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진세노사이드 Rb1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양상
Gene Expression Profiling by Ginsenoside Rb1 in Keratinocyte HaCaT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5 = no.229, 2019년, pp.514 - 523  

이동우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정민 (제노플랜코리아(주) 유전체분석팀) ,  방인석 (호서대학교 생명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Rb1이 처리된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microarray 분석 및 발현이 증가된 세포사멸 반응에 대한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HaCaT 세포에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로 세포사멸, 유사분열 세포주기의 G2/M 전이, 세포분열, 핵분열, 그리고 단백질 수송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수선, 감수 핵분열, 그리고 세포외기질 체계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2 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사멸 신호전달은 FAS와 PLA2G4A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로 STAT3가 예측되었다. 세포사멸 반응 경유 유전자 FAS와 PLA2G4A의 활성을 qPCR로 확인한 결과, FAS 유전자는 $10{\mu}g/ml$의 진세노사이드 Rb1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약 2 배의 발현 증가와, PLA2G4A 유전자는 6시간 처리부터 약 2 배로 증가되어 24시간 동안 처리시 2 배 이상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STAT3-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FAS의 발현 감소와 PLA2G4A의 발현 증가로 상위 조절자 STAT3로부터 FAS 만을 경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에 의해 상위 조절자인 STAT3는 FAS를 경유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an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apoptotic response by microarray analysis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b1, a saponin of Panax ginseng C. A. Meyer. Genes related to apoptosis, the G2/M transition of the mitotic cell cycl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진세노사이드 Rb1에 대한 사람유래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의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microarray 분석을 통하여 세포사멸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 및 이들의 상위 조절자(upstream regulator)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이란? A. Meyer)은 오가피 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숙근초로써, 다양한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생약재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써 각광을 받고 널리 사용되어 왔다[21, 25]. 인삼의 주요 유효성 분은 인삼 사포닌 즉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항암, 면역 증강, 혈압강화, 혈당강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 매우 다양한 약리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10, 34, 36].
담마란계 사포닌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진세노사이드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의 담마란(dammarane)계 사포닌이다[22]. 담마란계 사포닌은 비당(aglycone) 부분의 수산기(-OH) 수에 따라 2개인 경우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PD)계 사포닌, 3개인 경우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PT)계 사포닌으로 분류된다[30]. PPD계 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Ra1, Ra2, Ra3, Rb1, Rb2, Rc, Rd, Rg3, Rg5 Rh2 등이 있고, PPT계 사포닌에는 진세 노사이드 Re, Rf, Rg1, Rg2, Rh1, Rh4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14, 27].
메이저 진세노사이드인 Rb1은 생체 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 진세노사이드 Rb1은 PPD계의 메이저 진세노사이드로 중추신경 억제, 최면, 진통, 정신 안정, 해열, 혈청단백질 합성촉진, 중성지방 분해억제, 합성촉진(인슐린 유사), 콜레스테롤 생합성촉진, 플라스민 활성화, RNA 합성촉진, 호르몬 분비촉진 작용 등의 다양한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23]. 또한 피부의 노화 및 손상에 관련된 연구로 진세노사이드는 Rb1은 UVB가조사된 무모 생쥐의 피부 두께, 주름 및 표피의 증가를 억제시켰으며[15], 이러한 피부 변화에 대한 효과 및 약리적 작용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주로 사람유래 피부각질 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였다[17]. 이와 같이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연구는 그 효과 측면에서 주로 연구가 집중되었으나 이런 효과가 어떤 작용기전을 통해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ttele, A. S., Wu, J. A. and Yuan, C. S. 1999. Ginseng pharmacology:multiple constituents and multiple actions.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2. Chim, C. S., Fung, T. K., Cheung, W. C., Liang, R. and Kwong, Y. L. 2004. SOCS1 and SHP1 hypermethylation in multiple myeloma: implications for epigenetic activation of the JAK/STAT pathway. Blood 103, 4630-4635. 

  3. Cho, W. J., Yoon, H. S., Kim, Y. H., Kim, J. M., Yoo, I. J., Han, M. D. and Bang, I. S. 2013. Cytoprotective effect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bserved base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J. Life Sci. 23, 989-997. 

