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정보공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실태
The Statu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Original Text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9 no.2, 2019년, pp.147 - 172  

안혜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문정보공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원문정보의 공개를 결정하는 데에 소모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고 원문정보공개 건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공공기관에서는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성 또한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정보공개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실태를 알아보고 개인정보 노출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한 원문정보 중 13%의 원문정보가 비공개 대상정보인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비공개 대상정보인 개인정보가 포함된 원문정보 중 공무원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원문정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휴가 병가에 관한 기록물이 많았다. 셋째, 계약업무를 주로 다루는 기관에서는 대표자 개인에 관한 정보가 노출되는 사례가 많았다. 넷째, 개인정보 필터링에 감지되지 않는 개인정보가 많았다. 개인정보 노출 원인을 분석하여 제안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보호지침을 재설계해야 한다. 둘째, 원문정보의 공개 비공개를 결정하는 업무담당자의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양적 실적 위주의 과도한 정보공개정책을 완화해야 한다. 넷째, 원문정보공개 시스템의 개인정보 필터링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provision of the original text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the time spent on determining the disclosure of the original text information decreased, and the number of original text information discl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ublic institutions, the risk of the exposure of persona...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공개 대상정보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본 연구에서 유의하여야 하는 부분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1항 6호 라목과 마목이다. 직무를 수행한 공무원의 성명․직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업무의 일부를 위탁 또는 위촉한 개인인 공무수탁사인(公務受託私人)의 성명․직업은 개인정보라도 비공개 대상정보에서 제외된다.
개인정보란? 『개인정보 보호법』 제2조 정의에 의하면 “개인정보”란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이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이나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 과 같은 다른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규에서도 유사하다.
개인정보 노출 감소를 위한 제안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개인정보 노출 원인을 분석하여 제안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보호지침을 재설계해야 한다. 둘째, 원문정보의 공개 비공개를 결정하는 업무담당자의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양적 실적 위주의 과도한 정보공개정책을 완화해야 한다. 넷째, 원문정보공개 시스템의 개인정보 필터링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o, Haksu et al. (2017). Methodology for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Medical Information. Seoul: Parkyeongsa. 

  2. Kim, Juyeong & Son, Hyeongseop (2012). Understand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Theory, Case and Commentary. Paju: Beopmunsa. 

  3. Moon, Jaewan (2016). The Right to be Forgotten: Ideal and Realization. Paju: Jipmoon. [ Academic Journal ] 

  4. Jeon, Juhyeon (2017). Practi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ased on Cases. Seoul: Information Publishing Group. 

  5. Menzi L Behrnd-Klodt (2015). Module 6: Balancing Access and Privacy in the Records of Organization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6. Kim, Jung-ae (2011). A Study on the Disclosure and Exemption of the Personal Dat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9, 225-268. 

  7. Noh, Younghee (2012). A Study on Developing and Proposing the Library Privacy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207-242. 

  8. Noh, Younghee & Kim, Tae-Kyung (2015). A Study on Developing Guideline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2), 25-61. 

  9. Youn, Eunha & Kim, Soojung (2015). Understanding the Freedom of Information (FOI) Work Process of Records Managers.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15(1), 7-28. 

  10. Lee, Il-se (2015). A Case Study on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Kangwon Law Review, 45, 145-210. 

  11. Lim, Jin-taek & Kim, Yang-woo (2015).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t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32(1), 85-108. 

  12. Jeon, Seul-bi & Kang, Soon-ae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16(1), 61-88. 

  13. Jeong, Daekyeong (2012). Comparative study of the privacy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2(4), 923-939. 

  14. Jung, Zin-Im & Kim, You-Seung (2014). Government 3.0 Era, Issues on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9, 45-72. 

  15. Jeong, Ha-myoung (2014). The Develop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nder the Korean Freedom of Information Act. Public Law, 42(3), 31-51. 

  16. Kim, Cheol-gon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ull-text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Hansin University. 

  17. Kim, Hye-Won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and Services for the Proactive Disclosure: Focused on the Staffs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Hansung University. 

  18. Park, Yong-Kyoon (2013). A Study on harmony of 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from the view of records man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9. Jun, Eun-Jung (2013). Study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through the Analysis of Global Acts & Legislations related to Personal Data Prote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20. Jeong, Min-yeong (2015). A Study on Institutional Analysis and Direction for the Activation of Original Text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Joongbu University. 

  21.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ublic Information Policy Division (2014). Original Text Information Disclosure Guidelines: Disclosure/Closure Classification Standard.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ublic Information Policy Division. 

  22.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General Services Division (2015). 2015 Disclosure of Information Business Manual.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General Services Division. 

  23. Korea.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2016 Annual Disclosure of Information Report. Seoul: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