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35 - 47  

이예원 (경인여자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  이은성 (경인여자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여자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상관관계분석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인천지역의 전문여대 신입생들 178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을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적응 및 학업 지도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o verify the impact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rocess in which academic stress of college freshman are affected in adjustment to college. For this,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processes were verified thro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경우 불안, 후회, 불만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들을 경험하게 되며 비생산적인 사고를 하여 사회, 국가적으로도 인적자원개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1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학생에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인 대학생활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4],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그 과정 중 스트레스 완충모델에 따라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감사와 학업적자기효능감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 학년으로 대상을 확장하고, 학기 초 적응과 더불어 장기적인 학교적응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긍정정서인 감사성향이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인지·행동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감사성향이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정서표출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도 흥미로울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인천에 있는 전문여자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업스트레스,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경로와 간접적인 경로를 설정하여 이론적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 이것은 감사가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중 학업적인 측면에서의 스트레스와 감사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긍정정서의 효과는 장기적으로 개인의 심리적 질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에 따라 학습이라는 부분에서 감사라는 긍정정서가 축적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감사가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학업적자기효능감을 통해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Howells(2004, 2012)는 사례연구를 통해 감사가 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감사는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9][30].
  • 감사(Gratitude)는 최근 긍정심리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며, 개인 특성으로서 심리적 자원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6].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감사와 학업적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Fredrickson(1998)의 긍정정서의 확장-축적 이론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확장-축적 이론은 주요한 두 가지 가설을 포함한다[7].
  • 자기효능감 중에서 학업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정의는 학업상황에서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행동들을 해나가면서 주어진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믿음이다[33].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자기효능감을 학업상황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하였다.
  • Runini와 Vescovelli(2013)는 감사를 타인으로부터 가치 있는 어떤 것을 받았을 때 느끼는 긍정적 감정으로 정의했으며[20], McCullough 등(2002)은 자신이 획득한 긍정적인 경험에서 타인의 기여를 인식하고 고마움을 느끼는 정서 상태의 일반화된 경향성을 “감사성향(gratitude disposition)”이라고 지칭하였다[21]. 본연구에서는 자신의 경험에서 타인으로부터 도움이나 혜택 받은 것에 대하여 고마움을 느끼는 정서로 정의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들을 문항 합산하여 각 변수마다 적합한 지표변수를 새로 생성한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에는 하위변인이 존재하나, 본 연구에서는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단일차원으로 간주 후 요인부하량이 균등하게 되도록 문항묶음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 이 과정에서 과제, 발표나 시험 등과 같은 학업수행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겪는 경우가 많다[4].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4],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그 과정 중 스트레스 완충모델에 따라 학업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감사와 학업적자기효능감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남성에 비해 여성의 취업난이 심각한 상태이며 좋은 일자리 취업 비율 역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낮아,여성이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데 있어 준비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70]. 효과적인 교육과 취업 준비를 위해 대학에서의 적응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가설 설정

  • 확장-축적 이론은 주요한 두 가지 가설을 포함한다[7]. 첫째로 긍정정서가 주의와 사고를 확장한다는 것이다. 긍정정서는 새로운 경험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강화하였으며[8], 주어진 자극들을 재구성하고 문제해결에 효과적인 대처행동들을 촉진하였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문대는 어떠한 교육기관인가? 우리나라의 전문대는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가르쳐 사회의 여러 분야에 필요한 전문적인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다. 교육부 공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148개교로 현재 대한민국에서 고등교육기관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전문대의 교육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 전문대의 교육과정은 대부분 전공과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하여 교양수업이 적고, 4년제에 비해 짧은 교육 기간 동안 필요한 지식과 자격증이나 면허를 습득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과제, 발표나 시험 등과 같은 학업수행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겪는 경우가 많다[4].
본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감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Fredrickson(1998)의 긍정 정서의 확장-축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이론이 포함한 두 가지 가설은 무엇인가? 확장-축적 이론은 주요한 두 가지 가설을 포함한다[7]. 첫째로 긍정정서가 주의와 사고를 확장한다는 것이다. 긍정정서는 새로운 경험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강화하였으며[8], 주어진 자극들을 재구성하고 문제해결에 효과적인 대처행동들을 촉진하였다[9]. 또한 긍정정서의 경험은 단순한 사건의 결과가 아니라 인지적 확장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자원을 축적할 수 있다는 가설이 두 번째 ‘축적 가설’ 이다. 긍정정서의 효과는 장기적으로 개인의 심리적 질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에 따라 학습이라는 부분에서 감사라는 긍정정서가 축적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감사가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 김효은, 김기원,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교우관계의 영향력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패션비지니스, 제15권, 제3호, pp.87-110, 2011. 

  3. 김성은 "전문대학 부적응학생들의 대학의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제17권, pp.217-225, 2008. 

  4. 고명주, 최보영,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6호, pp.81-104, 2017. 

  5. 셀러그만,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김안자 옮김) , 물푸레, 2009. 

  6. R. Emmons and M. McCullough,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77-389, 2003. 

  7. B. L. Fredrickson and R. W. Levenson, "Positive emotions speed recovery from the cardiovascular sequelae of negative emotions," Cognition and Emotion, Vol.12, pp.191-220, 1998. 

  8. B. Kahn and A. Isen,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on varieth seeking among safe, enjoyable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2, pp.257-270, 1993. 

