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2, 2019년, pp.91 - 116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교의 성공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은 향후 폐교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새로 신축하는 것보다 폐교를 리모델링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에서 지역 내 도서관 수가 부족할 때 또는 지역주민들이 폐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을 희망할 때 폐교의 도서관으로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폐교 활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어, 폐교 운영 및 관리의 장애요인을 그룹핑하여 홍보적 운영적 물리적 측면 순으로 폐교 운영과 재활용 활성화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있어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현황과 지역주민의 요구가 맞아들고 있고, 폐교가 해당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 친화경 공간으로서 충분히 사용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도서관 또한 지역주민들의 기초적인 문화시설 공간으로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다른 복합문화공간, 전시관을 활용한 도서관, 친환경 도서관 등을 추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the direction of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mong local resident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successful use of closed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ide...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폐교의 활용 유형과 유사한 측면에서 현재 재활용되고 있는 폐교 시설이 지역주민들의 교육 활동, 경제·소득 활동 등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은 설문 응답자의 특성과 분포도를 파악하기 위해 성별, 연령, 거주지를 조사하였으며, 거주 지역과 폐교 및 도서관 간의 이동 거리를 통해 해당 지역 내의 폐교의 접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이용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나머지 문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측면에서 지역주민의 인지도와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 첫째, 해당 권역에서 폐교, 미활용 폐교 등 각각의 수가 많은 지역, 즉 해당 권역의 활용 및 미활용 폐교 수가 상위 3위 안에 포함되는 지역을 선택하여 지역주민이 폐교와 관련하여 보다 많이 인지하고 있을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둘째, 권역 내 활용 지역의 경우, 폐교의 수와 함께 자체활용과 활용 모두가 많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활용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지역에서 설문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셋째, 5개의 권역 중 충청권을 한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 더불어, 이러한 이용자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나머지 문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측면에서 지역주민의 인지도와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지역 폐교의 현황은 현재 폐교의 활용 유형, 활용 주체, 지역주민의 활동과의 관련성, 만족도, 지역주민 의견의 반영정도, 폐교 활용에 대한 관심도, 장애요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주체 파악, 혜택 및 이점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폐교 발생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활용 및 운영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함으로써 폐교와 관련한 지역 주민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반영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의 건립 및 운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핵심적인 근거를 제안하고자 하였고, 이와 함께 폐교 재산에 대한 인식 제고와 폐교 활용 활성화를 통한 가치 창출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폐교 발생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앞서 폐교 활용 현황, 폐교 활용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 수렴과 분석 등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 문항 구성, 연구 조사 및 분석 방법 등을 참조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 내 폐교에 대한 현황, 활용 방향, 도서관의 폐교 활용에 대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안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도서관의 활용 체계, 네트워크, 리모델링 요소 등 실질적으로 현장 측면에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는 폐교 발생 또는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폐교 활용 방향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고, 이를 위해 지역주민이 지역 내 폐교 발생여부, 활용 또는 미활용 여부, 운영 및 관리 현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폐교를 도서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폐교 발생 지역의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실태,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을 조사하였다. 설문 대상은 폐교가 발생되는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는 지역주민을 미래 도서관의 잠재적 이용자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폐교 발생 지역주민의 요구사항과 폐교 활용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지역 폐교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폐교재산에 대한 인식 제고와 폐교 활용 활성화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충청권에서 폐교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지역에 직접 방문하여 해당 지역 또는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활용 및 운영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 폐교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해당 권역에서 폐교 및 미활용 수가 많은 지역, 즉 해당 권역의 활용 및 미활용 폐교 수가 상위 3위 안에 포함되는 지역을 선택하였으며, 더불어 폐교 발생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폐교 활용 시에 실질적으로 혜택 대상이 되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설문 대상의 범위 및 특성에 따라본 연구의 설문 응답자들의 폐교 및 도서관에 대한 접근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2.
  • 설문조사는 앞서 선정한 폐교 발생 지역 또는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응답자들이 폐교에 대하여 한번쯤 접해 보고 생각해볼 수 있는 지역주민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3월 1일∼30일까지 1개월 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총 152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2004)은 농촌지역 미활용 폐교를 농촌주민의 요구에 적합한 노인복지시설 및 주민 커뮤니티센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1단계 연구로 농촌지역 거주자들의 생활패턴과 지역시설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폐교를 주민들의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주민커뮤니티센터로 계획하여 건강, 의료, 복지, 부업제공, 생활편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생활에 대한 공적보조가 필요한 농촌노인들이 단기·장기로 거주할 수 있는 노인복지시설을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와 같은 시설이 농촌 주민과 노인의 복지 및 경제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폐교 발생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활용 및 운영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함으로써 폐교와 관련한 지역 주민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반영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의 건립 및 운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핵심적인 근거를 제안하고자 하였고, 이와 함께 폐교 재산에 대한 인식 제고와 폐교 활용 활성화를 통한 가치 창출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충청권에서 폐교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지역에 직접 방문하여 해당 지역 또는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활용 및 운영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 폐교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를 전체적으로 조사해 보았을 때 도서관의 폐교 활용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특히 5개의 권역 중 충청권의 폐교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폐교 발생 지역의 도서관의 폐교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한 연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권 폐교 활용 현황과 해당 지역 주민의 요구와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폐교를 도서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이와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통해서 폐교 발생 지역의 주민들이 도서관과 폐교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참조).
  • 다음으로 본 연구는 연구질문으로 ‘폐교를 활용하는 방향에 차이를 주는 요인을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지역 내 위치한 폐교를 활용하는 방향에 있어 성별 또는 연령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준다면 어떠한 차이점과 시사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지역 폐교의 활용 또는 혜택 측면, 폐교의 도서관 활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에 따라서는 <표 16>과 같은 인식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지역주민들이 향후 폐교가 어떠한 형태와 유형으로 활용되기를 희망하는지를 파악하여, 증가하는 폐교의 활용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폐교 발생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폐교 활용 현황과 폐교 활용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지역주민 의견기반 도서관으로의 폐교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종합적 요구를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처럼 폐교는 혁신적·도전적 공간으로 변신할 수 있다. 혁신적인 형태의 공간 및 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은 폐교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환경과 여건을 활용하여 공간적인 면과 제공하는 서비스 측면에서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재창조가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교의 활용 중 도서관 분야에서의 활용은? 때문에 폐교의 활용은 폐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행정, 경영, 건축, 문화․예술, 도서관, 관광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폐교 활용과 관련된 연구를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서관 분야에서도 지혜의 바다, 책읽는별난독서캠핑장 등 최근 폐교의 장점 및 이점을 활용한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모습․구조․기능으로 이용자들의 지적 및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이처럼 폐교의 활용방안은 무궁무진하며 지역의 문화․경제․복지 거점지역으로서의 성장가능성을 품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의 원인은?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의 확산에 따른 인구수 감소, 도시 및 상공업 중심의 국가발전으로 인한 이농의 가속화, 사회양극화 심화 등의 악순환으로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의 확대, 신설 대체 학교 이전 등은 폐교 및 유휴시설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미활용되고 있는 폐교의 관리 실정은? 이와 함께 정부의 학교 통폐합 권고 기준의 확대, 신설 대체 학교 이전 등은 폐교 및 유휴시설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미활용되고 있는 폐교는 관리 및 유지비용만 매년 수억 원이 소요되고 있으며, 증가하는 폐교 건물과 부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활용 계획의 부재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ang, Deok Lim, Cho, Sung Kwan and Lee, Hak Ki. 2011. "A Study on the Use of Closure Facilities: Focused on Busan and Kyungnam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Science, 59-62. 

