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의 만성질환 및 장애여부,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감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chronic disease/disability and stress from health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ne-person households: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7 no.2, 2019년, pp.201 - 211  

정혜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hronic disease/disability and stress from health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1)having a chron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전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1인 가구 유무를 변인으로 하여 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있으나,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만성질환과 장애가 1인 가구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사회적 지지 역할별로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그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만성질환 및 장애(스트레스 요인),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측면(도구적, 경제적, 정서적 지지)별로 나누어 분석해보고자 한다.
  • 7%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수도권 거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우울감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우울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서 건강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포함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및 중·장년층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및 장애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스트레스 이론을 근거로 하여 스트레스 요인(stressor)으로서 만성질환 및 장애와 이에 대한 반응인 스트레스(stress)로서 건강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이 가진 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정서적, 경제적, 도구적)별로 기능이 다르므로(Kim, 2005; Park, Cho, & Moon, 2010), 세부 영역별로 스트레스 요인과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만성질환 및 장애와 건강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인 변수를 통제한 후에 1인 가구의 만성질환 및 장애는 우울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경제적 지지와 정서적인 지지는 직접적으로 우울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사회적 스트레스 이론에서는 관계적인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대처(coping)및 인성(personal traits)과 같은 개인이 가진 자원이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Schwarzer & Leppin, 1991; Thoits, 1995).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인 측면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년 및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수도권 1인 가구의 만성질환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개념을 인간경험에 적용하여 스트레스 이론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과 그로 인한 심리적 부담의 정도가 구분되어 측정되며(Lee, 2003), 이 두 요인은 개인의 안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도 만성질환 및 장애라는 스트레스 요인과 함께 이로 인한 개인의 반응인 건강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정서적, 경제적, 도구적)별로 기능이 다르므로(Kim, 2005; Park, Cho, & Moon, 2010), 세부 영역별로 스트레스 요인과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스트레스 이론을 근거로 하여 스트레스 요인(stressor)으로서 만성질환 및 장애와 이에 대한 반응인 스트레스(stress)로서 건강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이 가진 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요인 및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만성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 질병의 속도가 완만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개인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도시거주 노인대상으로 한 Lee (2010)의 연구에 따르면, 만성질환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울증세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라는 개념은 누구에 의해서 비롯되었나? ‘스트레스’라는 개념은 생물학자인 Hans Selye에서 비롯되었다. 동물을 다루는 연구를 통해서 그는 유기체가 환경으로부터 유해한 자극을 받게 되면 유기체 내부에서 “불특정한”반응이 일어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Krohne, 2002).
1인 가구의 우울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자살을 예방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가구 유형 중 1인 가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Kim, Chung, & Nam, 2018),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서 소득수준이 낮고,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취약하여(Kang & Lee, 2016; Kim et al., 2018) 고독사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Hwang, 2017). 따라서 1인 가구의 우울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Baek J. T., Lee, H. Y., & Cho, Y. C. (2016). Relating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5), 506-515. https://doi.org/10.5762/KAIS.2016.17.5.506 

  2. Chae, M. S., & Lee, J. H. (2018).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With a focus on comparing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9 (4), 553-569. https://doi.org/10.7856/kjcls.2018.29.4.553 

  3. Choi, H. M., & Yoon, M. S. (2013). The impact factors on depres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Social Science Research, 29 (3), 119-142. 

  4. Choi, S. B. (2014).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single household in comparison to the multiple household. Journal of Leisure Studies, 12 (2), 1-24. 

  5. Chung, H. (2019).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ne-person households: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8 (1), 1-10. https://doi.org/10.5934/kjhe.2019.28.1.1 

  6. Cohen, S. (1988). Psychosocial models of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 (3), 206-297. 

  7. Gellis, Z. D. (2010). Assessment of a brief CES-D measure for depression in homebound medically ill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53 (4), 289-303 

  8. Gyeonggi Welfare Foundation(2017). One-person households in Gyeonggi-do and policy implications. Retrieved May 2, 2018, from http://ggwf.gg.go.kr/archives/34040?srch_type1&srch_wordbrief 

  9. Heim, C., & Binder, E. B. (2012). Current research trends in early life stress and depression: Review of human studies on sensitive periods,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and epigenetics. Experimental Neurology, 233 (1), 102-111. https://doi.org/10.1016/j.expneurol.2011.10.032 

  10. Hwang, S. Y. (2017, July 20). Young people dying alone a grown concern. JoongAng Ilbo. Retrieved December 12, 2018,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1773592 

  11. Jeong, J. S., & Lee, H. G.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y of depression by life cycle: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three generations of adulthood, middle age and old ag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9 (2), 117-141. 

  12. Jeong, S. B., & Bae, J. Y. (2017). Rural area one-person household elderly depression factors by gender and age group.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5 (3), 153-174. 

  13. Kahng, S. K., & Jeon, H. S. (2012).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improvement using KLoSA 1st & 2nd wave data.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 (3), 145-174. 

  14. Kang, E. N., & Lee, M. H. (2016).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n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Forum, 234, 47-56. 

