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815 - 824  

서명자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조선대학교) ,  오진주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248 nursing colleg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4)

  1. 조호진, 이종율,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7-38, 2014. 

  2.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5) 2015학년도대학생활의견조사(학부). 서울대학교, http://snucounsel.snu.ac.kr/board/boardDataView.do 

  3. 박병기, 박선미,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2호, pp.563-585, 2012. 

  4. 민소영,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경험," 정신간호학회지, 제15권, 제42호, pp.409-419, 2006. 

  5. 최숙경, "일개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 디지털콘텐츠학회, 제20권, 제4호, pp.807-815, 2019. 

  6. 박필남,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9호, 제1권, pp.1-10, 2016. 

  7. 윤순영, 민신홍,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2호, pp.395-403, 2014. 

  8. 김지현,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박진화,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수신뢰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7호, pp.831-844, 2016. 

  10. 정효주, 채민정,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8호, pp.403-417, 2018. 

  11. 전소연,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건강상태,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3-115, 2010. 

  12. 유경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25-135, 2019. 

  13. 이미라, 김미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사로서의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9권, 제6호, pp.197-208, 2018. 

  14. 최윤하, 채민정,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8호, pp.419-432, 2018. 

  15.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한스트레스학회, 제22권, 제10호, pp.23-33, 2014. 

  16.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제14호, 제2권, pp.15-27, 2013. 

  17. 김지영, 김우리, 손윤실, 김정섭,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3호, pp.603-619, 2018. 

  18. 오지연,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자기 효능감, 소진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9. 박신영,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0.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21. 유은경, 설현수, "사회적지지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 조사연구, 제16권, 제1호, pp.155-184, 2015. 

  22. 홍해숙, 김현영,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임상실습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6권, 제2호, pp.221-234, 2016. 

  23. 이명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간의 관계," 아시아문화학술원, 제9권, 제4호, pp.1605-1620, 2018. 

  24. 이숙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극복력의 매개효과,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5. 박순미, 박정연, 김판길, "보건.복지계열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과논문지, 제18권, 제9호, pp.684-695, 2018. 

  26. 고미숙,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80-291, 2015. 

  27. 안현선, 김은진. 김원식,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업적응취약계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수준변화 연구," 한국교육방법연구, 제132권, 제1호, pp.137-161, 2020. 

  28. 김나미, 김효원, "대학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동료 멘토링 활용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2호, pp.455-466, 2015. 

  29.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219-228, 2015. 

  30. 곽윤경,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178-2186, 2013. 

  31. 안민정, 강아연, 김율아, 김민지, 김예림, 김혜원, 나예슬, 황윤영,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연구: 학년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13-123, 2017. 

  32. 김재희, 정숙랑, 지현진, 정경주, 서유진, 김진현, "간호대학생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9호, pp.6027-6035, 2015. 

  33. 지영주, 마예원, "교수신뢰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스트레스, 교수신뢰,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9호, 제2권, pp.611-621, 2019. 

  34. 김순이, "간호대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 제12권, 제1호, pp.253-262,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