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소년의 우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dolescents' Depress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2, 2019년, pp.67 - 76  

강석임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심리학부) ,  이윤정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  정명숙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심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우울이 공동체의식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느끼는 만족수준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C지역의 청소년 수련원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37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울은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공동체의식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증진에 공동체의식 함양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교육현장에서 정규 커리큘럼을 통해, 그리고 효율적인 봉사활동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갖춘 지역사회복지기관들과 학교 간의 상호보완적 협력관계를 통해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depression of adolescents have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ating variable called sense of community. To collect dat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71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y at Youth Traini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해, 우울은 청소년기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공동체의식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결과 삶에 대한 만족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이 청소년기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청소년기에 삶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과 행복감은 성인기의 삶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삶에 더 만족하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게 해줄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 수준을 높이는 데 우울과 공동체의식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느끼는 우울감이 공동체 의식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삶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수준이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공동체의식의 매개역할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우울과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라는 것을 밝힌 연구들은 많지만, 공동체의식이 청소년기의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토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 본 연구에서는 C지역에 소재한 청소년수련원의 봉사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청소년수련원의 봉사활동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를 유선이나 메일로 미리 파악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은 봉사활동 시작 전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듣고 배부된 구조화된 설문지에 자기보고식으로 작성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청소년의 우울은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중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2, 3], 청소년기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4, 1, 2, 5, 3]. 입시를 강조하는 우리나라 교육환경은 청소년들이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계 형성보다는 각자의 출세와 성공을 위해 매진할 것을 요구한다.
공동체의식은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감이 낮은 것은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어려운 생활환경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이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이 자신의 삶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과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6, 7, 8, 9, 10].
청소년에게 우울과 공동체의식의 상호연관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오민아와 조혜영 (2016)은 중학생의 우울과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에서 우울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1]. 사실 우울한 청소년은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낮아지고 활동수준도 낮아지게 되므로 주변사람들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이나 동질감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소속감을 갖거나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를 수용하는 마음자세를 갖기도 어려울 수밖에 없다[12]. 우울이 청소년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공동체의식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 R. Kim.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2. J. W. Moon. "The Effect of obesity, depression, self esteem, body image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13 No.2, pp.119-146, 2012. 

  3. T. Y. Jang. "A Study on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s of the youth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stress", Doctoral dissertation,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2015. 

  4. S. L. Kang?B. S. Park?J. M. Lee?G. S. Choi.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tress of children/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y on life satisfaction: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and local community support",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 32, pp. 137-157, 2015. 

  5. J. H. An?Y. D. Yun?H. S. Lim. "The Life Satisfactio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33, No.2, pp. 197-208, 2016. 

  6. G. Y. Kang ? Y. M. Jang. "A Study on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10, No. 1, pp. 97-123, 2013. 

  7. H. J. Lee.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Religious Activities, Community Spirit, Social-emotiona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 Comparison of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ol.48, pp.79-111, 2016. 

  8. S, H. Cho?S. Y. Park. "Life Satisfaction Factors of Early Adolescents",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23, No.4, pp.801-818, 2015. 

  9. Y. K. Hwa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youth house, school and community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6. 

  10. E. J. Kim?S. S. Le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s Empathetic School Community Competency,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15, pp.917-936, 2018. 

  11. M. A. Oh?H. Y. Jo.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Using Latent Growth Model :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35 No.1, 2017. 

  12. Y. R. Woo?C. R. Nho.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between Emotional and Aggressive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Welfare, Vol.16, No.2, pp.203-227, 2014. 

  13.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215-325. 1996. 

  14. Petersen, N. A., Speer, P. W., and McMillan, D. W. "Validation of 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 Confirmation of the principal 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 61-73. 2008. 

  15. J. S. Park.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adolescents' training activity, voluntary service,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 No.4, pp. 157-182, 2010. 

  16. Bramston, P., Bruggerman, K., and Pretty, G., "Community perspective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 Education, 49(4): 385-397. 2002. 

  17. Petrillo, G., Capone, V., & Donizetti, A. R.,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for adolescent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4(3): 399-409. 2016. 

  18. Pretty, G., Conroy, C., Dugay, J., Fowler, K., and Williams, D.,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evance to adolescents of all ag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365-379. 1996. 

  19. H. K, Lee?S. H. Cho?J. H. Kim?Y. K. Ki m?H. I. Choo. "Influence of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and Elderly Resident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 No.6, pp.608-616, 2014. 

  20. Gattino, S., De Piccoli, N., Fassio, O., & Rollero, C., "Quality of life and sense of community: A study on health and place of resid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1: 811-826. 2013. 

  21. Prezza, M., Amichi, M., Roberti, T. and Tedeschi, G., "Sense of community referred to the whole town: Its relations with neighboring,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and area of resid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1): 29-52. 2001. 

  22. Prezza, M. and Costantini, S.,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Investigation in three different territorial contexts". Journal of Community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8: 181-1, 1998. 

  23. S. C. Ock?H. S. P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life on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3, pp. 37-58, 2016. 

  24. C. S. Yoon?H. S. Kim. "The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nse of Commun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26, No.2, pp.803-813, 2017. 

  25. H. S. Kim?Y. C. An?J. Y. Song. "The Effect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4, No.1, pp. 305-325, 2018. 

  26. N. M. Hong. "The effects of youth volunteering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Forum for Youth Culture, Vol 44, pp.157-180, 2015. 

  27. M. H. Cho?K. H. Cha. "Comparative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Countries," ,jibmundang:seoul, 1998. 

  28. K. K. Chon?S. C. Choi?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6, No.1, pp.59-76, 2001. 

  29. H. R. Kim. " Adolescents'Psycho-social traits through the voluntary program of KKottongnae Love Education Center", The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10, pp. 33-58, 2015. 

  30. H. J. Kim. "The effect of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n their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 28, pp. 195-214, 2014. 

  31. S. A. Ryu. "The longitudinal effect of victimized experiences and sense of community on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3, No. 11, pp. 87-111, 2016. 

  32. H. J. Park?J. S. Lee?Y. S. Lee.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y Participation on Student's Sense of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33, No.2, pp. 235-257, 2015. 

  33. Arthur, J., 1999. "School and community: The communitarian agenda in education". London: Palmer Press. 

  34. H. I. Choi?Y. K. Moon. "Impact of Community Spirits on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45, pp.189-209, 2013. 

  35. G. N. Park.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on a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6, No. 10, pp. 273-306, 2009. 

  36. J. S. Ha.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12. 

  37. S, R. Jung. "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 of Neighborhood Disorder and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Theology and Praxis, Vol.56, pp.471-49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