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관련 화재발생 위험성 분석 및 초기소화의 효과성 연구
The Analysis of the Risk of Vehicle Fires in Korea and the Effectiveness of Initial Fire Extinguishing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5 no.1 = no.43, 2019년, pp.20 - 27  

류주열 (Research Institute of Disaster Management, Korea Soongsil Cyber University) ,  이창우 (Department of Fire & Disaster Prevention, Korea Soongsil Cyber University)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동차 관련 화재발생 현황 및 위험성을 평가하고 초기 소화기구의 사용에 따른 피해저감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자동차 화재의 발생 빈도에 대한 위험성 분석과 화재발생시 자동차에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여 초기 소화에 적용한 사용에 따른 인적 및 재산피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자동차 화재 발생에 따른 건당피해액은 연평균 증감률이 4.74%이고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화재현황 중 승용자동차에서 발생한 인명피해를 연도별 화재발생 건당 인명피해로 분석한 결과, 화재발생 100건당 재산피해액은 424.65만원에서 473.06만원으로 과거 5년간(2012년~2016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론: 승용자동차 화재시 소화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화재발생 1건당 평균 재산피해액은 약 307.5만으로 산정되어 초기 자동차 화재에 차내에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한 초기소화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the status and the risk of fire occurrence in domestic automobile were evaluated and the damage reduction effect by using the fire extinguishing mechanism was evaluated. Method: The analysis of the risk of the occurrence of Vehicle Fires in Korea and the damage of human and p...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자동차 등록 및 화재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자동차 화재 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승용자동차 화재발생 현황 분석과 자동차 화재의 위험도를 분석하여 아직 승용자동차의 소화기사용 유무에 다른 피해 분석 및 초기소화의 효과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자동차 화재 발생 건수 및 피해액을 분석하고 자동차 화재의 위험성을 분석하였으며, 국내의 자동차 화재발생 건수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승용자동차 화재발생시 소화기를 사용한 초기소화의 필요성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6년 우리나라 자동차 1대당 인구수는? 5%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 해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즉, 우리나라 자동차 1대당 인구수가 ’08년 2명대로 진입한 이래 ’16년을 기준으로 자동차1대당 인구수는 2.37명으로 미국의 경우 1.3명, 일본 1.
자동차화재에 따른 재산피해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즉, 자동차 화재가 발생하면 거의 형태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전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Kim, 2010). 그러므로 해마다 국내외 승용자동차의 고급화 전략에 따라 IoT, 자율주행시스템, 친환경동력 등 첨단 기술과 다양한 기능들이 접목되어 신규차량 구매가격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자동차화재에 따른 재산피해액도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승용자동차 화재로 인한 소방서 추산 피해액보다 손해보험사가 산정하는 피해보상금이 더 높은 점을 통해 실제 재산상 피해는 어떠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가? 57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손해보험사의 피해보상금이 소비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급된 피해금액임으로 소방청 추산 피해액보다 현실적인 반영이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방청의 추산 피해액보다 더 많은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onsumer Insights (2017). Annual car planning survey, Automotive Reports, Date of Issu: Oct. 31, 2017.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Automobile registration statu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 National Fire Agency (2017). National Fire Statistics, National Fire Agency. 

  4. Kim, S.G. (2010). Policy Research on Automobile Fir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5.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s Portal (2017). e-country index,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s Porta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