  9. B. L. Fredrickson and C. Branigan,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ires," Cognition and Eomtion, Vol.19, No.3, pp.313-332, 2005. 

  10. A. Bandura, "Insight. Self-efficacy," Harvard Mental Health Letter, Vol.13, No.9, pp.4-6, 1997. 

  11. S. M. Gattuso, M. D. Litt, and T. E. Fiterald, "Coping with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lf efficacy enhancement and coping sty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0, pp.133-139, 1992. 

  12.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No.2, pp.179-189, 1984. 

  13.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3호, pp.589-607, 2008. 

  14. 박은민, 대학생활 적응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5. 박병기, 박선미,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563-585, 2012. 

  16.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pp.215-237, 2003. 

  17. 최효진, 이은주,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61-268, 2012. 

  18. 이혜성, "대학생 문제집단 및 해결행동 체크리스트제작연구," 학생생활연구, 제25권, pp.42-103, 1989. 

  19. 노지혜, 이민규,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30권, 제1호, pp.159-183, 2011. 

  20. Ruini, Chiara and Vescovelli, Francesca, "The Role of Gratitude in Breast Cancer: Its Relationships with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4, No.1, pp.263-274, 2013. 

  21. M. E. McCullough, R. A. Emmons, and J. Tsang, "The grateful disposit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logy, Vol.82, pp.112-127, 2002. 

  22. P. C. Watkins, K. Woodward, T. Stone, and R. L. Kolts, "Gratitude and h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 and International Journal, Vol.31, No.5, pp.431-451, 2003. 

  23. T. B. Kashdan, G. Uswatte, and T. Julian,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rera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No.2, pp.177-199, 2006. 

  24. 심은진,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오혜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6. P. C. Watkins,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sychology of gratitude 167, 2004. 

  27. 허정철,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74-784, 2016. 

  28. 김희경, 심현옥, 문숙남, 이정민, "감사증진프로그램이 생도들의 감사성향, 행복감,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제32권, 제2호, pp.69-81, 2014. 

  29. K. Howells, "The role of gratitude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Vol.27, pp.164-173, 2004 

  30. K. Howells, Gratitude in Education: A Radical View, Rotterdam: Sense Publishers, 2012. 

  31. D. Rey, The relationship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to self-efficacy and control of learning beliefs among college student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Americ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9. 

  32. 송윤희,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09-128, 2015. 

  33.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n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34. 김지영, 김은지, 김정섭,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사고개발, 제14권, pp.53-73, 2018. 

  35. 민경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 연구 -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통합치료연구, 제7권, 제1호, pp.5-31, 2015. 

  36. 김명희, 하정희,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열린교육학회, 제14권, 제3호, pp.57-79, 2006. 

  37. 박선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8. 정수진, 김도연, "중학생이 지각한 학업적자기효능감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지원학회, 제5권, 제2호, pp.167-181, 2016. 

  39. 이숙정, 유지현, "여대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제48권, 제2호, 2009. 

  40. K. G. Joreskog and D. Sorbom,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Chicago, IL: SPSS, 1989. 

  41. 오미향, 천성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제15권, pp.63-95, 1994. 

  42. 김혜자,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자아존준감과 사회문제해결력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3.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1호, pp.177-190, 2006. 

  44.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호, pp.95-123, 2001. 

  45. 김효원, 가족체계유형 및 진로결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6. T. D. Little, W. A. Cunningham, G. Shahar, and K. F. Widaman,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9, No.2, p.151, 2002. 

  47.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48.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992. 

  49.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0. 

  50.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4호, pp.1147-1168, 2010. 

  51.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硏究, 제22권, 제1호, pp.23-33, 2014. 

  52. H. J. Yang,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 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Vol.24, No.3, pp.283-301, 2004. 

  53. 강미진,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4. 전원희, 이소영, 이기령,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1권, 제3호, pp.528-539, 2017. 

  55. 좌현숙,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l호, pp.334-366, 2014. 

  56. Y. Zhang, Y. Gan, and H. Cham,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3, No.6, pp.1529-1540, 2017. 

  57. R. W. May, K. N. Bauer, and F. D. Fincham, "School burnout: Diminished academic and cognitive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2, pp.126-131, 2015. 

  58. 김아영, 차정은, 강한아, 임경민, 전현아, 조혜령, 석혜은,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543-562, 2012. 

  59. 정주영,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29-152, 2012. 

  60. 김유리, 이희경,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을 매개로," 학생생활연구, 제25권, pp.19-35, 2012. 

  61. 나은영, 감사성향이 직문스트레스에 의한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조절하는가? : 직업재활 중인 만성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2.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191, 1977. 

  63. P. C. Watkins, D. L. Grimm, and L. Hailu, Counting your blessings: Grateful individuals recall more positive memories , In 11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Denver, CO, USA, 1998. 

  64.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27-337, 2012. 

  65. 장경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6권, 제1호, pp.185-196, 2005. 

  66. D. H. Schunk,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Differential effects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5, No.6, p.848, 1983. 

  67. 정미란, 감사성향 증진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8. 박선민, 김아영, "감사일지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pp.347-369, 2014. 

  69. 허현자,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0. 강민정, "대학일자리센터 여대생 프로그램 실효성 증대를 위한 제안," ISSUE PAPER, pp.1-7,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