  4. Choi, E. O., Kwon, D. H., Hwang, H. J., Kim, K. J., Lee, D. H. and Choi, Y. H. 2018.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socheongja and socheong 2, Korean black seed coat soybean varietie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 J. Life Sci. 28, 454-464. 

  5. Choo, M. K., Sakurai. H., Kim. D. H. and Saiki, I. 2008. A ginseng saponin metabolite suppresses tumor necrosis factor-alpha-promoted metastasis by suppressing nuclear factor-kappaB signaling in murine colon cancer cells. Oncol. Rep. 19, 595-600. 

  6. Degterev, A., Boyce, M. and Yuan, J. 2003. A decade of caspases. Oncogene 22, 8543-8567. 

  7. Deng, G., Su, J. H., Ivins, K. J., Van Houten, B. and Cotman, C. W. 1999. Bcl-2 facilitates recovery from DNA damage after oxidative stress. Exp. Neurol. 159, 309-318. 

  8. Fung, C. K., Xi, N., Yang, R., Seiffert-Sinha, K. K., Lai, W. and Sinha, A. A. 2011. Quantitative analysis of human keratinocyte cell elasticit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IEEE Trans. Nanobioscience 10, 9-15. 

  9. Halliwell, B., Gutteridge, J. M. C. and Cross, C. 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 598-620. 

  10. Hasegawa, H. 2004. Proof of the mysterious efficacy of ginseng:basic and clinical trials: metabolic activation of ginsenoside:deglycosylation by intestinal bacteria and esterification with fatty acid. J. Pharmacol. Sci. 95, 153-157. 

  11. Hengartner, M. 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6. 

  12. Im, J. Y., Kim, B. K., Lee, J. Y., Park, S. H., Ban, H.S., Jung, K. E. and Won, M. 2018. DDIAS suppresses TRAIL-mediated apoptosis by inhibiting DISC formation and destabilizing caspase-8 in cancer cells. Oncogene 37, 1251-1262. 

  13. Inghirami, G., Chiarle, R., Simmons, W. J., Piva, R., Schlessinger, K. and Levy, D. E. 2005. New and old functions of STAT3: a pivotal target for individualized treatment of cancer. Cell Cycle 4, 1131-1133. 

  14. Kim, B. G., Choi, S. Y., Kim, M. R., Suh, H. J. and Park, H. J. 2010. Changes of ginsenosides in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M1. Process Biochem. 45, 1319-1324. 

  15. Kim, G., Sumiyoshi, M., Sakanaka, M. and Kimura, Y. 2009. Effects of ginseng saponins isolated from red ginseng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aging in hairless mice. Eur. J. Pharmacol. 602, 148-156. 

  16. Kim, H., Suh, J. M., Hwang, E. S., Kim, D. W., Chung, H. K., Song, J. H., Hwang, J. H., Park, K. C., Ro, H. K., Jo, E. K., Chang, J. S., Lee, T. H., Lee, M. S., Kohn, L. D. and Shong, M. 2003. Thyrotropin-mediated repression of class II trans-activator expression in thyroid cells: involvement of STAT3 and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J. Immunol. 171, 616-627. 

  17. Kimura, Y., Sumiyoshi, M. and Sakanaka, M. 2012.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skin changes. J. Biomed. Biotechnol. 2012, 1-11. 

  18. Kramer, A., Green, J., Pollard, J. Jr. and Tugendreich, S. 2014. Causal analysis approaches in ingenuity pathway analysis. Bioinformatics 30, 523-530. 

  19. Krammer, P. H., Arnold, R. and Lavrik, I. N. 2007. Life and death in peripheral T cells. Nat. Rev. Immunol. 7, 532-542. 

  20. Lee, C. H. and Kim, J. H. 2014. A review on the medicinal potentials of ginseng and ginsenosides on cardiovascular diseases. J. Ginseng Res. 38, 161-166. 

  21. Lee, J. O., Choi, E., Shin, K. K., Hong, Y. H., Kim, H. G., Jeong, D., Hossain, M. A., Kim, H. S., Yi, Y. S., Kim, D., Kim, E. and Cho, J. Y. 2019. Compound K, a ginsenoside metabolite, plays an antiinflammatory role in macrophages by targeting the AKT1-mediated signaling pathway. J. Ginseng Res. 43, 154-160. 

