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의 이공계열 일반화학 학습자의 학습배경과 일반화학학습적성과의 관련성 분석 -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Background of a General Chemistry Learner and the General Chemical Learning Aptitud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a University: Based on the case of H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1, 2019년, pp.35 - 44  

한희창 (한양대학교(ERICA)) ,  박경호 (한양대학교(ERIC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대학에 입학하는 이공계 학생들은 거의 대부분의 학과에서 일반 화학 및 일반화학실험 교과를 수강하도록 하고 있는데, 대학에 입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은 기초과학 교과의 학습과 관련해 저마다 다른 학습 기초를 가지고 있다. 대학입시와 관련해서도 현재의 수능 제도가 단순이 선발용으로 활용되고 있어 저마다 다른 수준의 기초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현황이 고려되지 않은 채, 이공계 학생들 모두가 동일한 기초과학교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학습자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학습에 적응하는가 하면 어떤 학생들은 극심한 어려움을 겪으며, 급기야 포기하는 상황까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H 대학의 이공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한 후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어떤 학습배경이 일반화학학습적성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성별과 전공은 일반화학 학습전공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이 화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와 고교에서의 화학학습 정도, 수능에서의 선택여부와 일반화학학습적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학습이 현재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정도나 현재학습과 공통된다고 느끼는 정도 역시 일반화학학습 적성과 관련이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공별로 학습에 대한 가이드를 구체적으로 제시 홍보하는 방안과 다른 하나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학습 체계를 수립하는 방안 등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most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ho enter the university are required to take genera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experimental subject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learning bases about learning basic science subjects. Regard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current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수능에서 화학과목의 선택에 따라 일반화학학습적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가설5) 본 설문에서는 수능시험에서 화학과목을 선택했는지, 선택한 경우 그 내용까지 응답하도록 요구하였는데 조사결과 화학Ⅱ를 선택한 경우는 3명8) 에 불과했다.
  • 또한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학문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춰질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어떠한 학습배경이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하며, 혹 이것이 우리가 직관적으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정말 의미 있는 수준의 관련이 있는지 가시적인 근거를 확인함으로써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일반화학학습자의 학습배경과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반화학학습자의 학습배경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설문조사와 일반화학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한 후 검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 이상 대학의 일반화학교과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일반화학학습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일반화학학습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어떠한 학습배경이 일반화학학습적성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 이에 대학에서 각 학습자들에게 전공별로 차별화된 안내문을 준비 하여 현재 해당 학과에 입학해서 배워야 하는 교과목의 소개 및 사용 하고 있는 교재를 안내하여 선행학습을 유도하거나 또는 일반화학처럼 기초지식이 요구되어지는 기초필수 교과가 있다면 이를 강조하여 소개하고 동시에 관련하여 고등학교 때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유도하는 등 입학 전 학습 가이드를 소개하여 준비 없이 입학한 후당황하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어 고등학교 과정의 화학Ⅰ, 화학Ⅱ 등이 일반화학 교과목과 공통부분도 많고 도움이 될 것이라는 소개를 하거나 그밖에 일반물리학이나 미적분학, 또는 일반생물학과 같은 기초 필수 과학 과목들을 비롯하여 중국어나 영어 등 기초필수 교과에 해당되는 강좌들이 무엇이며 이것이 이미 고등학교에서 학습한 어떤 교과와 관련이 있으니, 미리 다시 한 번 복습을 해두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소개를 하는 것이다.
  • 앞서 언급했듯이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학학습자의 학습배경과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시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일반화학을 잘 학습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교육학에서 말하는 ‘학습적성’이란 용어를 참고하여 ‘일반화학학습적성6)’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하였다.
  • 이처럼 기초과학 학문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한 연구들이 적지 않은데, 본 연구는 그 중 대학의 일반화학교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학문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갖춰질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어떠한 학습배경이 ‘일반화학을 잘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하며, 혹 이것이 우리가 직관적으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정말 의미 있는 수준의 관련이 있는지 가시적인 근거를 확인함으로써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일반화학의 학습은 매우 흥미로운 과정이다.
  • 가설1 성별과 일반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 가설2 전공과 일반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 가설3 전공과 화학의 밀접성과 일반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 가설4 고교 화학학습정도와 일반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 가설6 선행학습이 현재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정도와 일반 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 가설7 선행학습이 현재의 학습과 공통된다고 느끼는 정도와 일반화학학습적성은 관련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화학교과를 운영하는 교수자들이 제기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많은 학생들이 답안지의 절반도 채우지 못한다는 것은 애초의 학습량이 적절하게 설계되지 않았거나 교수자가 학생들의 수용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홀로 수업을 진행했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애초에 해당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지 못한 학습자가 대거 섞여 있기 때문이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모든 교과는 각 교과가 제시하는 학습목표가 있으며 이는 해당 강좌를 수강하는 보편적인 수준의 학습자가 학습 가능한 수준으로 설계된다.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중등교육기관의 학습은 대개 수학능력시험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은 선택과목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과학교과의 학습은 수능에서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초과학은 학문의 위계성이 뚜렷하여 단계별로 차근차근 배워나가야 하는 특성이 있어 고등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의 양에 따라 대학에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기초과학을 단계적으로 학습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중등교육기관의 학습은 대개 수학능력시험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7차 교육과정 이후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은 선택과목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과학교과의 학습은 수능에서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초과학은 학문의 위계성이 뚜렷하여 단계별로 차근차근 배워나가야 하는 특성이 있어 고등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의 양에 따라 대학에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2) 관련하여 Hong, Kim, & Park(2010)은 전공별로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목이 각기 다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국영수 위주의 학습이 강조되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ujaoude, S. B., Giuliano, F. J. (1994).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and selective variables in a chemistry courses for non-majo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6), 296-302. 

