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육건강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 태도 및 지식의 차이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Knowledge toward Muscle Heal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1 no.2, 2019년, pp.152 - 159  

정아영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최용현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최진희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권순규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령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understand awareness, attitude and knowledge levels of muscle health of adults over 18 years old.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questionnaires. A total of 401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for final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inuous variabl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및 신체활동, 식습관, 흡연, 음주, 수면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근육 건강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지식조사를 통해 근육 감소 예방 및 근육건강 증진 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18세 이상 성인의 근육건강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지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 연구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육건강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근육건강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대상자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의 연령 분포가 18세에서 85세까지 이었지만 대부분 비교적 젊은 나이대가 많았던 점은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 하여 해석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근육 감소 예방 및 근육건강 증진 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18세 이상 성인의 근육건강에 대한 인 식, 태도 및 지식 정도를 파악함에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육이란? 근육은 뼈와 함께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구조적 역할을 담당하여 자세나 균형 유지 및 기동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 다른 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대사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 근육의 감소는 낙상, 골절,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우울 및 삶의 질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나이와 성별에 따른 근육의 감소 추세는? 그러므로 근육건강은 신체적 허약함을 극복하고 대사적 건강 및 삶의 질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근육은 중앙값 기준으로 여성의 경우 매년 0.37%, 남성의 경우 0.47%씩 감소하며 이러한 근육의 감소는 나이가 들수록 심화되어 75세 이상이 되면 여성의 경우 매년 0.64 – 0.70%, 남성의 경우 0.80 – 0.98%로 감소량이 증가한다[5]. 이와 같이 나이와 성별은 근육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근육의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은? 근육은 뼈와 함께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구조적 역할을 담당하여 자세나 균형 유지 및 기동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 다른 기관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대사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 근육의 감소는 낙상, 골절,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우울 및 삶의 질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그러므로 근육건강은 신체적 허약함을 극복하고 대사적 건강 및 삶의 질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andi F, Camprubi-Robles M, Bear DE, Cederholm T, Malafarina V, Welch AA, et al. Muscle loss: The new malnutrition challenge in clinical practice. Clinical Nutrition. 2018. Forthcoming. http://dx.doi.org/10.1016/j.clnu.2018.11.021. 

  2. Scott D, Daly RM, Sanders KM, Ebeling PR. Fall and fracture risk in sarcopenia and dynapenia with and without obesity: the role of lifestyle interventions. Current Osteoporosis Reports. 2015;13(4):235-44. http://dx.doi.org/10.1007/s11914-015-0274-z. 

  3. Kim MS, Sohn CM.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16;21(4):378-85. http://dx.doi.org/10.5720/kjcn.2016.21.4.378. 

  4. Kwon HJ, Kim HJ. Association between muscle mass and depression in korea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5;10(1):283-91. 

  5. Tieland M, Trouwborst I, Clark BC. Skeletal muscle performance and ageing.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8;9(1):3-19. http://dx.doi.org/10.1002/jcsm.12238. 

  6. Goodpaster BH, Chomentowski P, Ward BK, Rossi A, Glynn NW, Delmonico MJ, et 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strength and skeletal muscle fat infiltration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8. Forthcoming. http://dx.doi.org/10.1152/japplphysiol.90425.2008. 

  7. Domingues-Faria C, Vasson MP, Goncalves-Mendes N, Boirie Y, Walrand S.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and impact of aging and nutrition. Ageing Research Reviews. 2016;26:22-36. http://dx.doi.org/10.1016/j.arr.2015.12.004. 

  8. Degens H, Gayan-Ramirez G, van Hees HW. Smoking-induced skeletal muscle dysfunction: from evidence to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ion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15;191(6):620-5. http://dx.doi.org/10.1164/rccm.201410-1830PP. 

  9. Kok MO, Hoekstra T, Twisk JW.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moking and muscle strength in healthy adults. European Addiction Research. 2012;18(2):70-5. http://dx.doi.org/10.1159/000333600. 

  10. Steiner JL, CH L. Dys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protein metabolism by alcohol.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Metabolism. 2015:E699-E712. http://dx.doi.org/10.1152/ajpendo.00006.2015.-Alcohol. 

  11. Piovezan RD, Abucham J, Dos Santos RV, Mello MT, Tufik S, Poyares D. The impact of sleep on age-related sarcopenia: Possible connec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Ageing Research Reviews. 2015;23(Pt B):210-20. http://dx.doi.org/10.1016/j.arr.2015.07.003. 

