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 검증과 선호 과목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
Verification the Systems Thinking Factor Structure and Comparison of Systems Thinking Based on Preferred Subjects abo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2, 2019년, pp.161 - 171  

이효녕 (경북대학교) ,  전재돈 (경북대학교) ,  이현동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검증하고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전 검사에서는 Lee et al.(2013)이 개발한 STMI로 초등학생 73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이 STMI를 어떤 요인 구조로 인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생들이 STMI가 의도한 5요인 구조에 응답할 수 있도록 검사지를 수정하였다. 사후 검사에서는 수정된 STMI로 초등학생 50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검사에서 초등학생들은 STMI를 2개 요인(개인 내적 요인, 개인 외적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검사지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932였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857과 .894로 나타났다. 둘째, 수정된 STMI에 대해서는 초등학생은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초등학생은 팀 학습, 공유 비전, 개인 숙련은 각각 독립된 요인으로 응답하였으며 정신 모델시스템 분석을 하나의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전체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는 .886이었으며 요인별 신뢰는 .686~.864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한 결과 자연과학(공학) 과목군을 선택한 학생들과 예술(예체능)을 선택한 학생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용어와 문장 구조로 수정된 시스템 사고 검사지를 활용할 경우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선호하는 과목군 등 여러 학생 변인들과 시스템 사고와의 관련성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verify the systems thinking factor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 to compare systems thinking according to their preferred subjects in order to get implications for following research. For the study, pre-tests analyze data from 732 elementary sch...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초등학생 1280명을 대상으로 Lee et al.(2013)가 개발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STMI)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확인하고자 진행한 연구이다. 사전 검사에서는 고등학생 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STMI에 초등학생이 어떻게 응답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사전 검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STMI를 수정⋅보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2013)에서 개발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STMI)가 초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로 활용하고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초등학생도 적합한 용어와 문장 구조로 STMI에 응답할 경우 5요인 구조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셋째, 수정된 STMI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초등학생이 응답한 요인 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Kim et al.(2014)의 초등학생의 과목 선호도와 이공계 혹은 의학계 진로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선호 과목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를 통하여 시스템 사고와 다른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2018)에 따르면, 시스템 사고는 학생 스스로의 학업에 대한 효능감뿐 아니라 과학 과목에 대한 효능감과도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진로 선호와 관련되는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에서는 사후 검사 대상인 503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호 과목군을 인문사회 과목군(국어⋅영어⋅사회⋅도덕), 자연과학(공학) 과목군(수학⋅과학⋅실과⋅정보), 예술(예체능) 과목군(체육⋅음악⋅미술⋅창체)로 구분하고 각 과목군을 선택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평균을 일원변량분석으로 비교하였다(Table 8, 9, 10).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사전 검사에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STMI)를 초등학생이 어떠한 요인 구조로 인식하고 응답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사전 검사의 응답 결과를 반영하여 STMI의 5요인 구조로 초등학생이 반응할 수 있도록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고자 한다.
  • 3회∼4회까지 진행된 전문가 협의회에서는 STMI 검사지를 초등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상호 작용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검사지 내에 어려운 용어나 문장 구조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수정 후에는 문항의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지에 대하여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문장을 다듬어 학생들에게 명료하게 읽히도록 보완하였다(Table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 교육 또는 초등 과학교육에서는 STMI검사에 대해 어떤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보는가? 따라서 초등 교육 또는 초등 과학교육에서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거나, 시스템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초등학생이 STMI의 문항과 요인 구조 정확히 인식하고 응답하는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시스템 사고가 학생들의 특성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Lee & Lee, 2016; Lee et al., 2018), 나아가 과목 선호도에 따른 진로와 다중 지능, 학습 지각 양식 차이 등 여러 가지의 학생 변인들과의 관련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때 시스템 사고도 학생과 관련된 변인 중 하나로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Kim et al., 2014; Lee et al.
STMI는 어떤 검사지인가? STMI는 Senge(1996, 2006, 2012)가 제시한 시스템 사고의 5가지 수련(Fifth discipline)을 근거로 하여 5요인 구조의 검사지로 개발되 었다. 시스템 사고의 5요인은 정신 모델, 시스템 분석, 개인 숙련, 팀 학습, 공유 비전으로 구성된다.
STMI 검사지를 활용하는 정량적 연구 어떤 것을 분석하였는가? STMI가 개발된 이후 이 검사지를 활용하는 정량적 연구에서는 주로 척도가 포함하고 있는 요인별 신뢰도와 평균 비교를 통해 연구 대상자들의 시스템 사고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검사지의 구성 요인별 평균 비교(예, t-test)를 분석하기 위한 기본 가정은 연구 대상자 들이 검사지가 의도하는 요인에 반응하였다는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Seong, 2011; So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 Ben-zvi Assaraf, O., & Orion, N. (2010).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10), 1253-1280. 

