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비위험 기구의 감염 관리 실태 조사
The survey on the infection control of noncritical instruments used in dental treatment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5 no.1, 2019년, pp.27 - 36  

김재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진한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 비위험 기구들에 대한 치과의사의 감염 관리 인지도와 감염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및 전라북도 지역의 40개 치과 병, 의원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감염 관리에 대한 치과의사의 인지도와 실천정도에 관해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대상인 치과의사가 치과 치료에 사용하는 인상용 건, 광중합기, 3-way syringe, 색조 견본, 치실통의 표면 오염도를 아데노신 3인산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감염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시행 빈도는 3-way syringe에서 가장 높았다. 모든 기구에서 소독액을 사용한 표면 소독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표면 오염도는 3-way syringe, 색조 견본이 인상용 건, 광중합기, 치실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비위험 기구들 중에서 3-way syringe는 사용자의 감염 관리 인지도와 표면 오염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감염 관리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표면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entist's awareness and the actual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noncritical dental instruments. Materials and Methods: 40 dental clinics in Daejeon, South Chungcheong, North Chungcheong and North Jeolla province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10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치과 기구들의 감염 관리에 관한 조사가 시행되었으나 비위 험 기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으며, 연 구 대상 중 비위험 기구가 포함된 연구들은 설문 조사를 통해 감염 관리에 대한 치과 진료 종사자들 인식만을 연 구한 경우가 많았다.11,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비위험 기구 중, 의료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사 용하여 비교가 용이한 인상용 건(impression gun), 광중 합기, 3-way syringe, 색조 견본, 치실통을 대상으로 감염 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치과의사의 인지도를 설문 조사하 고, 기구의 표면 오염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비위험 기 구의 감염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염의 예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이유는? 의료 기관에서 시행하는 여러 가지 시술이나 치료 과정에서 진료 종사자와 환자는 모두 감염에 노출된다. 과거에 비해 의료 기관에서 시행하는 침습적 검사와 수기가 증가하였고, 각종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는 치과 진료실에서 더욱 중요하다.
치과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의 분류는? 치과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는 잠재적 감염 전파 위험도에 따라 고위험 기구, 준위험 기구, 비위험 기구로 분류할 수 있다. 고위험 기구는 연조직과 경조직을 관통하거나 인체조직에 직접 삽입하는 기구, 준위험 기구는 연조직과 경조직을 관통하지 않지만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를 접촉하는 기구, 비위험 기구는 손상받지 않은 건강한 피부에 접촉하는 기구이다.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1 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는 치과 진료실에서 더욱 중요하다. 치과에 내원한 환자와 근무하고 있는 진료 종사자는 모두 진료실 내에서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은 환자 혈액과 타액의 직접 접촉과 오염된 기구나 장비를 통한 간접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2 환자의 기침, 재채기, 대화를 통해 공기 중에 떠 있는 병원성 미생물은 결막, 비점막, 구강점막으로 접촉하거나 흡입을 통한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치과 치료는 출혈이 동반되는 치료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환자의 혈액에 의해 직접적으로 감염에 노출될 수 있고, 치과 치료에 사용되는 고속 회전기구나 초음파 치석제거기의 사용 중 발생하는 에어로졸 및 분진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진료실에서는 다양한 병원체가 직간접적으로 전달되어 환자와 치과 진료 종사자, 환자와 환자 사이에 교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2017.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NU2804-NU3027-MNU2979&fid10713&q_type&q_value&cid138061&pageNum1 (updated 2019 Mar 4). 

  2. Bolyard EA, Tablan OC, Williams WW, Pearson ML, Shapiro CN, Deitchmann SD. Guideline for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personnel, 1998.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8;19:407-63. 

  3. Lee JH. The infection control of dental impressions. J Dent Rehabil Appl Sci 2013;29:183-93. 

  4.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Statistics on the aged. Available from: http://kosis.kr/publication/publicationWord.do (updated 2019 Mar 4). 

  5. Meskin L, Berg R. Impact of older adults on private dental practices, 1988-1998. J Am Dent Assoc 2000;131:1188-95. 

  6. Younai FS. Health care-associated transmission of hepatitis B & C viruses in dental care (dentistry). Clin Liver Dis 2010;14:93-104. 

  7. Spaulding EH. Chemical disinfection of medical and surgical materials. In: Lawrence C, Block SS, editors. Disinfection,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Philadelphia; Lea & Febiger; 1968. p. 517-31. 

  8. American Dental Association Council (ADA).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the dental office and the dental laboratory. J Am Dent Assoc 1996;127:672-80.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3;52:1-61. 

  10. Kim HK, Lee SJ. The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 in dental practice in Seoul, Korea. J Korean Dent Assoc 1995;33:291-6. 

  11. Lee YA, Jo MJ, Bae JY, Park HS.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s in dental office. J Dent Hyg Sci 2007;7:263-9. 

  12. Kim KM, Jung JY, Hwang YS. A study on the stat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2007;7:213-30. 

  13. Jeon HS, Lee JH.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n dental practitioners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5;53:189-97. 

  14. Kim K. Likert scale. Korean J Fam Med 2011;32:1-2. 

  15. Goebel WM. Reliability of the medical history in identifying patients likely to place dentists at an increased hepatitis risk. J Am Dent Assoc 1979;98:907-13. 

  1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HIV transmission in healthcare settings. MMWR (Morb Mortal Wkly Rep) 1987;36:1-18. 

  17. Garner JS, Favero MS. CDC guideline for handwashing and hospital environmental control, 1985. Infect Control 1986;7:231-43. 

  18. Korean Dental Association (KDA). Infection control procedure in dental office. Available from: https://www.kda.or.kr/downLoad.kda?attach_key5156&save_attach_name201605251464143729427021.pdf (updated 2019 Mar 4). 

  19. Cha SR, Kim KJ. Protocol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dental clinic. J Korean Dent Assoc 2013;51:130-7. 

  20. Runnells RR. An overview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practice. J Prosthet Dent 1988;59:625-9. 

  21. Boyce JM, Havill NL, Dumigan DG, Golebiewski M, Balogun O, Rizvani R.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hospital cleaning practices by use of an adenosine triphosphate bioluminescence assay.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9;30:678-84. 

  22. Hygiena LLC. SystemSURE Operators Manual V3.0. 2013. Available from: https://www.hygiena.com/food-and-beverage-products/systemsure.html#resources (updated 2019 Mar 4). 

  23. Davidson CA, Griffith CJ, Peters AC, Fielding LM. Evaluation of two methods for monitoring surface cleanliness-ATP bioluminescence and traditional hygiene swabbing. Luminescence 1999;14:33-8. 

  24. Smith PW, Gibbs S, Sayles H, Hewlett A, Rupp ME, Iwen PC. Observations on hospital room contamination testing. Healthc Infect 2013;18:10-3. 

  25. Huang YS, Chen YC, Chen ML, Cheng A, Hung IC, Wang JT, Sheng WH, Chang SC. Comparing visual inspection, aerobic colony counts, and adenosine triphosphate bioluminescence assay for evaluating surface cleanliness at a medical center. Am J Infect Control 2015;43:882-6. 

  26. Westergard EJ, Romito LM, Kowolik MJ, Palenik CJ. Controlling bacterial contamination of dental impression guns. J Am Dent Assoc 2011;142:12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