  12. Marty E, Liu Y, Samuel A, Or O, Lane J. A review of sarcopenia: Enhancing awareness of an increasingly prevalent disease. Bone. 2017;105:276-86. http://dx.doi.org/10.1016/j.bone.2017.09.008. 

  13. Francis P, Lyons M, Piasecki M, Mc Phee J, Hind K, Jakeman P. Measurement of muscle health in aging. Biogerontology. 2017;18(6):901-11. http://dx.doi.org/10.1007/s10522-017-9697-5. 

  14. Oh C, Jeon BH, Reid Storm SN, Jho S, No JK. The most effective factors to offset sarcopenia and obesity in the older Korean: Physical activity, vitamin D, and protein intake. Nutrition. 2017;33:169-73. http://dx.doi.org/10.1016/j.nut.2016.06.004. 

  15. Evert AB, Riddell MC. Lifestyle intervention: nutrition therapy and physical activity. The Medical Clinics North America. 2015;99(1):69-85. http://dx.doi.org/10.1016/j.mcna.2014.09.001. 

  16. Fukushima Y, Kurose S, Shinno H, Cao Thu H, Takao N, Tsutsumi H, et al. Importance of lean muscle mintenance to improve insulin resistance by body weight reduction in female patients with obesity.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16;40(2):147-53. http://dx.doi.org/10.4093/dmj.2016.40.2.147. 

  17. Gomes MJ, Martinez PF, Pagan LU, Damatto RL, Cezar MDM, Lima ARR, et al. Skeletal muscle aging: influence of oxidative stress and physical exercise. Oncotarget. 2017;8(12):20428-40. http://dx.doi.org/10.18632/oncotarget.14670. 

  18. Carter HN, Chen CC, Hood DA. Mitochondria, muscle health, and exercise with advancing age. Physiology 2015;30(3):208-23. http://dx.doi.org/10.1152/physiol.00039.2014. 

  19. Lee JY, Lee S. Dietary patterns related to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019;38(4):358-63. http://dx.doi.org/10.1080/07315724.2018.1523759. 

  20. Whitehead BR, Blaxton JM. Daily well-being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does time or type matter? The Gerontologist. 2017;57(6):1062-71. http://dx.doi.org/10.1093/geront/gnw250. 

  21. Argiles JM, Campos N, Lopez-Pedrosa JM, Rueda R, Rodriguez-Manas L. Skeletal muscle regulates metabolism via Interorgan crosstalk: roles in health and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6;17(9):789-96. http://dx.doi.org/10.1016/j.jamda.2016.04.019. 

  22. Iizuka K, Machida T, Hirafuji M. Skeletal muscle is an endocrine organ.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14;125(2):125-31. 

  23. Kanungo S, Wells K, Tribett T, El-Gharbawy A. Glycogen metabolism and glycogen storage disorders. 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 2018;6(24):474. http://dx.doi.org/10.21037/atm.2018.10.59. 

  24. Wilson JM, Loenneke JP, Jo E, Wilson GJ, Zourdos MC, Kim JS. The effects of endurance, strength, and power training on muscle fiber type shift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12;26(6):1724-9. http://dx.doi.org/10.1519/JSC.0b013e318234eb6f. 

  25. Kim G, Kim H, Kim WK, Kim J. Effect of stretching-based rehabilitation on pain,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in dancers with hamstring injury: a single-blind,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2018;58(9):1287-95. http://dx.doi.org/10.23736/s0022-4707.17.07554-5. 

  26. Varma VR, Tan EJ, Wang T, Xue QL, Fried LP, Seplaki CL, et al. Low-intensity walking activity is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uther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3(7):870-87. http://dx.doi.org/10.1177/0733464813512896. 

  27. Scherder E, Scherder R, Verburgh L, Konigs M, Blom M, Kramer AF, et al. Executive functions of sedentary elderly may benefit from walk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4;22(8):782-91. http://dx.doi.org/10.1016/j.jagp.2012.12.026. 

  28. Roh, KH, Park, HA.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lower limb muscle endurance, whole body endurance and upper body flexibility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536-4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536. 

  29. Mijnarends DM, Luiking YC, Halfens RJG, Evers S, Lenaerts ELA, Verlaan S, et al. Muscle, health and costs: a glance at their relationship.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8;22(7):766-73. http://dx.doi.org/10.1007/s12603-018-1058-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