  2. Noh, Younghee and Ro, Ji-Yoon. 2018.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4): 77-106. 

  3. Noh, Younghee and Ro, Ji-Yoon. 2019. "A Study on Improved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the Librar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losed Area: Based on the analysis of area where closed school occurs through the Socioeconomic Index."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1): 157-176. 

  4. Ma, Sang-jin. 2010. "How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Closed Rural Schools." Policy research report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08. 

  5. Park, Kyoung-Ok, Cho Hyun-Ju and Lee, Sang-Un. 2004.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Rural Area as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ommunity Center: Life Pattern and Use of Facilities of Rural Resid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 49-58. 

  6. Yang, Tae-Ho. 2008. The feasible analysis for the welfare facility of old people with a closed school in a farming village. M.A. thesis, Major in Real Estate Construction &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KonKuk University. 

  7. Lee, Sang-Mi. 2015. "Effects of Korean Wave on Chinese Tourist's Korean Food Recogni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5): 515-522. 

  8. Rhee, Sang Young, Kim, Eun Ja and Kim, Young. 2008. "Utilization of Abolished School Planning for Reinvigorating the Rural Econom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2): 439-461. 

  9. Lee, Chang-sik. 1999.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ural Closed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Rural Guidance Association, 6(1): 55-73. 

  10. Lee, Hee-Yul and Jung, Hye-Lyun. 2012. "The Study on the Effect of Fair Trade Products' Awareness and Franchise Corporate' Image Using Fair Trade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FoodService Industry Journal, 8(1): 187-209. 

  11. Chung, Ji-Young. 2002. "A Study on the Using Methodology for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2(2): 47-50. 

  12. Cho, Jung Hwan. 2006. Legal Review on the Use of the Property of Closed School.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Law Affairs-Public, Daejin University. 

  13. Choi, Jae-Pil, Lee, Yun-Jae, Ryu, Jeong-Won, Byun, Na-Hyang and Moon, Guen-Jong. 2010. "School Conversion Strategy for Affordable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3): 3-11. 

  14. Han, Sang Woo. 2008. "The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Policy focus issue analysis, 1-37. 

  15. Noh and Ahn. 2018.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 Libraries and Library Eco-friendli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1): 5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