  22. Lee, Y. M., Yoon, H., Park, H. M., Song, B. C. and Yeum, K. J. 2017. Implications of red Panax ginseng in oxidative stress associated chronic diseases. J. Ginseng Res. 41, 11311-119. 

  23. Lu, J. M., Yao, Q. and Chen, C. 2009. Ginseng compounds:an update on their molecular mechanisms and medical applications. Curr. Vasc. Pharmacol. 7, 293-302. 

  24. Mitchell, T. J. and John, S. 2005.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signalling and T-cell lymphomas. Immunology 114, 301-312. 

  25. Namgoong, S., Lee, H., Han, S. K., Lee, H. W., Jeong, S. H. and Dhong, E. S. 2019.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the activity of diabetic fibroblasts in vitro. Int. Wound J. 16, 737-745. 

  26. Park, J. H., Lee, Y. H., Kang, K. S., Lee, S. K., Kim, S. Z., Park, J. Y., Kwak, E. K. and Sohn, Y. K. 2004. The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the apoptosis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Rat C6 glioma cells. Kor. J. Pathol. 38, 1-7. 

  27. Park, S.E., Na, C. S., Yoo, S. A., Seo, S. H. and Son, H. S. 2017. Biotransformation of major ginsenosides in ginsenoside model culture by lactic acid bacteria. J. Ginseng Res. 41, 36-42. 

  28. Park, Y. J., Park, E. S., Kim, M. S., Kim, T. Y., Lee, H. S., Lee, S., Jang, I. S., Shong, M., Park, D. J. and Cho, B. Y. 2002. Involvement of the protein kinase C pathway in thyrotropin-induced STAT3 activation in FRTL-5 thyroid cells. Mol. Cell Endocrinol. 194, 77-84. 

  29. Richter, C., Gogvadze, V., Laffranchi, R., Schlapbach, R., Schweizer, M., Suter, M., Walter, P. and Yaffee, M. 1995. Oxidants in mitochondria: from physiology to diseases. Biochim. Biophys. Acta. 1271, 67-74. 

  30. Shibata, S. 2001. Chemistry and cancer preventing activities of ginseng saponins and some related triterpenoid compounds. J. Kor. Med. Sci. 16, 28-37. 

  31. Shin, J. E., Park, E. K., Kim, E. J., Hong, Y. H., Lee, K. T. and Kim, D. H. 2003. Cytotoxicity of compound K (IH-901) and ginsenoside Rh2, main biotransformants of ginseng saponins by bifidobacteria, against some tumor cells. J. Ginseng Res. 27, 129-134. 

  32. Simmler, C., Antheaume, C. and Lobstein, A. 2010. Antioxidant biomarkers from vanda coerulea stems reduce irradiated HaCaT PGE-2 production as a result of COX-2 inhibition. PLoS One 5, 1-9. 

  33. Wakabayashi, C., Murakami, K., Hasegawa, H., Murata, J. and Saiki, I. 1998. An intestinal bacterial merabolite of ginseng protopanaxadiol saponins has the ability to induce apoptosis in tumo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6, 725-730. 

  34. Yayeh, T, Jung, K. H., Jeong, H. Y., Park, J. H., Song, Y. B., Kwak, Y. S., Kang, H. S., Cho, J. Y., Oh, J. W. and Kim, S. K., et al. 2012. Korean red ginseng saponin fraction down regulate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PS stimulated RAW264.7 cells and protects mice against endotoxic shock. J. Ginseng Res. 36, 263-269. 

  35. Yoon, J. J., Jeong, J. W., Choi, E. O., Kim, M. J., Hwang-Bo, H., Kim, H. J., Hong, S. H., Park, C., Lee, D. H. and Choi, Y. H. 2017. Protective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apoptosis in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 EXCLI J. 16, 426-438. 

  36. Zhang, G., Xia, F., Zhang, Y., Zhang, X., Cao, Y., Wang, L., Liu, X., Zhao, G. and Shi, M. 2016. Ginsenoside Rd is efficacious against acute ischemic stroke by suppressing microglial proteasome-mediated inflammation. Mol. Neurobiol. 53, 2529-25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