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Relationship between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Body Shame in Obesity Clinical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588 - 601  

방정원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정은정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반포구, 노원구, 마포구 그리고 동작구에 위치한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만20세~만39세 여성 11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신체수치심, 이상섭식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자기자비는 신체수치심, 이상섭식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신체수치심은 이상섭식행동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자비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신체수치심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은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수치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 매개변인으로 자기자비의 영향이 밝혀진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의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상섭식행동을 다루는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body shame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obesity clinical women. For this purpose, 114 da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20~39 ages currently enrolled in Seou...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에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하여 이상섭식행동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기자비 증진에 초점을 둔 상담과 치료적 개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특히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에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하여 이상섭식행동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기자비 증진에 초점을 둔 상담과 치료적 개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20~30대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20~30대 여성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이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잠재변인들 간의 직접적인 경로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살펴보았다.
  •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 변수가 두 개 이상 있는 모형을 다중매개모형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자비를 거쳐 이상섭식행동에 이르는 경로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수치심을 거쳐 이상섭식행동으로 이르는 경로, 그리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을 거쳐 이상섭식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각각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AMOS에서는 매개효과가 여러 개일 때 개별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랩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나 모형의 적합도와 모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가상의 변수인 팬텀변수를 이용하여 개별매개효과 및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섭식행동의 유발요인 중 하나로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부과 완벽 주의는 유의미한 타인이 자신에게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요구한다는 강력한 압박을 느끼며 자신이 그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그들로부터 자신이 인정받지 못하고 수용되지 못할 것이라는 믿음 혹은 지각을 의미한다[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젊은 여성들의 이상섭식행동에 특히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여성이라면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를 강요하는 사회‧문화적 압력[1]에서 자신의 체형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2]. 특히 외부로부터 제시된 마른 몸매에 대한 내면화는 젊은 여성들의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3]. Brandsma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인과 그 가치의 내면화는 이상섭식행동의 주요한 원인임을 지적하였다[4][5].
섭식장애란 무엇인가? Brandsma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인과 그 가치의 내면화는 이상섭식행동의 주요한 원인임을 지적하였다[4][5]. 섭식장애는 해당 장애가 갖는 심리적 고통뿐만 아니라 장기간 지속될 경우 우울, 불안, 자기통제력 상실의 증상으로 인하여 자해, 자살 행동과 같은 자기 파괴적 행동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장애[6][7]로 이상섭식행동 연구가 갖는 의의는 섭식장애 및 이에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심리적인 문제의 치료와 예방에 그 목적이 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자인 젊은여성은 왜 섭식장애를 가지게 되는가? 이러한 사회부과 완벽주의자들은 타인의 평가에 대한 지나친 민감성과 예민함이 하나의 특징으로 나타난다[22]. 따라서 타인이 자신에게 이상적인 모델의 기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완벽함을 추구 하려는 동기와 노력이 이상섭식행동을 일으킨다 [23][24]. 이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식된 사회적 표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인식에 근거한 부정적인 자기 평가의 결과로 높은 수준의 신체수치심을 경험하게 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M. Tiggemann and A. S. Pickering, "Role of television in adolescent women's body dissatisfaction and drive for thin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20, No.2, pp.199-203, 1996. 

  2. C. Guertin, K. Barbeau, L. Pelletier, and G. Martinelli, "Why do women engage in fat talk?," Examining fat talk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as an explanatory framework. Body Image, Vol.20, pp.7-15, 2017. 

  3. 이유리, 김남중, "여대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폭식증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233-241, 2015. 

  4. L. Brandsma, "Eating disorders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women & aging, Vol.19, No.1-2, pp.155-172, 2007. 

  5. B. L. Fredrickson and T. A. Roberts,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1, No.2, pp.173-206, 1997. 

  6. S. E. Mazzeo and D. L. Espelag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in female undergraduates: An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alexithymia and depres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9, No.1, p.86, 2002. 

  7. 왕희정, 정선아,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83-692, 2016. 

  8.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4thDsI nfo.do 

  9. 김시연, 백근영, 서영석, "대인 성적 대상화 경험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가 섭식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4호, pp.613-634, 2010. 

  10. 변영순, 이난희, 이경희, "여대생의 섭식문제 관련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62-369, 2014. 

  11. 염영희, 이규은, "대학생의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452-462, 2011. 

  12. 이재성, 신현택, 송재철, 이경희, "비만클리닉 내원자 중 식이장애 고위험군 및 식이장애의 유병률," 한방비만학회지, 제4권, 제1호, pp.13-22, 2004. 

  13. 고혜민,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지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김주영, 완벽주의가 미혼 여성의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체수치심,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손은정,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4호, pp.1103-1122, 2010. 

  16. 이다운, 여대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이상 섭식행동의 관계 :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체형 불안의 이중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7. I. Greenberg, F. Perna, M. Kaplan, and M. A. Sulliva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obesity surgery patients," Obesity research, Vol.13, No.2, pp.244-249, 2005. 