  3. Chi, E. (2010).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scale of teachers' feedback practice for formative assessment: Application of the rasch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3(1), 79-100. 

  4. Cho, O., & Hwang, K.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3(2), 147-154. 

  5. Choi, D., & Kim, K.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6(4), 59-81. 

  6. Chung, O., Im, J., Chung, S., Kim, R., & Yoon, J. (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directed learning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9(4), 227-245. 

  7. Chung, S., & Choi, N. (2018). The validity and norms of reading motivat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27(1), 215-240. 

  8. Han, D., & Jo, E. (2015).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s thinking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54, 65-83. 

  9. Jeon, H., & Chung, H.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with Test Anxiety, Academic Self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Self Efficacy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7), 247-274. 

  10. Jo, G., & Kim, H. (2017). Effect of systems thinking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on climate change top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7(7), 113-123. 

  11. Ju, T. (2008). The Effect of High School 'Society & Culture' Narrative Text Style on Subject Preferences and Academic Achievements. Social studies education, 47(1), 133-156. 

  12. Kang, C., Lee, H., Yoon, I., & Kim, E. (2008). Analysis of conceptions related to earth system and systems-thinking of high school student about water cycl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 61-72. 

  13. Kang, H., & Kim, A.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cial self-effic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2), 263-283. 

  14. Kim, D., Yi, M., Hong, Y., & Choi, H. (2006). Analysis of thinking expansion effect as a basis of creativity through systems thinking education.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7(1), 51-65. 

  15. Kim, E., Ahn, Y., Jung, W., Kye, Y., Kim, H., Noh, T., Yoo, J., Yi, K., Choe, S., & Kim, C. (2014). Comparison of four factors: reasons for jobs, science and math preferences, interests in science, and science aspirations for children hoping for careers in science, engineering or medici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8), 779-786. 

  16. Kim, H., & Mun, S. (2017). The effect of a system thinking-based steam-type esd program o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ystem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1), 85-102. 

  17. Kim, H., Jeong, S., Jeong, S., & Mun, S. (2017). Development of a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School Science Journal, 11(3), 288-301. 

  18. Kim, M., & Kim, B. (2002).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end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and the system thinking paradig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1), 64-75. 

  19. Kwon, Y., Kim, W., Lee, H., Byun, J., & Lee, I. (2011). Analysis of biology teachers' systems thinking about ecosystem. Biology Education, 39(4), 529-543. 

  20. Lee, H. & Lee, H. (2013). Revalidation of measuring instrument systems thinking and comparison of systems thinking between science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237-1247. 

  21. Lee, H. (2014). Systems thinking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2. Lee, H., & Lee, H. (2016). Effects of systems thinking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7(3), 133-145. 

  23. Lee, H., & Lee, H. (2017). Analysis and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using iceberg(IB)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4), 611-624. 

  24. Lee, H., Kim, C., Shin, C., Lee, W., Heo, J., & Lee, H. (2018).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ystem thinking between underrepresented and general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6(1), 307-327. 

  25. Lee, H., Kwon, H., Park, K., & Lee, H. (2013). A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995-1006. 

  26. Lee, H., Kwon, Y., Oh, H., & Lee, H.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Focus on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784-797. 

  27. Lee, M.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resili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ARSESS). Korean Education Inquiry, 34(4), 21-38. 

  28. Lee, M., Shin. D., & Bong, M. (20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by gender and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1(3), 1-20. 

  29. Lee, S., & Kim, A. (2012).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academic perfectionism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4), 1113-1136. 

  30. Moon, B., & Kim, H. (2007). A study on th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think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8(2), 235-252. 

  31. Park, B. & Lee, 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condary scienc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 421-444. 

  32. Park, H., & Kim, Y. (2013). The effect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high school economics on the selection of economics in the korean scholarstic aptitude test. Educational Research, 57, 85-104. 

  33. Park, Y. & Han, K. (2017).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cpac(cogni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crea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0(1), 97-119. 

  34. Pekrun, R., Goetz, T., Frenzel, A., Barchfeld, P., & Perry, R.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ucational Psychology, 36, 36-48. 

  35. Randle, J. M. (2014). The systems thinking paradigm and higher-order cognitive processes. Unpublished master of degree thesis, Lakehead University, Thunder Bay, ON. 

  36. Seong, T. (2011).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eoul: Haksisa. 

  37. Song, J. (2011).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Paju: 21 Century Press. 

  38. Senge, P. M. (1996). 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 New York: Broadway Business. 

  39. Senge, P. M. (2006).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rown Business. 

  40. Senge, P. M. (2012). Schools that learn(Updated and Revised): A fifth discipline fieldbook for educators, parents, and everyone who cares about education. New York: Doubleday. 

  41. Song, J., Moon, B., & Kim, J. (2015).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ystems thinking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3), 318-331. 

  42. Yeo, T. (2018). The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perceptual modes of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subject preference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17(1), 61-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