  15. Kim, H. J., & Kim, K. S. (2015).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single person households: Targeting one gu in Gwangju.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 (6), 115-128. https://doi.org/10.7466/JKHMA.2015.33.6.115 

  16. Kim, A. R. (2018). Effect of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in oneperson households among Korean young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 (7), 493-509. https://doi.org/10.14400/JDC.2018.16.7.493 

  17. Kim, K. B., & Sok, S. H. (2009).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2), 197-206. 

  18. Kim, M. R. (2005).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 (1), 193-217. 

  19. Kim, J. E., Chung, H., & Nam, Y. (2018).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for policy improvement: Focusing on Gyeonggi province with secondary data analys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3 (2), 463-488. https://doi.org/10.13049/kfwa.2018.23.3.4 

  20. Kim, J. H. (2018, May). Neighborhood and social isolation among oneperson household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pring 2018 Korean Home Management Conference, Seoul, Korea. 

  21. Kim, J. I. (2016). A study on the daily hass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buffer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coping styl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54, 41-75. 

  22. Kim, J. Y., Ryu, S. Y., Han, M. A., & Choi, S. W. (2016).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1 (1), 13-26. https://doi.org/10.5393/JAMCH.2016.41.1.013 

  23. Kim, M. J. (2018, October). Time use of employed one-person households. Paper presented at the Fall 2018 Korean Home Management Conference, Seoul, Korea. 

  24. Kim, S. Y., Kim, S., & Lee, J. S. (2013). The effect on housing on health. Health and Social Science, 34, 109-133. 

  25. Kwon, H. C., & Kim, H. Y. (2017). The life of middle-aged men who live alone: A study of social relations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4050 one-person male households.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4 (3), 267-290. 

  2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Prevalence of diabetes by age group. Retrieved October 14, 2018,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2&conn_pathI2 

  27. Krohne, H. W. (2002). Stress and coping theorie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Behavioral Sciences, 22, 15163-15170. 

  28. Lee, B. H. (2014). The social engagement of people living alone at midlife in Korea: A comparison with those of living togeth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 (3), 348-373.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348 

  29. Lee, H. G., & Kim, J. S. (2017, May 1). 65%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chronic disease. KBS News. Retrieved January 2, 2019, from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73385 

  30. Lee, J. H., & Oh, M. O.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illness-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and leisur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 (2), 429-43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429 

  31. Lee, M. S. (2003). Social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employed 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7 (3), 25-56. 

  32. Lee, M. S. (2010).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27, 5-30. 

  33. Lee, M. S., & Kim, N. Y. (2007).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old.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4 (1), 161-176. 

  34. Lee, M. S., Song, H., & Kim, B. (2018).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subjective depress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5 (2), 61-71. https://doi.org/10.14367/kjhep.2018.35.2.61 

  35. Nam, S. Y., & Lee, S. K. (2018, May). A comparison of diet and nutrition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le-person households . Paper presented at the Spring 2018 Korean Home Management Conference, Seoul, Korea.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2008-2017 Community Health Survey,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A surve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8. Monroe, S. M., Slavich, G. M., & Goergiades, K. (2009). The social environment and life stress in depression. In I. Gotlib & C. Hammen (Eds.). Handbook of depression (2n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39. Oh, U. C. (2013). Wage differential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alytical methods and policy implications. Disability & Employment, 23 (4), 5-28. https://doi.org/10.15707/disem.2013.23.4.001 

  40. Pace, T. W., Mletzko, T. C., Alagbe, O., Musselman, D. L., Nemeroff, C. B., Miller, A. H., et al. (2006). Increased stres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al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increased early life stres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 (9), 1630-1633. https://doi.org/10.1176/appi.ajp.163.9.1630 

  41. Park, B. Y., Kwon, H. J., Ha, M. N., Burm, E. A. (2016).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g and elderly couples: 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Nursing, 30 (2), 195-205.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195 

  42. Park, S. M., Cho, S. I., & Moon, S. S.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Role of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 (4), 389-397.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10.03.002 

  43. Park, S. Y., & Lee, C. K. (2016). The socioeconomic factors of older generations'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18 (1), 3-27. 

  44.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5. Schwarzer, R., & Leppin, A. (1991). Social support and health: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 (1), 99-127. https://doi.org/10.1177/0265407591081005 

  46. Seo, H. G. (2018, January 23). Korea's increase in suicides. Yonhap News. Retrieved October 2, 2018,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2/0200000000AKR20180122153500017.HTML 

  47. Seo, H. L., Jung, Y. K., & Kim, H. N. (2013). The effects of physical diseases on elderly depression and moderate effects of the self-care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1, 57-83. 

  48. Song, E. M., & Lee, S.-Y. (2015). The relation between the middle class married middle-aged women's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Moderation effect of ego-identify.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 (4), 531-549. 

  49. Sung, J. M. (2013). Effects of family and household's economic factors on depression: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fixed-effect model. Journal of Social Science, 24 (2), 207-228. 

  50. Thoits, P. A. (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8, 53-79. https://doi.org/10.2307/2626957 

  51. Thoits, P. A. (2010). Stress and health: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1 (S1), S41-S53. https://doi.org/10.1177/0022146510383499 

  52. Um, I. S. (2012). Study on the effect of the elderly's liv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2 (1), 73-90. 

  53. Yen, J. Y., Ko, C. H., Yen, C. F., Yang, M. J., Wu, C. Y., Juan, C. H. et al. (2006).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stress in breast cancer women outpatients receiving active therapy in Taiw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0 (2), 147-153. https://doi.org/10.1111/j.1440-1819.2006.01479.x 

  54. Yoo, C. (2016). Health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Inequalitie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 (1), 440-472. https://doi.org/10.15709/hswr.2016.36.1.440 

  55. Yoo, C. (2017). 10-Year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predictors - Inequity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 (2), 150-183.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