  18. I. C. Packianathan, M. Sheikh, S. Feben, and N. Finer,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 in a UK National Health Service Obesity Clinic and its response to modest weight loss," Eating behaviors, Vol.3, No.3, pp.275-284, 2002. 

  19. R. H. Striegel-Moore and C. M. Bulik,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American Psychologist, Vol.62, No.3, p.181, 2007. 

  20. J. Polivy and C. P. Herman, "Causes of eating disorder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3, No.1, pp.187-213, 2002. 

  21. P. L. Hewitt and G. L. Flett,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No.3, p.456, 1991b. 

  22. 손은정, "여대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불일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2호, pp.309-330, 2013. 

  23. H. Bruch, Eating disorders: Obesity, anorexia nervosa, and the person within, New York : Basic Books, 1973. 

  24. R. C. Casper, "Some provisional ideas concerning the psychologic structure in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In P. L. Darby, P. E. Garfinkel, D. M. Garner, and D. V. Coscina(Eds,), Anorexia nervosa: Recent developments in research, New York: Alan R, Liss, pp.387-392, 1983. 

  25. G. Kaufman, Coming out of shame: Transforming gay and lesbian lives. Doubleday Books, 1996. 

  26. S. M. Noll and B. L. Fredrickson,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2, No.4, pp.623-636, 1998. 

  27. M. Tiggemann and J. E. Lynch, "Body image across the life span in adult women: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7, No.2, p.243, 2011. 

  28. M. Tiggemann and J. K. Kuring, "The role of body objectification in disordered eating and depressed mood,"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3, No.3, pp.299-311, 2004. 

  29. B. L. Fredrickson, T. A. Roberts, S. M. Noll, D. M. Quinn, and J. M. Twenge, "That swimsuit becomes you: sex differences in self-objectification, restrained eating, and math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5, No.1, p.269, 1998. 

  30. B. Moradi, D. Dirks, and A. V. Matteson,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standards of beauty 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 test and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No.3, p.420, 2005. 

  31. M. Tiggemann and A. Slater, "A test of objectification theory in former dancers and non dancer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5, No.1, pp.57-64, 2001. 

  32. K. D. Neff,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Vol.2, pp.85-102, 2003a. 

  33. 박혜린,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 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치료연구, 제13권, 단일호, pp.35-53, 2015. 

  34. 유지혜,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5. C. E. Adams and M. R. Leary, "Promoting self-compassionate attitudes toward eating among restrictive and guilty eate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6, No.10, pp.1120-1144, 2007. 

  36. A. Ellis,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Oxford, England: Lyle Stuart, 1962. 

  37. A. Ellis, "Rational psychotherapy,"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59, No.1, pp.35-49, 1988. 

  38. B. A. Mistler, Forgiveness, perfectionism, and the role of self-compassion, University of Florida, 2010. 

  39. D. M. Garner, M. P. Olmsted, Y. Bohr, and P. E. Garfinkel,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Vol.12, No.4, pp.871-878, 1982. 

  40.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이병관, 정필립, 윤애리, "한국판 식사 태도검사-26(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KEAT-26) 표준화 연구 1: 신뢰도 및 요인분석," 한국정신신체의학, 제6권, 제2호, pp.155-175, 1998. 

  41. P. L Hewitt and G. L. Flett,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No.3, p.456, 1991b. 

  42. 한기연, 다차원적 완벽성-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43. K. D. Nef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Vol.2, No.3, pp.223-250, 2003b. 

  44.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4호, pp.1023-1044, 2008. 

  45. N. M. McKinley and J. S. Hyde,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20, No.2, pp.181-215, 1996. 

  46.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측정 및 연구방법론: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6권, 제2호, pp.329-349, 2007. 

  47.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48. 배병렬,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2017. 

  49. 정희진,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간의 관계 : 자기자비를 매개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0. 방민정,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1. M. Diaz-Marsa, J. L. Carrasco, and J. Saiz, "A study of temperament and personality in anorexia and bulimia nervosa,"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14, No.4, pp.352-359, 2002. 

  52. V. Rossier, M. Bolognini, B. Plancherel, and O. Halfon, "Sensation seeking: A personality trait characteristic of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with eating disorders?," European Eating Disorders Review, Vol.8, No.3, pp.245-252, 2002. 

  53. M. Vervaet, C. Van Heeringen, and K. Audenaert, "Personality-related characteristics in restricting versus binging and purging eating disordered patients," Comprehensive Psychiatry, Vol.45, No.1, pp.37-43, 2004. 

  54. 손은정, 양난미, 김상원, "여대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신경성 폭식증 증상 간에 신체 비교와 신체수치심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493-513, 2010. 

  55. A. C. Iannantuono and T. L. Tylka,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links to body appreciation in college women: An exploratory model," Body image, Vol.9, No.2, pp.227-235, 2012. 

  56. 박지윤, 내면적 자기애 성향과 자기대상화,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이상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7. 양정혜, 이명구, 임성진, 이보름, 권익현, 방준석, 이종길, 임성실, "외래 비만 클리닉에서 행해지는 비만치료의 목적 및 타당성에 관한 평가," 약학회지, 제53권, 제1호, pp.25-33,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