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시설 아동의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연구:아동 행동평가 척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Persistence of Therapy Program Effectiveness in Foster care : Focusing on K-CBCL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8 no.2, 2019년, pp.55 - 66  

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복지학과) ,  신민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 재활 지원사업에 참여 한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업이 종료 된 9개월 후에도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6년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 재활 사업에 참여하였던 아동, 청소년 중 120명을 대상으로 아동 행동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2016년 5월~6월), 사후(2016년 10월~12월), 추후(2017년 9월)평가를 실시하였다. 문제행동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ANOVA(Repeated Me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미취학과 중 고등학생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추후에 치료효과가 유지되었다. 초등학생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추후에 더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미취학, 초등학생, 중 고등학생 모든 집단에서 치료효과가 치료 종결 9개월 후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s sustainable 9 months after project completion fo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childcare and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phases: pre-(2...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지원 사업에 참여한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업이 종료 된 9개월 이후에도 치료효과가 유지되는지 장기적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 행동평가 척도는 무엇인가? 아동 행동평가 척도는 양육자가 유아,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여 문제행동 위험군을 조기 선별하고 진단에 활용하기 위한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종사자가 아동의 문제행동 정도와 프로그램 개입후의 변화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대상 아동의 연령에 따라 K-CBCL 1.
아동복지시설 입소 아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부모의 사망, 이혼 등 가족의 해체로 인해 원가족과 함께 생활할 수 없는 아동,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대표적인 대리적 보호서비스는 시설보호이다. 아동복지시설 입소 아동은 부모에게 받았던 학대라는 외상적 경험을 지니거나, 부모와 분리되어 시설이라는 불안정한 환경에서 살게 되면서,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공격성 등 심리·정서적으로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해 부적응적인모습을 더 많이 나타내며, 이는 즉각적이면서도 장기적으로 아동의 발달과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Bruskas, 2008; Lee, 2005).
시설에서 양육 보호를 받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사업은 무엇인가? 이에 한국아동복지협회와 보건복지부는 2013년부터 전국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유아, 아동, 청소년 중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치료재활 사업을 실시해 왔다. 매년 5월에 종합심리검사 후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선별된 대상은 5월부터 12월까지 치료적 개입프로그램(상담치료, 놀이치료, 미술치료, 인지치료, 언어치료, 음악치료)에 참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신현균 & 원호택. (1998). 신체화 집단의 신체감각에 대한 해석편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8(1), 93-108. 

  2.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3.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1). Manual for the ASEBA school-age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4. Athanasiou, M. S., & Gunning, M. P. (1999). Filial therapy: Effects on two children's behavior and mothers' stress. Psychological Reports, 84(2), 587-590. doi:10.2466/pr0.84.2.587-590 

  5. Bruskas, D. (2008). Children in foster care: A vulnerable population at risk.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21(2), 70-77. doi: 10.1111/j.1744-6171.2008.00134.x 

  6. Child Welfare Association &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5).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child welfare institution for children in 2015 supported a pilot projec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 Child Welfare Association &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6).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child welfare institution for children in 2016 supported a pilot projec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Child Welfare Association &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7).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child welfare institution for children in 2017 supported a pilot projec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9. Choi, J. W., & Choi, S. N.(2013).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5), 943-964. 

  10. Kim, S., & Ha, E. H. (2011).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distor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trait-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4(2), 57-71. 

  11. Kim, Y. A., Lee, J., Moon, S. J., Kim, Y. J., & Oh, K. J. (2009).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1), 117-136. doi:10.15842/kjcp.2009.28.1.007 

  12. Lee, M. H. (2000). Effects of human potential seminar on the mental health and self - concept among juvenile delinqu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9(1), 5-19. 

  13. Lee, H. S. (2005). Effects of foster family functioning on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Mater's thesis). Pusan University, Pusan. 

  14. Lim, E. S., & Jang, S. C. (2016).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12(3), 281-301. 

  15. McMillen, J. C., Zima, B. T., Scott, J., L. D., Auslander, W. F., Munson, M. R., Ollie, M. T., ... Spitznagel, E. L. (2005).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older youths in the foster care system.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1), 88-95. doi: 10.1097/01.chi.0000145806.24274.d2 

  16. Oh, K. J., Kim, Y. J., Ha, E. H., Lee, H. R., & Hong, K. E. (2010).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 CBCL 6-18. Seoul: Huno. 

  17. Park, K. H. (2013).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improving sociality and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the school.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Healing Arts, 3, 95-168. 

  18. Zlotnick, C., Tam, T. W., & Soman, L. A. (2012). Life course outcome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impact of foster care on adulthood.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3), 534-540. doi:10.2105/ajph.2011.300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