disclosure business manual. Seoul: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7). 2017 Information disclosure task manua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 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2(2), 163-179. 

  20. Youn, Eun-ha & Kim, Soojung (2015). Understanding the Freedom of Information(FOI) Work Process of Records Manager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5(1), 7-2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1.007 

  21. Lee, Bo-ram & Lee, Young-hak (2013). A Study on Institutional Reliability of Open Record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41-91. 

  22. Lee, Seung Jong (2005). Localautonomy. Seoul: Pakyoungsa. 

  23. Yim, Jin-Hee & Lee, Zoon-Ky (2010).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viding behavior of public servants 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closur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179-225. 

  24. Jeon, Seul-Bi & Kang, Soon-Ae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6(1), 61-88.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1.061 

  25. Jung, Zin-Im & Kim, You-seung (2014). A Study on SNS Record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45-72. 

  26. Zoh, Young-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77-114. 

  27. Choi, Jeong-Min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between the Central Agency and the Local Agency.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Society of Korea, 14(3), 83-10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3.083 

  2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20th Anniversary White Paper 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Daejeon: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Freedom of Information Annual Report in 2017. Daejeon: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30. Hong, Il-Pyo (2009). Dual Transformation' of Freedom of Information Movements and Civic Partic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37-76. 

  31. 대법원홈페이지 (2016). 검색일자: 2019. 2. 19. http://www.scourt.go.kr/portal/main.jsp 

  32. 법원정보공개청구시스템 (2010). 검색일자: 2019. 2. 19 https://open.scourt.go.kr/main/Main.work 

  33. 서울 정보소통광장 (2016). 검색일자: 2019. 2. 19. https://opengov.seoul.go.kr/ 

  34. 정보공개포털 (2018). 검색일자: 2019. 2. 19. https://www.open.go.kr/pa/main/paMain.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