  2. Brown, T. E., LeMay, H. E., & Bursten, B. E. (2015), General Chemistry, General Chemistry Textbook Study Committee Translation, Paju, Gyeonggi, Free Academy Co. 

  3. Dampfle, P. A. (2003) An analysis of the high attrition rates among first year college science, math, and engineering majors.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5(1), 37-52. 

  4. Dougherty R. C., Bowen C. W., Berger T. & Rees W. (1995). Cooperative learning and enhanced communication: Effects on student performance, retention, and attitudes in general 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2(9), 793-797. 

  5. Han, J., Lee, S. (2012) Comparison of the recent trend of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2), 290-296. 

  6. Hong, H., Kim, D., & Park, H. (2010). High school subjects as a prerequisite for articulated majors in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221-242. 

  7. Hong, M. (2006) A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emistry I & Chemistry II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Demands on Curriculum Revising.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0(5), 394-403. 

  8. House, J. D. (2000) Academic background and self-beliefs as predictors of student grade performance in science, 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Media, 27(2), 207-220. 

  9. Huh, M. (2010) How to Investigate SPSS Questionnaire: Basic and Utilization. SPSS Questionnaire Survey Methods:from Basics to Practical Use. Hannarae Publishing Co. 

  10. Jones, R. C. (1994) First-year science students: Their only year?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3(6), 356-362. 

  11. Kim, W., Lee, B., Chang, S., Lee, J., Yu, H., Kim, Y., Choi, E. (2005). Basic research for exploring the need for education at the level of university basic science subjects. Yonsei University Policy Research Report. 

  12. Lawson, A. (1983). Predicting science achievement: The role of development level, disembedding ability, mental capacity, prior knowledge, and belief.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0(2), 117-129. 

  13. Lee, B. (2017) Purpose and objectives of general chemistry education in text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Conference Catalog, 48-51. 

  14. Lee, B., Chang, S. (2008) The effect of educational backgrounds in high school sciences on the achievement of college scienc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2), 191-209. 

  15. Light, R. L. (2001). Making the most of college: Students speak their min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6. Mittag, K. C., Mason, D. (1999) Cultural factors in science-variables affecting achievement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knowledge and scientific succes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8(5), 307-310. 

  17. Moon S., Lee S.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II, and the General Chemistry, and Colleg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5(1), 112-123. 

  18. Paik, S. (2007) Chemistry I,II Studies on the main features of curriculum revis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3(1), 213-221. 

  19. Robert, J., Wendy M. (2010) Educational Psychology, 2nd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20. Seymour, E. (1992) Undergraduate problems with teaching and advising SME majors:explaining gender difference in attrition rat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1(5), 284-292. 

  21. Shim, W., Paik, S. (2015). An Exploratory Study for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Focusing on Effects of STEM Students’High School Course-Taking on Academic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2), 275-296. 

  22. Song, J. (2012) SPSS / 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writing paper. paju, 21 Century Co. 

  23. Tai, R. H., Sadler, P. M., & Mintzes, J. J. (2006).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succes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6(1), 52-56. 

  24. Trusty, J. (2002) Effect of high school courses-taking and other variables on choice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llege major. Journal of Couseling & Development, 80(4), 464-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