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 의료기관 및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도와 진료실내의 표면 세균오염도에 대한 연구
A Study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for Dental Office and Dental Hygienist and Bacterial Contamination of Dental Office Surfa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511 - 519  

윤경옥 (신성대학교치위생과) ,  배성숙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영숙 (신성대학교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치과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 실태와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감염관리 실천 및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사하였다. 경기, 인천지역의 치과병원19곳과 치과의원 28곳의 치과위생사 193명을 조사한 결과, 기공물 소독관리는 인상체와 교합체를 병원급에서만 52.6%, 치과 보철물을 소독하는 경우에는 의원급에서만 46.4%가 소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에서 환자 진료 후나 아침에 진료를 시작하기 전에 병원급 26.3%, 의원급 25%가 물을 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과 의원의 유니트 체어의 어깨 등받이의 경우 병원급은 $5.02^*10\^3CFU/mL$, 의원급은 $1^*10\^4CFU/mL$의 세균이 검출 되었다. 라이트 손잡이는 병원급은 $8.32^*10\^3CFU/mL$, 의원급은 $4.26^*10\^4CFU/mL$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다양한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치과 의료기관에서 스스로를 감염원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방법은 개인방호용품의 올바른 선택과 사용, 무엇보다도 정기적이고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통일된 감염방지실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and the degree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dental hygienis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193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hospitals or dental clinics in Gyeonggi and Incheon 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 실태와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하여 진료실내의 오염도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감염관리 실천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조사하였다. 진료실내의 표면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치과병원과 치과의원 일반 진료실 유니트 체어 어깨 등받이 부위 2군데와 라이트 손잡이의 표면의 2곳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NA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교차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감염방지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감염방지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급과 의원급의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하였으며 치과 의료기관의 진료실내의 표면 세균오염도를 측정하였다. 기공물에 대한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한 결과 인상체와 교합체의 경우 병원급만 52.
  •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의 개인방호용품 착용뿐 만 아니라, 기공물에 대한 감염관리, 표면과 수관관리까지 확대하였고 진료실 내의 표면 오염도에 따른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치과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 실태와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하여 진료실내의 오염도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감염관리 실천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위생사에 대한 연구조사 범위는?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들의 개인방호용품 착용뿐 만 아니라, 기공물에 대한 감염관리, 표면과 수관관 리까지 확대하였고 진료실 내의 표면 오염도에 따른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치과 의료기관에서의 감염관리 실태와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도를 조사하여 진료실내의 오염도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감염관리 실천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치과진료의 특징은? 치과진료의 경우 환자와 술자, 보조자가 가까운 동선에서 진료가 이루어져 감염위험성은 매우 높으며[3] 진료 특성상 연조직이나 뼈를 관통하거나 손상된 조직이나 구강점막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타액 뿐만 아니라 혈액과 섞인 타액에 접촉되어 병원성 미생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4]. 또한, 치료시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은 치과 종사자, 환자간의 교차감염의 위험을 높인다[5].
감염위험성때문에 미국 치과의사협회가 권장하는 것은?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외과적 기구뿐만 아니라 구강점막과 접촉하는 모든 기구들까지 멸균하도록 권고하고 있다[6]. 또한 미국 질병관리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미국 연방직업안전보건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미국 치과의사협회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에서는 반드시 개인보호용구착용 및 강력흡인기사용, 러버댐 착용을 권고하고 있다[7]. 치과 종사자들이 감염성 질환이나 박테리아,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보호막을 만들기 위해서는 의료용 장갑, 마스크, 보안경 등 개인방호용품을 항상 착용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740&efYd20150128#J47:0, 2018.8.10. 

  2. 장경애, 박정현,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2, pp.183-192, 2016. 

  3. R. Haley, W. Morgan, D. Cluver, J. White, T. Emori, J. Mosser, and J. Hughes, "Up date from the SENIC project. Hospital infection control: recent progress and opportunities under prospective payment," Am J Infect Control, Vol.13, No.3, pp.97-108, 2003. 

  4. 우승희, 곽정숙, 주온주, 임근옥, "치과진료실 감염방지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Vol.9, No.3, pp.282-292, 2009. 

  5. 최두리, 김설희, "일부지역 치과 의료기관, 감염관리자, 환자의 감염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4, pp.399-406, 2015. 

  6. 질병관리본부, 의료기관에서의 소독과 멸균지침, pp.1-69, 2014. 

  7. 우승희, 주온주, "치과에서의 감염방지를 위한 개인보호용구착용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0, No.3, pp.459-464, 2010. 

  8. D. Ellen and B. Raula, Safety standards and infectioncontrol for dental hygienists, 2nd ed., Seoul: Komoonsa Medical Science, pp.120-129, 2014. 

  9. No authors listed, "ADA Council in Scientific Affaires, Dental unit water lines; Approaching the year 2000," J Am Dent Assoc, Vol.130, No.11, pp.1653-1664, 1999. 

  10. 최영숙, 맹유진, 전보혜, "일부 치과의원 수관관리의 실천도와 수관세균감염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치위생학회지, Vol.5, No.1, pp.29-35, 2017. 

  11. 장경애, 박정현,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2, pp.183-192, 2016. 

  12. 정호진, 이정화,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인지 및 실천 영향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3, pp.363-369, 2015.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ntal clinic infection prevention standard, 2006. 

  14. V. Merchant, "Continuing progress in infection control in U.S. dental schools," J Dent Edu, Vol.54, No.8, pp.521-526, 1990. 

  15. 전한솔, 이진한, "치과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3, No.3, pp.189-197,2015. 

  16. R. Leung and S. Schonfeld, "Gypsum casts as a potential source of microbial cross-contamination," J Prosthet Dent, Vol.49, No.2, pp.210-211, 1983. 

  17. 고은경, 김송숙, "인상체의 올바른 취급법과 소독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전문재학교육연구학회논문집, Vol.7, No.4, pp.401-407, 2006. 

  18. B. Shearer, "Biofilm and the dental office," J Am Dent Assoc, Vol.127, No.2, pp.181-189, 1996. 

  19. 최정영, 박향숙, 심수현, 김진수, 최부근, 장희경, "치과감염관리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치과근무자의 손체석 및 장갑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Vol.9, No.1, pp.35-41, 2009. 

  20. 남영신, "치과진료실 감염예방 실천도의 관련요인 분석(치과위생사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과학회지, Vol.8, No.3, pp.189-198, 2008. 

  21. 김혜영, 남설희, "부산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감염방지를 위한 지식과 실천도에 관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pp.295-302, 2013. 

  22. M. Guida, F. Galle, V. Onofrio, R. Nastro, M. Battisra, R. Liguori, F. Battista, and G. Liguori, "Environmental microbial contamination in dental setting: a local experience," J Prev Med Hye, Vol.53, pp.207-212, 2012. 

  23. 한정섭, 천재식, "개인 치과진료실 내 세균오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28, No.2, pp.119-13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